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여음(半餘音), 반여음(半余音), 소여음(小餘音), 반음(半音), 중음(中音), 중념(中念), 중(中)
우리나라 성악곡 중 《가곡》에서 중간에 악기로만 연주하는 간주 부분.
《가곡》은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중여음은 《가곡》의 3장과 4장 사이에 노래 없이 악기로만 연주하는 부분이다. 여음을 지칭하는 말에는 여러 명칭이 있는데 노래를 부르는 중간에 있는 여음이라 하여 중여음이라 지칭된 것으로 보인다. 처음에는 그냥 여음 표시가 없거나 여음이라고도 하였다가 악보를 만든 풍류 집단에 따라 ‘중여음’ㆍ‘반여음’ㆍ‘소여음’ㆍ‘중음’ㆍ‘중념’ 등의 명칭을 사용하였다.
16세기 『금합자보』에 수록되어 있는 〈만대엽〉은 《가곡》의 조종으로 여겨지는데 이 곡에는 중여음 자체가 없었다. 이후 17세기 초 『양금신보』의 〈중대엽〉에는 중여음이라는 명칭이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3장과 4장 사이의 가사가 붙지 않은 한 장단의 선율이 중여음이라고 밝혀졌다.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금보에는 〈중대엽〉ㆍ〈삭대엽〉의 악곡에 중여음이 표시되어 왔고, 19세기에 들어 〈농〉ㆍ〈낙〉ㆍ〈편〉을 포함한 《가곡》 한바탕의 모든 곡에 중여음이 표시되었다. 18세기 초기 악보인 『한금신보』에서는 중여음과 대여음을 모두 ‘여음’이라고도 하였지만, 일반적으로 대여음에 비해 연주되는 양이 적어 ‘소여음’이나 ‘반여음’이라고도 하였으며, 중간에 연주되는 의미로 중여음이라는 명칭이 가장 많이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가곡》에서 중여음이 여음이라는 명칭과 함께 출현한 것은 『백운암금보』ㆍ『연대금보』ㆍ『운몽금보』ㆍ『한금신보』 등 18세기 전반부터라 할 수 있다. 〈삭대엽〉 또한 중여음의 명칭이 없다가 『연대금보』ㆍ『운몽금보』ㆍ『한금신보』에 중여음의 명칭이 보이기 시작한다. 『백운암금보』의 〈중대엽〉에는 ‘반여음’이라는 명칭이 보이며 『연대금보』의 〈삭대엽〉에서는 ‘반여음’과 ‘중여음’이라는 명칭을 둘 다 사용하고 있다. 대부분의 고악보에서는 ‘중여음’이라 하였으며, 『강외금보』에서는 ‘소여음’, 『신증금보』ㆍ『백운암금보』ㆍ『연대금보』 등에서는 ‘반여음’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19세기 후반 『가곡원류』나 『방산한씨금보』에서는 중여음을 ‘중념(中念)’이라고 적어 놓았는데, 중여음을 빠르게 붙여 읽은 말을 한자어로 표시한 것으로 보인다. 이 중 현행에서는 ‘중여음’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고려가요나 조선시대 궁중 음악에서 성악곡을 부를 때는 가사가 구분되는 단락별로 노래가 잠시 쉬는 부분을 여음이라 했는데, 이러한 여음은 단락을 구별해 주는 역할을 하거나 노래를 다 부른 후 악기로만 음악을 연주하며 노래를 마무리하는 후주의 역할을 하였다. 이 중 단락을 구별해 주는 역할에 1행이나 2행의 여음을 ‘반여음(半餘音)’이라고도 지칭하였는데, 이것은 4행의 선율을 대여음이라고 한 것의 반(半)을 뜻하는 의미로 붙여진 것으로 보인다. 즉 이 반여음은 《가곡》에서 사용되는 중여음과는 다른 의미로 사용된 것이다. ‘중여음’이라는 용어는 조선시대부터 전승되어 온 성악곡 중 현재 《가곡》에서만 사용된 명칭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대악후보』 〈봉황음 2〉와 〈봉황음 3〉에 16정간 2행의 여음을 ‘반여음’이라 표기해 놓았는데, 이 반여음은 같은 곡에서 4장단의 여음을 대여음이라고 한 것의 반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어, 가곡의 중간에 사용된 중여음과는 다른 의미로 보여진다. 18세기 금보 중 『신증금보』ㆍ『신작금보』ㆍ『금보전』ㆍ『백운암금보』ㆍ『고대금보A』에서는 중여음을 ‘반여음’이라 지칭하고 있는데 여기서의 반여음은 《가곡》의 중여음을 뜻한다.
『대악후보』 『금합자보』 『양금신보』 『백운암금보』 『연대금보』 『운몽금보』 『한금신보』 『신증금보』 『신작금보』 『금보전』 『백운암금보』 『고대금보A』 『가곡원류』 『방산한씨금보』
김영운, 『가곡 연창형식의 역사적 전개양상』, 민속원, 2005. 김영운, 『(개정증보판) 국악개론』, 음악세계, 2020. 김영운, 「한국의 고악보 현황」, 『문화예술』 14/2, 1995. 이동복, 『한국 고악보 연구』, 민속원, 2009. 전인평, 「가곡의 대여음에 관한 연구」, 『한국음악연구』 1, 1971. 한영숙, 「가곡 여음의 사적 변천 : 고악보와 현행 가곡에 기하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한영숙, 「만대엽의 여음」, 『한국음악연구』 45, 2009. 한영숙, 「중여음의 형성시기에 관한 연구」, 『한국음악연구』 47, 2010. 황준연, 「가곡의 여음」, 『동양음악(舊 민족음악학)』 1, 1977. 황준연, 「가곡의 형식」, 『한국음악연구』 10, 1980.
신혜선(申惠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