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 유파의 하나로 전라도 동북부 지역에서 주로 전승되어온 소리제
판소리 유파는 크게 지역에 따라 경기ㆍ충청 지역의 소리와 전라도 지역의 소리로 구분되고, 전라도 지역의 소리는 서남부와 동북부의 소리로 구분된다. 이때 전라도 동북부 지역인 남원ㆍ구례ㆍ순창 등지를 중심으로 발달한 판소리 유파를 동편제라고 한다.
1940년에 출판된 정노식의 『조선창극사』에는 동편제에 대해 “東西(동서)의 流來(유래)가 如何(여하)히 分流(분류)된 것이냐 하면 송흥록(宋興祿)의 法制(법제)를 標準(표준)하여 雲峯(운봉), 求禮(구례), 淳昌(순창), 興德(흥덕)等地(등지) 이쪽을 東便(동편)이라하고 西(서)는 박유전(朴裕全)의 法制(법제)를 標準(표준)하여 光州(광주), 羅州(나주), 寶城(보성)等地(등지) 저쪽을 西便(서편)이라 하였다. 그後(후)에는 地域(지역)의 標準(표준)을 떠나서 소리의 法制(법제)만을 標準(표준)하여 分派(분파)되었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지역 간 왕래가 원활하지 못하였던 조선시대에는 자연스레 지역을 중심으로 음악 문화가 발달하고 판소리 전승이 이루어졌으므로, 판소리 유파인 동편제도 지역적 기반을 바탕으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 서울을 중심으로 공연 문화가 활성화되면서 각 지역의 예인들이 한 곳에 모이게 되고, 교통의 발달 등으로 지역 간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판소리 유파는 더 이상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소리 계보에 따른 특성을 보이게 되었다. 오늘날에는 한 명의 창자가 여러 스승에게 다양한 소리를 학습하게 되면서 판소리에서 동ㆍ서편의 유파 개념은 거의 허물어졌다.
19세기 중반 송흥록의 소리를 법제로 하여 발달하였으며, 이후 송광록ㆍ박만순ㆍ송우룡ㆍ송만갑ㆍ전도성ㆍ유성준 등을 거쳐 장판개ㆍ박봉래ㆍ김정문ㆍ박봉술 등의 명창들에게 이어졌다. 동편제의 소리 특징에 대해 정노식의 『조선창극사』에는 “東便(동편)은 羽調(우조)를 主張(주장)하여 雄健淸談(웅건청담)하게 하는데 호령조가 많고 發聲初(발성초)가 썩 진重(중)하고 句節(구절) 끝마침을 꼭 되게 하여 쇠마치로나 내려치는 듯이 하고”라고 설명하고 있다.
동편 계보의 소리를 음악적으로 분석하여 보면 계면조보다는 우조를 중심으로 하며, 시김새나 붙임새의 측면에서 기교보다는 기본에 충실한 소리로, 발성도 통성을 위주로 씩씩하고 꿋꿋하게 한다.
오늘날 전승되는 판소리 중 동편 계보의 소리로는 박봉술 바디 《춘향가》, 강도근 바디 《흥보가》, 유성준 바디 《수궁가》 등이 대표적이나, 오늘날에는 동편제와 서편제가 확연히 구분되기보다는 서로 절충되거나 한 계보의 소리 안에서도 양자가 공존하는 경우가 많다.
판소리: 국가무형문화재(1964) 남도창동편제: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1993) 판소리동편제(춘향가):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1998) 판소리: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2003)
정노식, 『조선창극사』, 조선일보사출판부, 1940. 최동현, 유영대 편, 『판소리 동편제 연구』 태학사, 1998.
신은주(申銀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