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시계형 공명통 양쪽에 가죽을 씌워 만든 타악기의 일종
요고는 타악기 중 공명통의 한가운데가 모래시계(hourglass) 모양처럼 잘록하게 들어간 양면고(兩面鼓)의 한 가지이다. 10세기 이전으로 추정되는 수 점의 유물과 고구려 고분벽화 및 불교미술 등의 도상을 통해 요고의 형태와 양손을 이용한 연주 자세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한 손에 채를 쥐고 연주하는 장구 출현 이전의 옛 악기 명칭이다.
모래시계형 타악기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어 단정하기 어렵다. 대체로 4세기부터 10세기에 이르는 시기에 인도를 포함한 중국ㆍ한국ㆍ일본에 요고 계통의 악기가 다양한 형태로 광범위하게 수용되면서 분화되었다. 우리나라에는 실크로드 문명 유입시기에 중국을 통해 전래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구려 악기를 기록한 중국 문헌 『통전(通典)』에 요고가 언급되어 있고, 5~6세기 경으로 추정되는 고구려 오회분 4호묘와 5호묘 벽화 및 7-9세기경의 감은사지 출토 사리기,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673),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 상원사 범종(725), 선림원지(禪林院址) 파종(804), 일본 시마네현(島根縣) 소재 운주지(雲樹寺)와 고묘지(光明寺) 소장 종, 후쿠이현(福井縣) 소재 조구진자(常宮神社) 소장 연지사(蓮池寺) 종, 오이타현(大分縣 ) 소재 다이우사진구(宇佐神宮) 소종(904) 주악도 등에 연주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한편, 일본의 고대 문헌 『일본서기(日本書紀)』 및 『왜명유취초(倭名類聚抄)에는 한반도 전래의 기악(伎樂) 편성에 요고가 있었음이 언급되어 있고, 전해 오는 유물 중에는 기악 공연에 사용되었던 오고(吳鼓)라는 명칭의 북이 요고 형태여서 주목된다.
우리나라에 전해오는 관련 유물로는 1999년에 경기도 하남의 이성산성(二聖山城)에서 발굴된 목제 요고 및 2014년 세종시 건설 과정 중에 연기군 나성리 유적에서 나온 ‘토제 요고 편’(공주박물관 소장) 조각이 있어 10세기 이전의 요고 존재 양상을 짐작해 볼 수 있다.
10세기 이후로는 요고의 공명통과 북면이 확대되고, 연주할 때 한쪽을 채로 연주하는 장구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차츰 용도가 제한되기 시작했고, 국가 의례에 사용되는 악기 목록에서 더 이상 요고라는 명칭이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 형태와 규격 두 점의 요고 유물을 통해 10세기 이전 요고의 형태와 규격, 재료 등을 살필 수 있다. 5세기 후반기의 유물로 추정된 충남 연기군 나성리 출토 요고편은 흙을 빚어 공명통을 만든 토제 요고로, 일부 조각만 발굴되었다. 도상으로 복원한 연구 보고에 따르면 북통의 길이는 45cm, 북면 지름은 16cm로 북통에는 초엽문 등이 조각되어 있다. 이성산성 출토 요고는 나무로 공명통을 깎아 만든 목제형 요고로 북통 길이는 42.8cm, 북면 지름은 오른쪽이 17.5cm, 왼쪽이 17cm로 조사되었다. 두 유물 모두 양면의 북통이 하나로 이루어진 일체형이며, 현재 가죽 면은 남아있지 않아 북면의 형태는 정확히 할 수 없다. ○ 연주 주악도상에 묘사된 요고의 연주 자세는 북통 양쪽에 끈을 매달아 목에 걸거나, 무릎 위에 올려 놓고 양손으로 연주하는 모습으로, 한손, 혹은 양손에 채를 쥐고 연주하는 장구 및 갈고와 구별된다.
요고는 10세기 이후 장구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기 이전에 존재했던 옛 악기이다. 실크로드 문명 유입 시기에 동북아시아 전 지역에서 다양한 명칭과 형태로 분화되면서 우리나라에도 전래되었다가 그 용도가 장구로 대체되면서 자취를 감췄다. 수 점의 유물과 여러 주악 도상을 통해 10세기 이전 모래시계형 공명통을 가진 양면고 형태의 요고에서 장구로 변화되는 시대적 변천을 유추해볼 수 있다.
『삼국사기』 『일본서기(日本書紀)』 『왜명유취초(倭名類聚鈔)』
국립국악원ㆍ국립중앙박물관, 『우리 악기 우리 음악』, 국립국악원ㆍ국립중앙박물관, 2011. 한성백제박물관, 『2016 선사고대기획전 –고구려고분벽화』, 한성백제박물관, 2016. 한양대학교, 『한양대 박물관 도록』, 한양대학교, 2000. 박순발, 「한반도 요고 전래고」, 『백제연구』 65, 2017. 박은정, 「고대 중국 타악기 장고의 음악고고학적 연구」,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송혜진, 「이성산성 출토 목제 요고에 관한 연구: 동북아시아 요고류 유물과 도상 자료를 중심으로」, 『이화음악논집』 10, 2006. 조석연, 「한국 요고의 기원에 관한 연구」, 『음악과 문화』 25, 2011.
송혜진(宋惠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