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객 김천택(金天澤, 1680년대 후반~?)이 1728년에 가곡과 여항가요를 모아 편찬한 가집.
가객이자 포도청 포교였던 김천택이 광범위하게 수집한 노래를 모아 1728년에 편찬한 필사본 가집이다. 편찬 목적은 노래가 시(詩)와 달리 구전되다가 사라져 버리는 것이 안타까워 널리 전해지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고금의 가곡 462수, 〈장진주사(將進酒辭)〉와 〈맹상군가(孟嘗君歌)〉 2편, 만횡청류(蔓橫淸類) 116수의 총 580수를 장르와 악곡을 고려해 편집하였다. 현재 국립한글박물관에 소장된 『청구영언』이 그의 원고본(原稿本)이다.
가객이었던 김천택은 역대의 가곡들을 모은 노래책이 없어 노랫말이 잊히는 것을 안타까이 여겨 십 년 이상 작품들을 모았다. 그는 고금의 가곡과 여항노래인 만횡청류를 함께 수집하였다. 노래 원고들을 수정해 가던 마무리 단계에서 가곡과 만횡청류를 함께 수록하는 것에 대해 세간의 비판을 받게 될 것을 우려하였다. 완성본이 나오기 일 년 전, 이 문제에 대해 왕족 가객인 이정섭(李廷燮, 1688~1744)을 찾아가 자문을 구했다. 여항노래에 대한 이정섭의 적극적인 지지를 발문으로 받아내어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듬해엔 중인 학자인 정내교(鄭來僑, 1681~1757)의 서문을 받아 1728년 가집을 완성하였다. 오랜 기간에 걸친 편찬 작업 때문에 표제 『청구영언』은 최종 편찬 단계에서 결정되었고, 원고 단계의 노래 모음들은 ‘해동가요(海東歌謠)’ㆍ‘해동가요록(海東歌謠錄)’ㆍ‘해동가곡(海東歌曲)’ 등으로 불렸다. 이들 명칭은 가집명이 아니라 우리 노래 혹은 우리나라 노래라는 의미였다.
○ 서지 및 편찬 정보
제책 형태는 1책 총 72장이고, 크기는 가로17.5cm×세로26.5cm이다. 박물관 입수 당시 표지, 배접, 책실 등 제책 형태는 대부분 최근 모습이었다. 손상된 책을 현대에 와서 새로 장정한 데서 비롯된 것이다. 표제도 『청구영언(靑邱永言)』이라 되어 있었다. 박물관에서는 보존복원 처리 과정을 거쳐, 표제를 『청구영언(靑丘永言)』으로 바로잡고, 본문의 배접들도 제거해 복원하였다. 첫 면의 「청구영언서(靑丘永言序)」 최하단에는 세 개의 인장이 찍혀 있는데, 이 중 서문 글자들 위에 찍힌 희미하지만 가장 큰 장서인의 ‘남파거사(南坡居士)’라는 이름도 밝혀내었다. 남파는 김천택의 호로, 이 가집이 그의 원고본임이 확인되었다.
첫 면의 정내교 「청구영언서(靑丘永言序)」와 마지막 장의 이정섭 「청구영언후발(靑丘永言後跋)」의 일부가 마모되었으나, 각각 문집을 통해 내용 전모가 확인된다. 본문 종이는 곳곳에 훼손의 흔적이 많으나, 작품 부분은 거의 온전한 형태로 남아 있다.
『청구영언』에는 여러 개의 서문과 발문이 있는데, 크게 두 종류이다. 하나는 가집 편찬과 관련된 것으로 정내교 서문, 이정섭 후발(後跋), 그리고 김천택이 직접 쓴 서발문들이다. 이것들은 대부분 완성 단계에서 작성되었고, 이 서발문들을 통해 최종 완성본에 이르기까지 편찬자인 김천택의 편집 의도와 고심을 알 수 있다. 또 하나는 수집된 역대 작품들이 본디부터 갖추고 있던 서발문들인데, 이를 통해서는 역대 작은 가집이나 가첩들의 창작 사정을 알 수 있다.
○ 구성과 체제
전체 구성 체제와 작품 수는 다음과 같다. [ ] 부분은 항목명이 기입되어 있지 않아, 가집의 일반적인 편제에 맞추어 명칭을 넣었다.
청구영언서(靑丘永言序)
〈초중대엽(初中大葉)〉 1수
〈이중대엽(二中大葉)〉 1수
〈삼중대엽(三中大葉)〉 1수
〈북전(北殿)〉 1수
〈이북전(二北殿)〉 1수
〈초삭대엽(初數大葉)〉 1수
[이삭대엽(二數大葉)] 391수
〈삼삭대엽(三數大葉)〉 56수
〈낙시조(樂時調)〉 10수
〈장진주사(將進酒辭)〉 1수
〈맹상군가(孟嘗君歌)〉 1수
〈만횡청류(蔓橫淸類)〉 116수
[청구영언발(靑丘永言跋)]
청구영언후발(靑丘永言後跋)
가집의 앞뒤에 서발문을 갖추었다. 앞의 「청구영언서」는 정내교, 뒤의 「청구영언발」은 김천택, 「청구영언후발」은 이정섭의 글이다.
전체 작품은 노래 종류에 따라 세 가지로 구성되었다. 〈초중대엽〉부터 〈낙시조〉까지 462수는 단형 가곡이다. 〈장진주사〉와 〈맹상군가〉 2수는 장형 노래들이다. 〈만횡청류〉 116수는 여항가요이다.
