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안지곡(順安之曲), 순안악(順安樂), 순안곡(順安曲)
사직제례의 영신, 송신례 때 연주하는 음악의 명칭
순안지악의 제목에서 ‘~안(安)’자를 붙이는 것은 송대의 제도를 차용한 고려시대의 전통을 이은 것이다. ‘~안’의 의미는 『예기』 「악기」에서 “잘 다스려지는 세상의 음은 편안하여 즐겁다(治世之音, 安以樂)”의 의미를 따른 것이다.
영신례 때 연주하는 순안지악은 “임종궁”, “유빈궁”, “응종궁”, “유빈궁”의 음악을 각 두 번[二聲]씩 헌가에서 연주하며 일무는 문덕을 칭송하는 의미의 열문지무를 춘다. 열문지무를 출 때에는 약과 적을 손에 쥐고 춘다. 사직단에서 헌가는 유문(壝門) 바깥에 위치한다. 송신례 때 연주하는 순안지악은 “송임종궁”의 음악을 헌가에서 연주하며 일무는 없다. 곡마다 네 음이 한 구를 이루고[四音一句] 여덟 개의 구가 한 곡을 이루며, 아악곡 선율의 구성 방식인 기조필곡(起調畢曲) 원리를 따라 시작하는 음과 마치는 음이 같다. “임종궁”의 선율은 임고태응(林姑汰應)/남응고태(南應姑汰)/유고대응(蕤姑汏應)/고태임남(姑汰林南)/임고남임(林姑南林)/유고임응(蕤姑林應)/남임고태(南林姑汰)/고응남임(姑應南林)의 32음이며 “유빈궁”의 선율은 유협대무(蕤浹汏無)/이남협대(夷南浹汏)/중협황무(仲浹潢無)/협대유이(浹汏蕤夷)/유협이유(蕤浹夷蕤)/중협유무(仲浹蕤無)/이유협대(夷蕤浹汏)/ 협무이유(浹無夷蕤)이고, “응종궁”의 선율은 응이유협(應夷蕤浹)/대협이유(汏浹夷蕤)/무이유협(無夷蕤浹)/이유응대(夷蕤應汏)/응이대응(應夷汏應)/무이응협(無夷應浹)/대응이유(汏應夷蕤)/이협대응(夷浹汏應)이다. 송신례 때 연주하는 “송임종궁”은 임대태남(林汏汰南)/남응고태(南應姑汰)/임고남응(林姑南應)/임고남임(林姑南林)/유고대응(蕤姑汏應)/고임응남(姑林應南)/대응고태(汏應姑汰)/고응남임(姑應南林)이다.
순안지악은 영신, 송신 모두 헌가에서 연주하므로 악장을 쓰지 않는다.
순안지악의 음악은 아악의 전형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다. 아악곡 선율의 구성 방식인 기조필곡(起調畢曲) 원리를 따라, 선율을 시작하는 음과 마치는 음이 같다.
사직대제: 국가무형문화재(2000).
『고려사』 「악지」 『국조오례서례』 『국조오례의』 『국조오례통편』 『대한예전』 『사직서의궤』 『세종실록』 『세종실록오례』 『악학궤범』 『증보문헌비고』 『춘관통고』
김문식, 송지원 외, 『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011 송지원, 『조선왕실의 음악문화』, 세창출판사, 2020 지두환, 송지원 외 『사직대제』,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송지원(宋芝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