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아래에 설치된 악대
당 아래에 설치된 악대를 지칭하며 대표적인 당하악으로는 헌가(軒架)가 있다. 조선시대에는 여러 유형의 당하악이 있었다.
당하악은 『서경(書經)』ㆍ『주례(周禮)』등 고대의 유교 경전에서부터 시원을 찾을 수 있다. 한반도에서는 고려조에 처음으로 당 아래에 헌가가 설치되어 제례와 조정의례에서 음악을 연주하였고, 조선조에는 아악기로 편성된 헌가 외에 여러 유형의 당하악이 제례와 조정의례에서 설치되어 음악을 연주하였다.
당(堂)은 대개 전(殿)보다 격이 낮은 건물을 뜻하나, 당하악이라는 용어에서 ‘당’은 전각 일반을 의미하며 ‘당하악’ 역시 전각 아래에 설치되는 악대 일반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당하악은 『서경』ㆍ『예기(禮記)』 등에서 당 위아래로 악대를 구분하는 구절에서 시원을 찾을 수 있다. 또한 『주례(周禮)』에서 ‘왕은 궁현을, 제후는 헌현을, 경대부는 판현을, 사는 특현(王宮縣, 諸侯軒縣, 卿大夫判縣, 士特縣)을 사용한다’고 하여, 신분에 따라 당하에 설치하는 악대에 구분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한반도에서는 고려조에 대성아악(大晟雅樂)이 유입되면서 당하악으로서 헌가가 의례에서 음악을 연주하였다. 조선조 제례에서 당하에 설치되어 음악을 연주하는 악대로는 아부악현(雅部樂懸)의 헌가뿐 아니라 속부악현(俗部樂懸)의 종묘영녕전헌가(宗廟永寧殿軒架), 문소전(文昭殿) 등 원묘(原廟)의 전정악(殿庭樂)도 있다.
조정의식과 예연에서도 정전의 당 아래 뜰에 악대를 설치하는데, 이에 해당하는 전정악으로는 전정헌가(殿庭軒架)와 전정고취(殿庭鼓吹)가 있다.
고종이 황제국을 선포하며 대한제국 체제로 운영된 이후로는 궁중의례에 헌가 대신 궁가(宮架)가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악대의 쓰임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국조오례의』 『서경』 『악학궤범』 『예기』 『주례』
김종수, 「朝鮮前期 雅樂 樂懸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4. 송혜진, 「高麗時代 雅樂의 변천과 지속」,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부설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5.
임영선(林映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