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2년 경성에 최초로 설립한 관영 실내 극장 희대(戱臺)에서 개최된 첫 유료 공연.
소춘대유희는 예인(藝人)들을 중심으로 설립되었던 상업적 목적의 전통연희회사인 협률사(協律社)가 1902년 12월 4일 대중들을 대상으로 처음 개최했던 유료 공연의 제목이었다.
1902년 고종황제의 망육순(望六旬)과 즉위 40년을 축하하기 위한 진연(進宴)과 칭경예식(稱慶禮式)이 계획되었다. 이 과정에서 칭경예식에 사용될 서구식 극장 형태의 연희 공연장인‘희대’가 봉상시(奉常寺) 내에 설치되었고 행사의 축하를 위해 전국적으로 예인들이 모집되었다. 그러나 칭경예식이 연기되어 소집된 예인들이 무용(無用)하게 되면서 이들을 활용해 영리를 목적으로 협률사라는 전통연희회사가 결성된다. 협률사는 칭경예식을 위해 설치되었던 황실 소관의 실내 극장 희대에서 대중들을 대상으로 소춘대유희라는 공연 제목으로 처음 유료 공연을 개최하였다.
○ 공연 레퍼토리 및 공연 방식
1902년 12월 4일 경성 최초의 관영 실내 극장 희대에서 전통연희회사인 협률사가 상업적 목적의 공연으로 소춘대유희를 처음 선보였다. 이 공연에는 광대, 탈꾼, 소리꾼, 춤꾼, 소리패, 남사당, 땅재주꾼, 기생 등 전통연희에 능한 예인들이 대거 참여하였다. 협률사는 첫 유료 공연이었던 소춘대유희 이후 1902년 12월 말 또는 1903년 1월 첫 주경에 소춘대유희라는 동일한 공연 제목으로 두 번째 공연을 개최하였다. 프랑스인 고고학자 에밀 부르다레(Emile Bourdaret, ?~?)는 당시 협률사가 두 번째로 개최했던 소춘대유희 공연을 직접 관람하였는데, 당시 그의 기록을 통해 공연의 레퍼토리를 대략 파악해 볼 수 있다. 협률사의 두 번째 소춘대유희에서 악사들의 연주, 광대들의 줄타기와 널뛰기, 어릿광대의 공놀이와 무동놀이, 광대들의 가면극, 배우들의 희극 <마른 나무에 꽃이 피다(남성 판소리 창자들이 분창 형식으로 공연한 창극 《심청전》으로 추정)>, 특별 출연을 한 궁중 무용수들의 춤 등이 공연되었다.
황지(黃紙) 상등표, 홍지(紅紙) 중등표, 청색지(靑色紙) 하등표 이상 3등 좌석으로 구분된 실내 극장 희대에서 전통연희회사 협률사가 유료로 처음 공연했던 소춘대유희는 1902년 12월 4일부터 12월 6일까지 광고된 것으로 볼 때 대략 3일간 개최되었으며 공연 시간은 저녁 6시부터 11시까지 장시간 연행되었다. 관련 자료들을 통해 공연 방식을 유추해 보면 소춘대유희는 전체 공연을 크게 앞과장과 뒷과장으로 구분하고 앞과장에서는 삼현육각 연주와 기생들의 가무 등을 선보인 이후 판소리를 토막소리로 구성하였다. 뒷과장에서는 창극 등이 연행되었는데 특히 창극은 한 작품을 여러 날에 걸쳐 나누어 공연함으로써 관람객이 여러 번 왕래하도록 기획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1902년 경성에 최초로 설립한 관영 실내극장 희대에서 첫 유료공연으로 개최되었던 소춘대유희는 이전까지 옥외 무대를 중심으로 연행되었던 전통연희가 실내 무대 중심으로 재편되는 계기를 마련한 의미 있는 공연이었다. 특히 판소리를 여러 사람이 분창해 부르는 초기 창극 형식의 공연을 선보이며 이후 설립되는 사설 극장들이 창극을 중심으로 공연을 기획하는 등 공연 방식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김민수, 「초창기 창극의 공연양상 재고찰-협률사와 원각사의 공연활동을 중심으로-」, 국악원논문집 27, 2013. 김민수, 「1900년대 창극의 형성에 관한 재고찰」, 음악과 현실 62, 2021. 정진국역, 『대한제국 최후의 숨결』, 글항아리, 2009. 조영규, 『바로잡는 協律社와 圓覺社』, 민속원, 2008. 「광고」, 『제국신문』, 1902. 12.4. 「논설, 협률사구경(계속)」, 『제국신문』, 1902.12.16. 「協律社自發」, 『제국신문』, 1903. 2. 17.
김민수(金珉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