가곡은 악곡별 편집인데, 이 중 〈이삭대엽〉에는 악곡명이 없다. 이는 〈이삭대엽〉이 방대한 작품군을 가질 만큼 가곡의 중심이어서 굳이 악곡명을 쓰지 않아도 누구나 알았던 당대 관행이 가집 편집에 반영된 것이다. 『해동가요』(박씨본), 『가조별람』 등 여러 가집에서 이런 관행이 나타난다.
〈장진주사〉ㆍ〈맹상군가〉 각 말미에는 홍만종(洪萬鍾, 1643~1725)의 『순오지(旬五志)』에 실린 평어((評語)를 약간 손질하여 함께 실었다. 두 작품은 마치 하나의 짝처럼 다른 가집들에서도 가곡 작품의 말미에 종종 나란히 실렸다. 『청구영언』(장서각본)ㆍ『시가』(박씨본)등의 가집에서 발견된다.
〈만횡청류〉는 여항의 장형 가요인데, 세부 악곡명 없이 작품만 실었다. 김천택은 <만횡청류>에 별도의 작은 서문을 붙였는데, 그 내용은 노랫말이 지나치게 과하고 뜻이 하찮지만 오래되었기에 싣는다는 수록의 변(辯)이다. 삼십여 년 후부터는 〈만횡청류〉의 본래 악곡은 버리고 노래 가사만을 그대로 취하여 가곡 낙ㆍ농ㆍ편 악곡으로 부르기 시작했다.
○ 작품 수록 양상과 세부 내용
『청구영언』 노래들 중 가곡에서는 정밀한 세부 분류 체계가 나타난다. 먼저 9개 악곡을 기본 틀로 삼았는데, 작품 수로 보아 가창의 중심은 〈중대엽〉이 아닌 〈삭대엽〉이다.
〈삭대엽〉 작품은 다시 유명씨(有名氏)와 무명씨(無名氏)로 나누었다. 유명씨 작품들은 모두 〈이삭대엽〉에만 배치했고, 시대와 신분에 따라 ‘여말(麗末)-본조(本朝)-열성어제(列聖御製)-여항육인(閭巷六人)-규수삼인-연대결고’ 순으로 배열하였다. 이 중 ‘여항육인’은 당대 노래로 이름난 이들을 지칭한 것인데 ‘여항칠인’이라고 썼다가 수정한 흔적이 보인다. 유명씨 작품 수집에서는 한두 수만 전승된 작품부터 한 작가의 다수 창작품 전체도 빠짐없이 모았다. 또한 역대 사대부 작품에 딸린 서발문도 함께 수록하였고, 여항인 작품에는 김천택 자신이 직접 서(序)를 써 넣었다. 이처럼 유명씨 작품들 수집과 편집에 많은 공을 들였고, 유명씨 작품들의 끝에는 김천택이 쓴 별도의 발문까지도 남겼다.
무명씨 작품은 유명씨가 끝난 뒤에 이어진다. 〈이삭대엽〉 후반부 103수와 〈삼삭대엽〉 56수가 무명씨 작이다. 김천택은 유명씨처럼 무명씨 발문도 남겼는데, 〈삼삭대엽〉 끝에 놓여 있다. 〈이삭대엽〉의 무명씨 부분에는 52개의 주제어로 내용별 분류를 보여 주고, 〈삼삭대엽〉은 주제어 없이 구비전승에서 형성된 공통 어구라는 내용상 유사 작품들 순으로 배열하였다.
『청구영언』은 가곡과 여항가요를 함께 수록한 가집이다. 이 가집의 여항가요인 〈만횡청류〉의 노랫말은 얼마 지나지 않아 가곡의 농ㆍ낙ㆍ편으로 흡수되었다. 김천택은 가곡뿐만 아니라 〈만횡청류〉의 가치도 알아본 가객이었다. 『청구영언』은 매우 정밀한 구성 체계를 갖추었는데, 이 체계의 표면은 악곡이지만 내부는 작가를 중심으로 한 치밀한 분류의식을 보여 준다. 구전 가곡을 작가별, 내용별 분류의 시각에서 보기 시작하였음을 보여 주는 가집이다. 현존 최초의 가집이므로, 가집이 처음 만들어질 때 작동된 사유를 잘 보여 준다.
보물(2022)
강경호, 「김천택 편 『청구영언』 ‘무명씨(無名氏)’ 작품 배열의 내적 체계 - 『청구영언』 무명씨, 주제별 분류인가?」, 『국제어문』 75, 2017. 권순회, 「김천택(金天澤) 편 『청구영언(靑丘永言)』의 문헌 특성」, 『청구영언』(영인편), 2017. 김영진, 「조선후기 시가관련 신자료(1)-전만제, 반치, 이한진 등을 중심으로」, 『한국시가연구』 20, 2006. 김윤조, 「저촌 이정섭의 생애와 문학」, 『한국한문학연구』 14, 1991. 신경숙, 「『청구영언』과 사설시조」, 『한국시가연구』 58, 2023. 신윤경, 「『진본 청구영언』 소재 만횡청류의 존재 양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이상원, 「만횡청류의 운명-『청구영언』 수록 전과 후」, 『한국시가연구』 43, 2017. 이진희, 「김천택(金天澤) 편 『청구영언(靑丘永言)』의 보존복원」, 『청구영언』(영인편), 2017. 조해숙, 「자료로 본 김천택 편 『청구영언』의 몇몇 문제에 대하여」, 『국문학연구』 47, 2023.
신경숙(愼慶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