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거둥, 관찰사나 사신 행렬 등에서 연주한 음악.
행악은 왕의 거둥, 관찰사와 사신의 행렬 등에서 연주한 음악을 말한다. 행악의 종류는 고취악, 취타악, 신호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고취악을 연주하는 악대는 전부고취, 후부고취, 전후고취이고, 장악원 소속 연주자가 연주했다. 취타악은 군영 소속 연주자가 연주한 음악이고, 조선시대의 취고수와 세악수, 취타내취와, 세악내취가 있었다. 신호악은 형명에 속하는 신호악기로 연주하는 음악이며, 고려시대의 취각군이 있었고, 조선시대에는 취각, 금ㆍ고, 취타내취가 연주했다.
왕의 거둥에서 행악을 연주하는 악대는 노부에 편성되어 있었다. 고려시대 노부에는 금정, 강고, 도고와 같은 악기와 취각군을 편성했다. 조선 전기 노부에는 취각, 금ㆍ고와 같은 형명 악기와, 전부고취와 후부고취를 편성했다. 조선 후기에는 금ㆍ고와 전부고취, 후부고취, 내취를 편성했다. 고취는 성내 거둥에서만 연주했고, 내취는 성내, 성외 거둥에 모두 참여했으며, 취고수와 세악수가 편성될 경우 성외 거둥에만 참여했다. 관찰사와 사신 행렬에는 취고수와 세악수가 연주를 담당했다.
행악은 왕의 거둥에 진설하는 노부에 포함된 악대가 연주했다. 행악의 종류는 고취악, 취타악, 신호악의 세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왕의 거둥에서 음악을 연주하는 행악의 연주전통은 삼국시대부터 시작되었다, 삼국시대에는 고(鼓)와 각(角)으로 연주하는 신호악 형태였다. 고려시대에는 고취가 있었으나, 노부에 편성되지 않았고, 신호악 위주로 연주했다. 조선 전기의 노부에는 전부고취와 후부고취, 취각과 금ㆍ고가 진설되었고, 고취악과 신호악을 연주했다. 조선 후기 노부에는 전부고취와 후부고취, 취타내취와 세악내취, 그리고 금ㆍ고가 진설되었으며, 고취악, 취타악, 신호악을 연주했다. 취타악은 조선 후기 관찰사와 사신 행렬에서도 연주했고, 취고수와 세악수가 담당했다. 고취악과 취타악은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다.
행악은 왕의 거둥이나, 관찰사와 사신의 행렬에 진설한 악대가 연주한 음악을 말한다. 행악을 연주하는 악기와 악대는 행렬의 성격과 시대에 따라 달랐고, 그 음악도 달랐다. 행악은 그 성격에 따라 고취악, 취타악으로 신호악 분류할 수 있다.
왕의 거둥을 예행(禮行), 행행(行幸), 유행(遊幸), 동가(動駕) 등이라고도 했고, 거둥의 용도에 따라 노부의 등급을 나누어 악기 혹은 악대를 진설했다. 이 노부에 포함된 악기 혹은 악대는 시대에 따라 달랐다. 고려시대의 노부에 편성된 악기는 금정, 강고, 도고였고, 악대는 취각군이었고, 이와 같은 악기와 악대로 연주한 음악을 신호악이다.
조선시대의 노부에 편성된 악기와 악대는 전기와 후기가 달랐다. 조선 전기 노부에는 취각, 금ㆍ고, 전부고취와 후부고취를 진설했고, 취각과 금ㆍ고가 연주한 음악은 신호악, 전부고취와 후부고취가 연주한 음악은 고취악이다.
조선 후기 노부에는 금ㆍ고, 내취(취타내취, 세악내취), 전부고취, 후부고취가 진설되었다. 조선 전기에 비해 신호악을 연주했던 취각이 없어지고, 취타내취와 세악내취가 연주하는 취타악이 새로 나타났다. 이 외에 관찰사와 사신행렬에는 취고수와 세악수가 취타악을 연주했다.
대한제국은 황제국이었므로 일부 노부의 명칭이 조선시대와 달라졌으나, 노부에 편성된 악대는 금고, 내취, 고취로 조선 후기와 동일했다. 다만 악대의 규모와 악기ㆍ악대의 숫자는 조선 후기에 비해 축소되었다.
