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용구(尹用求)가 1893년에 가곡 한바탕을 수록하여 편찬한 칠현금(휘금) 악보.
○ 체재 및 규격
가로 19.5cm, 세로 31.5cm, 필사본 1책 56장
○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원본), 국립국악원(사본)
○ 편찬연대 및 편저자 사항
1893년(고종 30), 윤용구가 편찬하였고, 고익상이 교정하였다. 윤용구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서화가로, 장악원 제조, 예조판서, 이조판서를 역임하였으며, 순조의 3녀인 덕온공주가 후사 없이 세상을 떠나자 공주의 남편인 윤의선의 장자로 입양된 바 있다. 을미사변 이후로는 서울 근교 장위산에 은거하면서 자칭 ‘장위산인’이라 하였고, 일제강점기에 일본에서 남작을 수여했으나 이를 거절하고 서화, 거문고, 바둑을 하며 두문불출하였다고 한다. 그는 『현금오음통론』외에도 『역수헌금보』(1885), 『칠현금보』(1885), 『휘금가곡보』(1893), 『국연정재창사초록』(1901) 등을 남겼다.
○ 구성 및 내용
악보의 목차는 다음과 같다.
휘금도식(徽琴圖式)
조현법(調絃法)
우조초대엽(羽調初大葉)
이대엽(二大葉)
중거(中擧)
평거 여중거통용(平擧 與中擧通用)
촉대엽 존잔안닙(促大葉 존잔안닙)
삼대엽(三大葉)
소용(騷聳)
반엽(半葉)
상조 속칭계면 초대엽(商調 俗稱界面 初大葉)
이대엽(二大葉)
이대엽 부여창 일장(二大葉 附女唱 一章)
중거(中擧)
중거 부여창 일장(中擧 附女唱 一章)
평거 속칭막ᄂᆡ는것 여중거통용(平擧 俗稱막ᄂᆡ는것 與中擧通用)
촉대엽 속칭 존자즌안닙(促大葉 俗稱 존자즌안닙)
촉대엽 여창(促大葉 女唱)
삼대엽(三大葉)
얼롱(乻弄)
농(弄)
계락(界樂)
우락(羽樂)
여창우락수성삼사오장 만경창파(女唱羽樂隨聲三四五章 萬頃蒼波)
여창우락수성삼장 풍지동(女唱羽樂隨聲三章 風地動)
얼락(乻樂)
편락(編樂)
편(編)
얼편(乻編)
여창환계락(女唱還界樂)
우수성삼장 전천후천외우(又隨聲三章 前川後川喂牛)
태평가(太平歌)
우조조음 혹운우의(羽調調音 或云羽意)
상조조음 속칭계면다스름(商調調音 俗稱界面다스름)
『휘금가곡보』는 해설과 악보의 두 범주로 구분된다. 먼저 해설은 「휘금도식(徽琴圖式)」과 「조현법(調絃法)」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칠현금보』의 내용을 옮겨 쓴 것이다. 그러나 악보의 경우 2정간 1대강 기보의 『칠현금보』와는 달리 3정간을 1대강으로 표기하고 장구 부호를 음점과 양점 등으로 표기하여 차이가 있다. 악보의 수록 악곡은 총 32곡으로, 구성은 동시대에 편찬된 다른 거문고 악보와 유사하다. 계면조를 ‘상조’로 표기하여 다스름을 수록한 것이 주목된다. 기보법은 1행 30정간 10대강의 시가기보법에 각 행을 3개의 소행으로 구분하여 1소행은 칠현금의 줄 번호를 숫자보로 표기하고 율명을 병기하였으며, 2소행은 한글 육보, 3소행은 왼손의 운지를 숫자보로 표기하였다. 장구 부호는 수록 악곡의 각 장마다 우측에 대강 단위로 1점씩 표기하였는데, 특징적인 것은 한 장단 16박의 악곡을 10박의 악곡과 동일한 방식으로 표기하였으므로 이 경우 1정간을 1박으로 해석함에 무리가 있다.
금도(琴道)의 실현을 위하여 칠현금(휘금)으로 가곡을 연주할 수 있도록 악보를 구현한 것은 풍류방 음악 문화의 확장적 측면에서 매우 주목할 만하다. 윤용구는 연경(燕京)에서 칠현금을 구하여 조현법을 파악하고 이를 가곡 연주에 활용할 수 있도록 오랜 기간 연구하였다. 비록 오늘날 칠현금으로 가곡을 반주하지는 않지만 당시 향악식 칠현금의 연주 방식 및 선율 분석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휘금가곡보』, 『한국음악학자료총서』 제7집, 국립국악원, 1981. 강명관 외, 『역주 고악보 2』, 민속원, 2021. 이동희, 『고악보에 수록된 ‘낙(樂)’ 계열 가곡의 변천』, 민속원, 2023. 이정희, 「윤용구 편찬 음악 자료의 소장 현황 및 의의」, 『동양음악』 44, 동양음악연구소, 2018.
이동희(李東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