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부(鹵簿), 의장(儀仗), 위장(衛仗)에 진설하는 악기 편성의 명칭.
고취는 중국 한나라 초기에 발생했다. 처음에는 각(角)과 가(笳)를 사용하는 것을 고취라고 했으나, 뒤에 고취와 횡취로 양분되었다. 즉 고취는 배소(排簫)와 가(笳)로 연주하는 것이었고, 횡취는 말 위에서 고(鼓)와 각(角)으로 연주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고취와 횡취는 모두 군악으로 분류되었다. 당대(唐代) 이후 고취는 궁중악으로 수용되어 노부와 의장에 포함되었다. 우리나라에서 고취에 대한 기록은 삼국시대부터 보이며, 이때는 고(鼓)와 각(角)을 사용하는 군악이었다. 고려시대부터 의장과 위장에 고취를 진설했고, 대악서, 관현방, 교방이 담당하는 궁중음악으로 성격이 바뀌었다. 고려시대에는 고취라는 악기 편성이 정해져 있지 않았으나, 조선시대에는 의장에 포함된 전정고취와 전후고취, 노부에 포함된 전부고취와 후부고취 등 용도와 장소에 따른 악기 편성이 마련되었다.
우리나라에서 고취라는 용어는 삼국시대부터 사용되었고, 이때의 고취는 고(鼓)와 각(角)을 의미했으며, 천지의 제사음악이나 군악으로 사용했다. 고려시대에는 고취가 궁중음악으로 수용되었다. 고려시대에는 원구, 선농, 태묘, 적전, 연등회, 팔관회, 영조서(迎詔書), 사로(賜勞), 책태후(冊太后), 원자탄생왕강조(元子誕生王降詔), 왕태자납비왕강조(王太子納妃王降詔), 공주하가왕강조(公主下嫁王降詔), 진상국표전(進上國表箋), 노인사설(老人賜設), 견장출정사환(遣將出征師還)의 위장(衛仗)에 진설되었다. 고취를 진설하는 장소는 성문(國門) 밖, 대관전문 밖, 전중(殿中), 재궁(齋宮) 남문 밖 등이었다. 고취악은 대악서, 관현방, 교방에서 고취를 편성하여 연주했다.
조선시대 고취는 의장(儀仗)과 노부(鹵簿)에 편성되었다. 의장(儀仗)은 궁중에 진설하는 의장물이고, 대장(大仗), 반장(半仗), 소장(小仗)으로 구분되며, 의장물은 각각 대가노부, 법가노부, 소가노부에 대응하는 동일한 의장물을 사용했다. 의장에 편성된 고취는 전정고취, 전후고취, 문외고취(門外鼓吹), 세장고취(細仗鼓吹), 전상고취(殿上鼓吹)가 있었다. 전정고취는 반장에 편성했고, 반장은 조참, 문과전시, 생원 진사 방방, 배표, 배전, 권정례에 진설했다. 전후고취는 정전 뒤에 진설하여 왕이 사정전에서 나와 근전정에 이를 때까지와 왕의 출궁과 환궁 때에 연주했다. 이 외에 세장고취는 세의장(細儀仗) 고취의 준말로 왕, 왕대비, 왕비, 세자, 세자빈 등 왕실의 주요 인물의 치사를 내정전으로 받들고 올 때 사용했다. 전상고취는 『을유수작의궤』에 보이며 왕이 어좌에 오를 때 연주했다. 고취악은 장악원 악공들이 연주했다.
