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번(麾幡), 훈간(暈干)
제례악을 연주할 때 집사의 지시에 따라 음악의 시작과 마침을 알리는 신호용 기(旗)
휘는 고려시대에 도입된 음악의 시작과 마침을 알리는 신호용 기(旗)이다. 휘는 악기가 아니지만, 아악에 사용하므로 아악기로 분류된다. 『세종실록』에는 제례 아악의 문무와 무무에 편성되어 있었다. 『악학궤범』에는 시용등가와 시용종묘영녕전 등가에 편성되어 있다. 즉 『악학궤범』에는 휘가 춤이 아니라 악대(등가)에 포함되고, 아부제례악 뿐만 아니라 속부제례악(《종묘제례악》)에도 사용하는 변화가 있다. 휘는 현재 《사직제례악》, 《문묘제례악》, 《종묘제례악》의 등가에 편성하여 사용한다. 『악학궤범』에는 협률랑이 휘를 담당했으나, 현재는 연주자가 담당하고 있다. 음악의 시작을 알릴 때는 집사의 '드오'라고 하는 지시에 따라 휘를 들고(擧揮), 마침을 알릴 때는 '지오'라고 하는 지시에 따라 휘를 누인다(偃麾).
『주례』에 휘를 세워서 땅을 봉하고 번국을 봉한다고 했다. 우리나라에서 음악에 사용하는 휘에 관한 기록은 『고려사』에 처음 나타난다. 고려 예종 11년(1116) 송나라 휘종이 보내준 대성악기에 휘번(麾幡)이 포함되어 있다. 『세종실록』부터 휘(麾)라고 칭했고, 현재도 제례악 연주에 사용하고 있다.
휘는 악기가 아닌 기(旗)이지만, 아악의 시작과 마침을 알리는 용도로 사용하기 때문에 아악기로 분류되어 있다. 『세종실록』에는 휘가 제례 아악의 문무와 무무에 편성되어 있었으니, 『악학궤범』에는 시용등가와 시용종묘영녕전 등가에 편성되어 있다. 즉 『세종실록』에 비해 『악학궤범』에는 휘가 춤이 아니라 악대(등가)에 포함되고, 아부제례악 뿐만 아니라 속부제례악(《종묘제례악》)에도 사용하는 변화가 있다. 『악학궤범』에는 휘를 담당하는 사람이 협률랑이었으나, 현재는 연주자가 담당하고 있다. 음악의 시작을 알릴 때는 집사가 '드오'라고 지시하면 휘를 들고, 이것을 거휘(擧揮)라고 한다. 음악의 마침을 알릴 때는 집사가 ‘지오’라고 지시하면 휘를 누이고, 이것을 언휘(偃麾)라고 한다. 휘의 깃대에는 용머리를 조각하여 꽂고, 깃발은 분홍색 비단에 하늘로 오르는 용과 구름을 그려 곡철에 건다. 휘의 받침대[趺]에는 규화 모양의 장식을 한다.
『악학궤범』
이숙희, 『국악기의 문양과 장식』, 국립국악원, 2006. 『林尹 註譯』, 『周禮今註今譯』, 『臺灣商務印書館』, 1987.
이숙희(李淑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