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용향악보』에 유일하게 수록된 1행은 16정간의 16행 길이의 평조 악곡이다.
『시용향악보』에만 유일하게 전한다.
○ 구성요소 및 원리
군마대왕은 〈구천〉, 〈별대왕〉과 함께 구음만으로 노래하는 곡이다. 가사는 관악기의 구음(口音)소리 같기도 하고 소 모는 소리 같기도 하므로, 이 노래가 군마와 영교(靈交)할 때 연주되었을 것으로 간주되어 주술적 기능을 담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혹은 궁중의 여마(輿馬)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사복시(司僕寺)에서 말신[馬神]에게 제사를 지낼 때 무격(巫覡)에 의하여 불리었을 가능성도 제시되었다. 『시용향악보』에 수록된 군마대왕의 원문과 해석을 제시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원문 | 해석 |
---|---|
리러루 러리러루 런러리루, | 리러루 러리러루 런러리루, |
러루 러리러루, | 러루 러리러루, |
리러루리 러리로, | 리러루리 러리로, |
로리 로라리, | 로리 로라리, |
러리러 리러루 런러리루, | 러리러 리러루 런러리루, |
러루 러리러루, | 러루 러리러루, |
리러루리 러리로 | 리러루리 러리로 |
그러나 군마대왕은 이전의 해석과는 달리 바로 앞의 수록곡 〈삼성대왕〉에서 삼성(三成), 즉 경복궁, 창경궁, 창덕궁에 거하는 왕실에 혹시 있을지 모르는 장난(瘴亂)을 없애기 위해 대왕, 즉 연산군을 부르고, 이에 응답한 대왕이 내려와 몰아내는 행위를 묘사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군마대왕은 평조이며 16정간의 열여섯 장단으로 구성되었다.
장단은 16정간의 2행을 한 주기로 삼은 이 곡의 장단은 2행 단위로 ‘고(8)요(8)/편(8)쌍(8)’이 반복된다. 이와 같은 장고형은 동보의 〈쌍화곡〉, 〈상저가〉, 〈구천〉, 〈별대왕〉과 동일하다.
『시용향악보』 〈군마대왕〉의 악보를 가로 정간보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제1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군마대왕 | 제1소행 | 上一 | 宮 | 下一 | |||||||||||||
제2소행 | 鼓 | 搖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리 | 러 | 루 |
제2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군마대왕 | 제1소행 | 宮 | 上一 | 宮 | 下一 | ||||||||||||
제2소행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러 | 리 | 러 | 루 |
제3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군마대왕 | 제1소행 | 宮 | 上一 | 上二 | 上一 | ||||||||||||
제2소행 | 鼓 | 搖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런 | 러 | 리 | 루 |
제4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군마대왕 | 제1소행 | 宮 | 下一 | ||||||||||||||
제2소행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러 | 루 |
제5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군마대왕 | 제1소행 | 宮 | 上一 | 宮 | 下一 | ||||||||||||
제2소행 | 鼓 | 搖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러 | 리 | 러 | 루 |
제6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군마대왕 | 제1소행 | 上一 | 宮 | 下一 | 宮 | ||||||||||||
제2소행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리 | 러 | 루 | 리 |
제7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군마대왕 | 제1소행 | 下二 | 上二 | ||||||||||||||
제2소행 | 鼓 | 搖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러 | 리 |
제8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군마대왕 | 제1소행 | 上一 | |||||||||||||||
제2소행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로 |
제9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군마대왕 | 제1소행 | 上二 | 上三 | ||||||||||||||
제2소행 | 鼓 | 搖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로 | 리 |
제10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군마대왕 | 제1소행 | 上二 | 上一 | 上二 | |||||||||||||
제2소행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로 | 라 | 리 |
제11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군마대왕 | 제1소행 | 宮 | 上一 | 宮 | |||||||||||||
제2소행 | 鼓 | 搖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러 | 리 | 러 |
제12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군마대왕 | 제1소행 | 上一 | 宮 | 下一 | |||||||||||||
제2소행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리 | 러 | 루 |
제13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군마대왕 | 제1소행 | 宮 | 上一 | 上二 | 上一 | ||||||||||||
제2소행 | 鼓 | 搖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런 | 러 | 리 | 루 |
제14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군마대왕 | 제1소행 | 宮 | 下一 | ||||||||||||||
제2소행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러 | 루 |
제15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군마대왕 | 제1소행 | 宮 | 上一 | 宮 | 下一 | ||||||||||||
제2소행 | 鼓 | 搖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러 | 리 | 러 | 루 |
제16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군마대왕 | 제1소행 | 上一 | 宮 | 下一 | 宮 | ||||||||||||
제2소행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리 | 러 | 루 | 리 |
제17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군마대왕 | 제1소행 | 下二 | 上二 | ||||||||||||||
제2소행 | 鼓 | 搖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러 | 리 |
제18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군마대왕 | 제1소행 | 上一 | |||||||||||||||
제2소행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로 |
군마대왕은 타 악보에는 보이지 않는 희소한 노래로 『시용향악보』라는 관찬악보에 수록되어 현재까지 전승되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고려사』 「악지」 『조선왕조실록』
윤아영, 『왕실의 연말 문화, 나례: 유교 제도화 과정과 왕실의 연말 문화』, 국학자료원, 2022. 이혜구 역, 『한국음악학학술총서 제5집: 신역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김동욱,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의 배경적 연구(背景的 硏究)」, 『한국가요의 연구』, 1961. 윤아영, 「『시용향악보』 간행 배경 재고(再考)」, 『동양음악』 43, 2018. 윤아영,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 향악곡(鄕樂曲)의 궁(宮)」,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윤아영, 「조선시대 현수(絃首)의 신분과 음악 활동에 관한 연구」, 『역사민속학』 53, 2017. 이상규,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 소재 「군마대왕(軍馬大王)」의 구음법」, 『온지논총』 2, 1996. 임재해, 「시용향악보 소재 무가류시가연구」, 『한민족어문학』 9, 1982. 하태석, 「무가계 (巫歌系) 고려속요(高麗俗謠)의 성격 연구」, 『어문논집』 43, 2001.
윤아영(尹娥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