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악서는 고려 말에 설치되었으며, 조선 개국(1392) 후에도 그대로 계승되었다. 전악서는 아악을 전담한 아악서와 달리, 조회와 연향의 향악과 당악, 조선 초 선왕(先王)의 사당인 문소전과 세종의 비(妃) 소현왕후의 혼전(魂殿)인 휘덕전 제례에서 속악 제례악, 전정(殿庭)의 전정고취, 임금의 행차 시 어가(御駕) 앞뒤에 위치하는 전부고취 및 후부고취, 문무(文舞)와 무무(武舞), 노래, 잡기(雜技) 등을 담당했다. 1457년(세조 3) 아악서와 통합되어 장악서(掌樂署)가 되었다.
고려조 목종(997~1009) 대에 설립된 궁중 장악기관 대악서가 1308년(충렬왕 34) 전악서로 바뀌었다. 이후 대악서와 전악서의 기관 명칭이 번갈아 사용되었고, 1391년(공양왕 3)에 전악서와 별도로 종묘악 연주를 위한 아악서가 설치되었다. 조선은 건국(1392년) 후 이 제도를 계승하여, 전악서와 아악서를 함께 설치하였다.
○ 설립 목적 1392년(태조 1) 조선 건국 후, 고려의 장악 기관이었던 전악서를 계승하여 설립하고 조회와 연향에서 향악과 당악을 포함한 속악을 전담하도록 했다. ○ 조직의 체계와 구성원 조선조 전악서의 악공은 기생의 자녀나 관아에 속한 종인 공천(公賤) 출신이었고 향악공(鄕樂工)과 당악공(唐樂工)으로 구분되었다. 1434년(세종 16)에 전체 악공의 수는 190명이었다. 이들 일부가 잡직(雜職)을 제수하여 관원이 되었다. 과거시험을 거쳐 관직 생활을 하는 유품(流品)의 관리는 없었다. 많은 악공 중에 향악공과 당악공 모두 각각 8명만 잡직을 제수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악공으로 취재에 합격하더라도 직(職)을 받지 못하는 사람이 많아서 악공들이 1년씩 서로 바꿔 가면서 직을 제수하게 하였다. 이들 악공 출신 악인의 최고직인 전악은 근무 일수가 오래되고 유능한 악공이 맡는 자리로, 의례에서 악대를 설치하고 악공을 이끌고 나와 악이 잘 연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였다. ○ 역사적 변천 1392년 전악서 설치 후, 1409년(태종 9)에 전악서 악공 중 잡직을 제수한 인원은 종5품 전악(典樂) 1명, 종6품 부전악 1명, 종7품 전율(典律) 4명, 종8품 부전율 5명, 종9품 직율(直律) 6명이었다. 1431년(세종 13) 전율 4명 중에서 1명, 부전율 5명 중에서 1명을 감하고, 전악 1명을 더 설치하게 하였다. 전체 악공의 수는 1434년(세종 16) 향악공과 당악공을 합하여 190명이었다가 이후 230명으로 늘었는데 1448년(세종 30) 전체 악공 수가 그 역할에 비해 적다 하여 70명을 더 증원하여 300명으로 정했다. 이것은 1446년(세종 29) 세종의 비(妃) 소헌왕후 심씨의 신위를 봉안한 휘덕전이 세워지면서 악공의 수가 더 필요했던 상황 등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1457년(세조 3) 전악서는 장악 기관의 효율적 운영 차원에서 아악서와 통폐합되었다. ○ 활동 조선시대 전악서는 문소전과 휘덕전 제례에서의 제례악과, 궁중 조회와 연향에서의 향악과 당악, 전정의 고취악과 임금의 행차 시 전부고취 및 후부고취, 동궁(東宮)에서의 고취, 문무와 무무, 노래, 잡기 등을 담당하였다. 실록의 기록에 따르면, 문소전의 추석제(秋夕祭), 세자가 조참을 받는 의식, 조서(詔書)ㆍ칙서(勅書) 등을 맞이하는 의식, 제향에 쓸 향을 헌관에게 전하는 의식, 정월과 동지에 회례하는 의식, 문무백관이 국왕을 뵙고 문안드리는 조회(朝會), 왕비를 맞이하는 납비의와 책봉하는 책비의, 문과 과거시험, 과거 급제자 발표 의식, 양로연, 사신연, 일식이 있을 때 기도하는 의식 등에서 악을 올렸다. 또한 1433년(세종 15) 군신연(君臣宴)인 회례(會禮)에서 아악을 속악과 함께 처음 사용했는데, 이때 아악서가 아니라 전악서의 악공이 아악기를 연주했다.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이혜구, 「세종조의 음악기관」, 『역대 국립음악기관 연구』, 2001. 임영선, 「조선 초기 회례 용악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19. 임영선, 「조선 초기 관습도감의 재고찰」, 『한국음악연구』 70, 2021. 정연주, 「조선전기 장악원의 역할과 위상」, 『한국사학보』 88, 2022. 조규익, 「문소전 악장 연구」, 『한국시가문화연구』 25, 2010.
서인화(徐仁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