병와 이형상이 편찬한 18세기 악서(樂書)
병와 이형상의 『악학편고』는 1974년 권영철(權寧徹, 1928~)이 발견했다. 1982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영인한 『병와전서』 제9책의 693~792면에 수록되어 있다.
○ 체재 및 규격 4권 3책 필사본. 『악학편고』 제1책(권1~2): 29.6cm×19.1cm; 제2책(권3)・제3책(권4): 29.6cm×19.0cm ○ 소장처 경북 영천시 호연정 병와 유고각 ○ 편찬연대 및 편저자 사항 편찬자는 병와 이형상이다. 편찬연대는 미상이나 이 책을 처음 발견한 권영철은 편찬자가 예와 악의 병행을 강조한 만큼 『가례편고(家禮便考)』와 동시에 저술되었으리라는 가정하였고, 연대가 비교적 분명한 『가례편고(家禮便考)』에 비추어 1712년(숙종 38)에서 1725년(영조 1) 사이로 그 연대를 추정1하였다. 이형상은 조선 후기 문신이자, 목민관으로서 사회 교화를 위해 헌신하였으며 학문에도 힘써 악학을 포함하여 다방면에 걸친 방대한 저술을 남겼다.
1) 여기에는 숙종 38년이 1707년으로 잘못 표기되었다. (권영철 해제, 『악학편고』, 형설출판사, 1976, 5쪽)
한편, 한국고전번역원의 한국고전DB 한국문집총간 병와집 해제에는 『악학편고』가 1711년에 편찬된 것으로 기술되어 있는데, 채제공이 찬한 행장과 병와전서(甁窩全書)에 수록된 이만송(李晚松) 찬 가장(家狀), 조선왕조실록 등을 전거로 삼았다고 한다. (김성애, 『병와집』 해제, 한국고전종합DB(https://url.kr/2nrhxz))
○ 구성 및 내용
권1은 「성기원류(聲氣源流)」・「자음원류(字音源流)」・「아음원류(雅音源流)」・「악부원류(樂府源流)」로 구성되어 있다. 권2의 경우, 목록에는 「속악원류(俗樂源流)」・「무의원류(舞儀源流)」・「무기(舞器)」・「무용(舞容)」・「잡희(雜戱)」・「악기(樂器)」 등이 있는데, 본문은 전체가 잘려 나가 낙질된 상태이다. 권3은 「아악장(雅樂章)」과 「속악장상(俗樂章上)으로 구성되어 있고, 권4는 「속악장하(俗樂章下)」와 「가사(歌詞)」로 구성되어 있다.
권1의 「성기원류」에서는 성(聲)을 발음기관과 호흡에 의한 기의 운행으로 설명하였고, 「자음원류」에서는 소리와 언어 및 문자의 관계를 다루며 여러 지역의 문자를 소개했다. 「아악원류」에서는 중국 고대 악론(樂論)을 시대별로 다루었으며, 「악부원류(또는 樂府源始)」2에서는 중국 역대 악부와 우리나라의 가악(歌樂)에 대해 기록했다.
목차만 남아있는 권2 「속악원류」에는 주(周)에서 명(明)에 이르는 중국의 속악(俗樂)과 우리나라의 속악을 다루고, 「무의원류」 역시 비슷한 방식으로 중국과 우리나라의 역대 무의(舞儀)를 기록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어지는 「무기」에서는 아악(雅樂)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무구(舞具)를 소개하였으며, 「악기」에서는 각종 악기를 팔음(八音)으로 분류하였는데, 아악기(雅樂器)뿐만 아니라 당악기나 향악기를 두루 포함하였고, 팔음에 들지 않는 악기를 위하여 별도로 ‘팔음외’ 항목을 두어 도피(桃皮), 패(貝), 엽(葉) 등을 실었다.
권3의 「아악장」에서는 여와(女媧)・신농(神農)・우순(虞舜)・한(漢)・당(唐)・송(宋)・원(元)・명(明)까지 중국 역대 왕조의 아악(雅樂) 악장을 소개하고, 이어서 고려・조선의 아악(雅樂) 악장의 가사를 소개했다. 그 다음 국한문을 혼용하여 〈납씨가(納氏歌)〉와 〈정동방(靖東方)〉을 실었다. 「속악장상(俗樂章上)」에는 강구요(康衢謠)・격양가(擊壤歌)를 비롯한 요(堯)・하(夏)・주(周)・한(漢)・위(魏) 등 중국 역대의 속악부터 〈고취요가(鼓吹鐃歌)〉・〈대곡(大曲)〉 등을 실었다.
권4의 「속악장하(俗樂章下)」에서는 진(晋)의 〈고취요가〉부터 오(吳)의 고취, 송(宋)의 사객악장(詞客樂章)을 실었다. 「고려속악장」에는 〈헌선도(獻仙桃)〉・〈오양선(五羊仙)〉・〈포구락(抛毬樂)〉 등 당악(唐樂)의 사(詞)를 차례대로 싣고, 『고려사』 「악지(樂志)」에 없는 〈영산회상1장(靈山會相一章)〉을 고려 속악으로 분류하였다. 이어서 〈풍입송(風入松)〉・〈야심사(夜深詞)〉・
〈한림별곡(翰林別曲)〉 등 고려 속악의 노랫말을 국한문 혼용으로 싣고 있으며, 익재 이제현(李齊賢, 1288~1367)의 한문시를 〈익재잡영14장(益齋雜詠十四章)〉이라고 하여 실었다.
