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묘제례의 아헌례와 종헌례를 봉행할 때 연주하는 《정대업》 열한 곡 중 두 번째 곡
<독경>은 평조인 《보태평》의 두 번째 곡 〈기명〉을 계면조로 바꾸어 놓은 곡이며, 《용비어천가》 제3장 〈주국장(周國章)〉과 관계있다. 악장은 목조가 오동(斡東)에 살 때 5천 호소(五千戶所)의 장(長)이 되었는데, 왕업의 일어남이 이로부터 시작되었다는 내용으로 되어있다.
○ 악곡의 소속과 용도 <독경>은 종묘제례의 아헌례와 종헌례에 연주하는 《정대업》의 두 번째 곡이다. ○ 제목, 선율, 악장가사의 출처 <독경>은 악장 중 ‘휼독기경(遹篤其慶)’에서 따왔다. 선율은《보태평》의 〈기명〉을 계면조로 바꾸어 놓은 것이다. 악장은 목조가 오동(斡東)에 살 때 5천 호소(五千戶所)의 장(長)이 되었는데, 왕업의 일어남이 이로부터 시작되었다는 내용이다. 《용비어천가》 제3장 〈주국장(周國章)〉과 관련이 있다.
○ 음계, 박법, 장단 『세조실록』 악보의 <독경>의 음계는 황(黃:C4)·협(夾:E♭4)·중(仲:F4)·임(林:G4)·무(無:B♭4)의 황종 계면조였다. 현재 편종ㆍ편경 선율은『세조실록』 당시와 동일하게 전승되고 있으며, 피리ㆍ대금ㆍ해금과 악장(樂章)의 경우 음계의 최저음 황종(黃:C4)을 모두 무역(㒇:B♭4)로, 일부 임종(林:G4)을 중려(仲:F4)로 내려 연주한다. 네 글자마다 박을 한 번 치고[四字一拍], 박 넷이 한 곡을 이룬다[四拍一聲]. 현행 종묘제례악의 장구점은 『세조실록』 악보의 장구점을 현행 리듬에 적용한 것인데, 국악전집 제18집 『종묘제례악』 독경 악보에는 『세조실록』 악보에 비해 장구점이 사라진 곳이 네 군데 보인다.
오황성목(於皇聖穆) 아아! 위대하고 성스러운 목조께서, 건아우삭(建牙于朔) 북방에 군기를 세우셨네 휼독기경(遹篤其慶) 이에 그 경사로움을 돈독하게 하여 조아왕적(肇我王迹) 우리 왕업의 자취를 여셨도다.
출처: 이세필 편저, 윤호진 역주, 『역주악원고사』, 국립국악원, 2006.
『대악후보』 『대한예전』 『세조실록』 『속악가사』 『속악원보』 『시용무보』 『악원고사』 『악장요람』 『악학궤범』 『조선악개요』 『종묘악장』 『종묘의궤』 『춘관통고』 『향만년지악』
김영운, 『국악개론』, 음악세계, 2015. 장사훈, 『증보 한국음악사』, 세광음악출판사, 1986. 김종수, 『역주 증보문헌비고』, 국립국악원, 1994. 송지원ㆍ이숙희ㆍ김영숙, 『종묘제례악』, 민속원, 2008. 이세필 편저, 윤호진 역주, 『역주 악원고사』, 국립국악원, 2006. 장사훈, 『국악논고』, 서울대학교출판부, 1986. 류정연, 「정대업의 음악적 변화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이숙희, 「종묘제례악 악장의 음악적 변화」, 『한국음악연구』 39, 2006, 237~265쪽. 조성욱, 「종묘제례악의 장고점 변천의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이숙희(李淑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