노부에 편성된 고취는 전부고취와 후부고취가 있었고, 대가노부, 법가노부, 소가노부에 전부고취와 후부고취를 편성했다. 대가노부는 영조칙, 친향사직의와 친향종묘의에 진설했고, 법가노부는 선농, 사우사단, 관사우사단, 관사, 무과전시 등에 진설했으며, 소가노부는 능을 참배할 때와 문 밖의 거둥 때에 진설했다. 황의장, 홍의장, 왕비의장에는 전부고취만 편성했다. 황의장은 영조칙과 배표에 사용했고, 홍의장은 천추절 배전에 사용했다. 왕비의장은 친잠 등에 사용했는데, 특별히 고취차비 여기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 외에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에 악공고취가 보인다. 전부고취와 후부고취는 왕의 수레가 출발할 때, 왕이 가마를 타고 궁에서 나와서 가마에서 내려 연을 탈 때, 왕이 연에서 내려 입차할 때, 환궁할 때 연주했다. 노부에 진설된 고취는 성내 거둥에만 편성했다.
대한제국 시기에는 의장을 진설하는 의례 중 고취를 편성한 의례는 조참이었다. 노부에는 대가노부, 법가노부, 소가노부, 황후노부, 황태자노부, 황태자비노부가 있었지만, 소가노부에 전부고취와 후부고취가 편성되었고, 황태자비노부에는 전부고취가 편성되었으며, 나머지 노부에는 고취가 없었다. 소가노부는 배릉(拜陵)과 문외행행(門外行幸)에 진설했다.
○ 악기 편성
고취의 악기 편성은 고취의 종류에 따라 악기의 종류와 숫자가 다르지만, 악기의 계통 면에서 모두 당악기와 향악기로 구성되어 있고, 악기의 분류 면에서 타악기, 관악기 현악기가 포함되어 있는 점에서 공통되었다. 다만 『세종실록』과 『국조오례의』에는 노래[歌]가 포함되어 있었지만, 『악학궤범』부터 고취에 노래[歌]가 없어지고, 대신 전부고취와 후부고취에 맨손[空手]이 생겼으며, 조선 후기까지 지속되었다. 전정고취에는 각종 현악기가 편성되어 있으며, 축, 어, 건고, 삭고, 응고, 편종, 편경 등 아악기가 없는 점 외에는 전정헌가와 동일하다. 『세종실록』에는 한 종류 고취만 제시되어 있고, 이것은 『악학궤범』의 전정고취와 유사하다. 이 고취는 전정에 진설하는 것이지만, 전부고취와 후부고취의 악기 편성도 이와 동일하다고 설명해 놓았다. 『춘관통고』에는 전정고악(殿庭鼓樂)으로 되어 있다. 전부고취와 후부고취의 악기 편성은 동일하며, 전후고취에 비해 교방고, 공수(空手), 그리고 담지가 더 추가되어 있다.
전정고취가 연주한 고취악은 〈성수무강〉, 〈태평년〉, 〈보허자〉, 〈오운개서조〉, 〈미후사〉, 〈수룡음〉, 〈낙양춘〉이 있고, 전부고취와 후부고취가 연주한 음악에는 〈환궁악〉, 〈여민락만〉, 〈여민락영〉이 있다.
고취는 당초 군악(軍樂)이었지만, 고려시대 이후 고취는 궁중음악으로 성격이 바뀌었었다. 고취(鼓吹)는 취타(吹打)와 구분된다. 고취라는 용어는 ‘두드리고[鼓] 분다[吹]’는 뜻이고 취타도 ‘불고[吹] 두드린다[打]’는 뜻으로, 고취와 취타는 그 의미가 동일하지만, 악기 편성, 악곡, 용도, 연주자의 소속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서로 구분된다.
『고려사』 『국조오례의』 『대한예전』 『세종실록』 『악학궤범』 『춘관통고』
이정희, 『대한제국의 황실음악』, 민속원, 2019. 김종수, 「조선후기 궁중연향 의궤의 고취 고찰」. 『국악원논문집』 44, 국립국악원, 2021. 김제훈, 「조선전기 국왕 의장제도의 정비와 상징」. 『史叢』 77,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 2012. 신대철, 「조선조의 고취와 고취악」.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학위논문, 1995. 이숙희, 「조선후기 군영악대의 형성과 전개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3.
이숙희(李淑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