아조속악장(我朝俗樂章)에는 《보태평(保太平)》과 《정대업(定大業)》 악장을 ‘종묘영녕전28장(宗廟永寧殿二十八章)’이라는 제목으로 실었는데, 현재 《보태평(保太平)》에 속한 〈중광장(重光章)〉이 《정대업》의 〈혁정(赫整)〉과 〈영관(永觀)〉 사이에 배치된 점이 특이하다.
2) 목록에서는 「악부원류」라고 되어 있으나, 본문에서는 「악부원시(樂府源始)」로 되어 있다.
〈중광장〉은 임진왜란 때 왜구를 물리친 선조를 기리기 위한 것으로, 본래 1625년(인조 3)에 지어져 이듬해 《보태평(保太平)》에 첨입(添入)된 곡이다.
진연속악(進宴俗樂)에는 〈헌선도〉・〈오양선〉・〈수연장(壽延長)〉・〈포구락〉・〈연화대(蓮花臺)〉・〈금척(金尺)〉・〈육대무(六隊舞)〉・〈무고(舞鼓)〉・〈봉래의(鳳來儀)〉・〈여민락(與民樂)〉・〈신도가(新都歌)〉・〈만전춘(滿殿春)〉・〈화산별곡(華山別曲)〉・〈어부가(漁父歌)〉・〈오륜가(五倫歌)〉・〈연형제곡(宴兄弟曲)〉・〈상대별곡(霜臺別曲)〉 등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김종직(金宗直, 1431-1492)이 지은 것으로 소개된 〈회소곡(會蘇曲)〉・〈우식곡(憂息曲)〉 등 〈신라속가추술7영(新羅俗歌追述七詠)〉과 농요(農謠)의 한역(漢譯)으로 보이는 강희맹(姜希孟, 1424~1483)의 〈농구14결(農謳十四闋)〉, 정철(鄭澈 ?~1595)의 〈관동별곡(關東別曲)〉 등이 실려 있다.
「가사(歌詞)」에는 〈사친가(思親歌)〉를 비롯한 중국 옛 노래 가사 18곡이 한문으로 실려 있고, 시조(時調) 〈포은가(圃隱歌, 이몸이 죽고 죽어)〉와 〈야은가(冶隱歌, 삼동의 뵈옷 입고)〉는 각각 두 번 나오는데, 앞에는 한문으로, 다음에는 시작 부분을 두 글자 내려 국한문 혼용체로 실려 있다. 이어서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순한문 가사가 실려 있으며, 끝에 〈감군은(感君恩)〉・〈중대엽(中大葉)〉・〈북전(北殿)〉의 노랫말이 실려 있는데, 내용은 『양금신보(梁琴新譜)』와 비슷하다.
[차례]
권1
「성기원류(聲氣源流)」
「자음원류(字音源流)」
「아음원류(雅音源流)」
「악부원류(樂府源流)」
권2
「속악원류(俗樂源流)」
「무의원류(舞儀源流)」
「무기(舞器)」
「무용(舞容)」
「잡희(雜戱)」
「악기(樂器)」
권3
「아악장(雅樂章)」
「속악장상(俗樂章上)
권4
「속악장하(俗樂章下)」
「가사(歌詞)」
음악의 원리를 비롯하여 악학 이론과 악제를 시대별·장르별로 정리하였다. 악기를 금(金)・석(石)・사(絲)・죽(竹)・포(匏)・토(土)・혁(革)・목(木)의 팔음뿐 아니라, 팔음외(八音外)・종경현(鐘磬懸) 등으로 상세하게 분류하였다. 또한 중국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역대 아악(雅樂), 정재(呈才)의 구호 및 치어를 포함한 속악, 민간 가악(歌樂)의 가사 등을 고려・조선 등으로 왕조를 구분하여 게재하였다. 특히 〈영산회상1장〉을 고려 시기에 포함시키는 등 몇몇 작품의 창작 시기를 제시한 점이 주목된다. 병와 가문 소장의 『악학습령』과 함께 병와의 해박하고 주체적인 음악관이 담긴 악서로 평가된다.
『악학편고』: 대한민국 보물(1979)
『악학편고(樂學便考)』 권영철 해제, 『악학편고』, 형설출판사, 1976. 김진희, 「병와 이형상의 악부관을 통해 본 『지령록(芝嶺錄)』 제6책의 체재와 의미」, 『한국시가연구』 33, 2012. 김진희, 「악학편고 소재 성기원류의 내용과 사상」, 『국어국문학』 194, 2021. 여기현, 「병와 이형상의 악론 연구」, 『한국시가연구』 9, 2001. 이상규, 「병와 이형상의 〈추록언문반절설〉 분석」, 『국학연구론총』 17, 2016. 김영운, 『악학편고』, 한국학 디지털 아카이브, (http://yoksa.aks.ac.kr/jsp/aa/HajeView.jsp?aa10up=kh2_je_a_vsu_55022_000) 문화재청 국가유산포털 『악학편고』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sngl=Y&ccbaCpno=1123706520000) 한국학디지털아카이브 『병와전서 악학편고』 (http://yoksa.aks.ac.kr/jsp/aa/BookList.jsp?aa10no=kh2_je_a_vsu_55022_000&keywords=%20%E6%A8%82%E5%AD%B8%E4%BE%BF%E8%80%83%20%EC%95%85%ED%95%99%ED%8E%B8%EA%B3%A0)
서인화(徐仁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