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악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우리나라 고유의 음악과 통일신라시대 이전 외국에서 들어와 오래된 음악을 통칭하는 개념
주로 한반도 고유의 음악을 뜻하며, 중국에서 들어온 당악, 아악과 구별해서 쓰였다.
기록상으로 향악은 통일신라시대부터 등장한다. 당나라로부터 중국의 음악이 들어옴에 따라 그 당악과 구별하기 위한 개념으로 쓰였다. 고려시대에는 향악 대신 속악으로써 우리나라 음악을 칭하였다. 조선 전기에 이르러 다시 우리나라 음악을 향악으로 명명하고, 향악과 당악을 통칭하여 속악이라 하였다.
조선 후기 향악은 제례악의 용도로 쓰인 향악곡과 구별하는 개념으로서 〈치화평〉ㆍ〈취풍형〉ㆍ〈봉황음〉ㆍ〈진작〉ㆍ〈만대엽〉ㆍ〈쌍화점〉ㆍ《영산회상》 등 우리나라 고유의 음악 외에 향악화된 보허자까지 아우르는 의미로 쓰였다. 오늘날 향악은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고유의 음악을 가리키는 의미로 쓰인다.
향악은 통일신라시대부터 중국 당나라에서 들어온 당악과 구별되어 쓰였다. 당악이 들어오면서 우리나라 고유의 음악과 당악이 전래되기 이전에 들어온 외래 음악을 통칭해서 향악이라 하였다. 그에 따라 당나라에서 들어온 온 비파를 ‘당비파(唐琵琶)’, 당비파 이전에 들어 왔던 5현비파를‘향비파(鄕琵琶)’로 구분하였다. 또한 최치원은 ‘향악잡영오수(鄕樂雜詠五首)’에서 외국에서 들어온 사자춤을 비롯한 외국의 잡기까지 향악이라 칭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우리나라 고유의 음악을 향악이라 하지 않고 속악(俗樂)이라 하였다.『고려사』 「악지」에는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의 본토 음악을‘삼국속악(三國俗樂)’, 고려시대 음악을 아악(雅樂)ㆍ당악(唐樂)ㆍ속악(俗樂)으로 구별하였는데, 그 속악이 곧 우리나라 음악을 가리키는 개념임을 알 수 있다.
조선 전기에 이르러 고려시대에 칭한 속악은‘향악’으로 바뀌었다. 『악학궤범』에는 아악(雅樂)ㆍ당악(唐樂)ㆍ향악(鄕樂)으로 구분함으로써 우리나라 음악을 속악이 아닌 향악이라 하였고, 속악은 아악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당악과 향악을 통칭하는 개념으로 변하였다. 세종이 새로 창제한 〈여민락〉ㆍ〈보태평〉ㆍ〈정대업〉 등이 조선 전기의 대표적 향악곡이었다. 연산군대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시용향악보」에서는 〈청산별곡〉, 〈쌍화점〉 등 26곡을 모두 향악이라 하였다. 또한 『대악후보』 권3~7은 「시용향악보」라 하여 〈치화평〉, 〈취풍형〉, 〈봉황음〉, 〈진작〉, 〈만대엽〉, 〈보허자〉, <영산회상>, 〈북전〉, 〈동동〉, 〈정읍〉 등 21곡의 악보를 실었는데, 조선전기에 당악으로 구분되었던 〈보허자〉가 「시용향악보」에 포함된 점이 주목되는데, 〈보허자〉가 조선후기에 향악화되면서 『대악후보』를 편찬하던 정조대에 향악으로 인식되었음을 알 수 있다.
향악은 보통 우리나라의 음악을 가리키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고려시대에는 향악을 속악이라 하였으므로 우리나라 고유의 음악을 지시하는 용어는 향악 또는 속악으로 시대에 따라 달리 사용되었다.
『고려사』 「악지」 『대악후보』 『악학궤범』
이혜구 역, 『신역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양태순, 「선초 향악의 흐름과 그 시가사적 의미」, 『한국시가연구』 7, 한국시가학회, 2000. 임주탁, 「향악의 개념과 향가와의 관계」, 『한국문학논총』 79, 한국문학회, 2018. 최헌, 「조선 초기 향악 악조의 체계화 연구」, 『동양예술』 54, 한국동양예술학회, 2022.
임미선(林美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