신호악을 연주한 악기 혹은 악대는 삼국시대의 고ㆍ각, 고려시대의 금정, 강고, 도고, 취각군, 조선시대의 취각과 금ㆍ고 등 형명에 속하며, 형명은 신호나 지휘‧통신을 위한 악기였다.
고(鼓)ㆍ각(角)은 형명에 속하며, 그 규모나 구성은 분명하지 않다. 금(金)ㆍ고(鼓)는 형명이자 취타악기의 일종이고, 노부에서는 두 명 혹은 네 명으로 구성된 형태였으며, 위치는 노부의 종류에 따라 달랐다. 취각(吹角)은 ‘군사의 좌작진퇴(坐作進退)의 절도를 질서정연하게 하기 위해 각(角)을 연주하는 행위’ 혹은 ‘노부 행렬에서 각을 연주하는 연주집단’의 두 가지 의미를 지닌다. 각은 군영의 훈련에 주요하게 사용되었다.
노부에서 고취악을 연주한 악대는 전부고취와 후부고취였다. 전부고취와 후부고취는 왕의 성내(城內) 거둥에서만 음악을 연주했고, 왕이 여(輿)를 타고 궁에서 나와 연(輦)을 탈 때 음악을 시작하고, 왕이 연에서 내려 입차할 때 박을 급히 치고 음악을 그쳤다. 전부고취와 후부고취의 악기 편성은 동일하며, 향악기와 당악기로 구성되었다. 다만 악기 뿐만 아니라 노래[歌] 또는 맨손[空手]도 포함되었다. 전부고취와 후부고취가 연주한 음악은 〈여민락 영〉, 〈여민락 만〉, 〈환궁악〉 등이다.
취타악을 연주한 악대는 취고수, 세악수, 취타내취, 세악내취였다. 취고수는 취타수ㆍ취수로도 불렸으며, 임진왜란(1592~1598) 이후에 형성된 군영 악대의 하나이다. 취고수는 대각, 나각, 나발, 발라, 태평소, 금(金), 정(鉦), 나(鑼), 고(鼓), 솔발, 자바라, 점자 등 12종류의 악기로 편성된 악기로 편성된 악대였다. 취고수가 연주한 악기의 본래적 기능은 지휘ㆍ통신에 있었지만, 취고수는 행악 연주 악대로서 행진음악을 연주했다. 취고수는 노부에는 편성되어 있지는 않았지만, 정조(1776~1800)의 화성능행 때 수행했고, 관찰사나 사신 행렬에서 연주했다. 취고수가 연주한 음악에 〈대취타〉가 있다.
세악수는 조선 후기에 형성된 피리2, 대금1, 해금1, 장구1, 북1로 구성된 삼현육각을 연주한 군영악대의 일종이다. 세악수는 취고수와 짝을 이루어 연주를 했다. 세악수의 행악 연주 활동은 왕의 거동ㆍ관찰사의 행렬ㆍ군영의 행렬ㆍ사신 행렬 등 군영 소속 악대로서 활동했다. 세악수가 연주한 음악은 〈취타〉ㆍ〈길군악〉ㆍ〈길타령〉ㆍ〈별우조타령〉ㆍ〈군악〉이다.
내취 제도는 조선 전기에도 있었으나, 조선 후기에는 취고수와 세악수의 성립으로 취타내취와 세악내취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악대가 형성되었다. 군영에 소속되어 있는 연주자가 선전관청에도 소속되었을 때 겸내취라고 했다. 내취는 가전(駕前), 가후(駕後), 여전(輿前) 여후(輿後)에 진설되었으며, 성내, 성외 거둥에 모두 수행했다. 다만 노부에 편성된 내취는 취타내취였다. 내취는 취고수‧세악수와 악기 편성, 연주 악곡 면에서 일치하나, 소속 기관과 활동 영역이 다른 점에서 취고수ㆍ세악수와 변별되었다.
이숙희, 『조선후기 군영악대의 형성과 전개 연구 -취고수ㆍ세악수ㆍ내취-』, 태학사, 2007. 이숙희, 「행악 연주 악대의 종류와 성격」, 『한국음악연구』 35, 한국국악학회, 2004.
이숙희(李淑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