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조정의례에 전정헌가(殿庭軒架)를 대신하여 전정(殿庭)에 설치된 악대 .
전정헌가가 설치되는 의례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조참(朝參)이나 생원진사방방(生員進士放榜) 등 의례의 전 뜰[殿庭]에 설치되었으며 아악기 없이 향ㆍ당악기로만 편성되었다.
고대로부터 고취는 대개 관악기와 타악기 중심으로 편성되어 왕이 움직일 때 음악을 연주하는 역할을 하였지만, 조선 초기에 정립된 전정고취는 헌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격이 낮은 조정의례에서 음악을 연주하는 악대로 사용되었다.
전정고취는 조참(朝參)이나 생원진사방방의(生員放榜儀) 등 의례의 전 뜰에 설치되어 왕의 입ㆍ퇴장이나 신하들의 배례 절차에 음악을 연주하던 악대이다. 국가적으로 중요한 의례에 전정헌가가 설치된 것에 비해 상시로 열리거나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의례에는 전정고취가 설치되었다.
『세종실록』 「오례」 ‘가례서례’에 수록된 전정에 설치하는 고취 악현과 『국조오례서례』에 수록된 '고취도설'에는 생(笙)ㆍ화(和)와 같은 아악기도 일부 포함되어 있다.
이후 『악학궤범』 전정고취에는 생ㆍ화가 제외되고 향ㆍ당악기로만 편성되었으며, 전후고취와 전ㆍ후부고취도 각각의 악현도가 나타나는데, 전정고취에는 전후고취나 전ㆍ후부고취와 달리 현금(玄琴)ㆍ가야금(伽倻琴)ㆍ대쟁(大箏)ㆍ아쟁(牙箏) 등의 현악기도 포함된다는 특징이 있다.
조선시대 전정고취의 쓰임을 통해 의례의 위격에 따라 악대를 구분하여 사용하였던 실례를 알 수 있다.
『국조오례서례』 『세종실록』 「오례」 『악학궤범』
임미선, 『조선조 궁중의례와 음악의 사적 전개』, 민속원, 2011. 신대철, 「朝鮮朝의 鼓吹와 鼓吹樂」,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임미선, 「朝鮮朝 殿庭軒架의 文獻的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임영선(林映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