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안지곡(雍安之曲), 옹안악(雍安樂), 옹안곡(雍安曲)
사직제례의 진찬, 철변두 절차에서 연주하는 음악의 명칭
옹안지악의 제목에서 ‘~안(安)’자를 붙이는 것은 송대의 제도를 차용한 고려시대의 전통을 이은 것이다. ‘~안’의 의미는 『예기』 「악기」에서 “잘 다스려지는 세상의 음은 편안하여 즐겁다(治世之音, 安以樂)”의 의미를 따른 것이다.
진찬례와 철변두 절차에서는 모두 옹안지악을 연주하며 일무는 추지 않는다. 두 음악 모두 네 음이 한 구를 이루고[四音一句] 여덟 개의 구가 한 곡을 이루며[八句一聲], 아악곡 선율의 구성 방식인 기조필곡(起調畢曲) 원리를 따라, 시작하는 음과 마치는 음이 같다.두 절차에서 주악하는 악대 및 악곡의 조(調)는 서로 다르다. 진찬례에서의 “태주궁” 선율은 태응남유(太應南蕤)/고유응남(姑蕤應南)/대응이유(汏應夷蕤)/응남태고(應南太姑)/태응고태(太應姑太)대응태유(汏應太蕤)/고태응남(姑太應南)/응유고태(應蕤姑太)이고, 철변두 절차에서의 “응종궁” 선율은 응이유협(應夷蕤浹)/대협이유(汏浹夷蕤)/무이중협(無夷仲浹)/이유응대(夷蕤應汏)/응이대응(應夷汏應)/무이응협(無夷應浹)/대응이유(汏應夷蕤)/이협대응(夷浹汏應)이다. 또 진찬례는 헌가가 음악을 연주하기 때문에 악장이 쓰이지 않지만 철변두 절차에서는 등가가 음악을 연주하므로 악장이 있다.
철변두 절차에서 노래하는 옹안지악 악장은 변과 두를 거둠으로써 제사가 갖추어졌으니 복을 내리고 수하고 강녕하기를 기원하는 내용이다. 응종궁 선율에 얹어 한 음에 글자 하나를 배치하여[一字一音] 불렀다. 땅이 두텁다 함은 만물이 모두 형통함이라 謂地盖厚 品物咸亨 농사는 보배이니 길이 풍년을 보리로다 稼穡惟寶 永觀厥成 변과 두를 거두니 제사가 갖추어졌도다 徹我籩豆 祀事孔明 복을 많이 내리시어 수하고 강녕하게 하소서 綏以多福 壽考攸寧
옹안지악은 풍운뇌우·선농·선잠 등의 철변두 절차에서도 쓰이는 악곡이다.
사직대제: 국가무형문화재(2000).
『국조오례서례』 『국조오례의』 『국조오례통편』 『대한예전』 『사직서의궤』 『세종실록』 『세종실록오례』 『악학궤범』 『증보문헌비고』 『춘관통고』
김문식, 송지원 외, 『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011 송지원, 『조선왕실의 음악문화』, 세창출판사, 2020 지두환, 송지원 외 『사직대제』,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송지원(宋芝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