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에 사용되는 조이름으로 주로 가야금병창제라고도 하는데, 구성음과 선율의 진행은 판소리 평조와 유사하되 평조보다 밝고 경쾌한 분위기를 낸다.
석화제는 조선 순조 때의 판소리 명창 김제철과 신만엽 등이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다. 정노식의 『조선창극사』(1940)에는 명창 김제철에 대해 “특히 석화제(伽倻琴竝唱제 近似)를 잘 불렀다 한다.”라고 기록하고 있으며, 김제철과 동시대 명창인 신만엽에 대해서는 “斜風細雨申萬葉(사풍세우신만엽)”이라 칭하고 “歌調(가조)가 軟美浮輕(연미부경)하여 時人(시인)이 斜風細雨(사풍세우)의 稱號(칭호)를 주었는지 모르거니와 그 聲望(성망)이 一代(일대)를 風靡(풍미)하였는지라.”라고 기록하고 있다.
《수궁가》 중 〈소지노화〉 대목을 사풍세우 신만엽의 더늠이라 하며, 후대의 명창들도 이 대목을 석화제라 이른다. 또한 가야금산조 명인 함동정월은 자신의 가야금산조 ‘중중모리’ 제3악장을 석화제(사풍세우)라 일렀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함동정월류 가야금산조의 석화제 대목은 선율의 구성음이 ‘당, 동, 징, 땅, 지’로, 이는 서양의 계명으로 해석하면 ‘sol-la-do′-re′-mi′(fa′)’로 해석할 수 있으며, 종지 선율에서 종지음은 ‘징(do′)’으로 이 음이 중심음 ‘청’이며, ‘당(sol)’을 요성하고, ‘땅(re′)’을 퇴성하거나 가늘게 떨어준다고 보았다. 《수궁가》 중 〈소지노화〉 대목도 이와 동일한 구성음과 선율 진행ㆍ시김새의 특징을 보이는데, 이는 판소리 평조의 특징과도 동일하다. 그러나 석화제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연구가 아직 미진한 상태이며, 판소리 평조가 화평한 분위기인데 비하여 석화제는 보다 밝고 경쾌한 느낌을 갖는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분위기는 선법적 차이보다는 발성과 시김새의 구체적인 표현에서 오는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창극사』에 석화제를 가야금병창제와 유사하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판소리 석화제가 가야금병창제와 유사한 것이 아니라, 판소리 중 석화제 대목을 주로 가야금병창으로 노래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가야금병창은 판소리 중 일부 대목을 창자가 직접 가야금을 연주하며 소리하는 장르로, 판소리 대목 중에서 비교적 짧으며 경쾌한 대목을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그러한 특성에 잘 맞는 대목이 석화제라 하겠다.
성애순 채보, 『가야금 산조: 최옥산류』, 은하출판사, 1986. 정노식, 『조선창극사』, 조선일보사출판사, 1940. 이보형, 「고음반에 제시된 판소리 명창제 더늠」, 『한국음반학』 1, 1991. 이보형, 「판소리와 산조에서 우조와 평조 연구」, 『국립민속국악원논문집』 1, 2001. 이윤경, 「‘석화제’ 가락비교 연구 : 판소리, 가야금병창, 가야금산조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신은주(申銀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