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 20번째로 수록되어 있는 조선 전기의 가요.
『시용향악보』에 유일하게 수록된 1행은 16정간의 12행 길이의 평조 악곡이다.
삼성대왕은 다른 악보에는 보이지 않는 곡으로 『시용향악보』에만 가사와 악보가 전한다.
○ 구성 요소 및 원리 삼성대왕은 장독(瘴毒:축축하고 더운 땅에서 생기는 독기)과 재난을 없애 달라고 삼성대왕에게 기원하는 가사 내용으로 보아, 기은(祈恩)과 기복(祈福)의 기능을 가진 무가로 알려져 왔다. 『시용향악보』에 수록된 삼성대왕의 원문과 해석을 제시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원문 | 해석 |
---|---|
장(瘴) ᄀᆞᅀᆞ실가 삼성대왕 일 ᄋᆞᅀᆞ실가 삼성대왕 장이라 난(難)이라 쇼셰란ᄃᆡ 장난(瘴難)을 져차쇼셔. 다롱다리 삼성대왕, 다롱다리 삼성대왕, 녜라와 괴쇼셔.(여음) |
장(瘴)독을 가져가실 삼성의 대왕이시여, 일체 앗아가실 삼성의 대왕이시여, 장독과 난리가 솟을란대, 장독과 난리를 쫓으소서. 다롱다리 삼성의 대왕이시여, 다롱다리 삼성의 대왕이시여, 내려와 보살펴주소서.(여음) |
이 노래의 중심 수사는 돈호법(頓呼法)과 명령법으로 되어 있어, 전형적인 주술 가사로 분석되었다. 특히 나례 때 구역 의식에 앞서 구나신(驅儺神)에게 신력(神力)으로 잡귀들을 물리쳐 달라고 기원하며 부른 의식가로 추정되었다. 다만, 성황신으로서의 삼성대왕의 실체는 예로부터 구월산(九月山) 삼성사(三聖祠)에서 제향하는 환인(桓因)ㆍ환웅(桓雄)ㆍ단군천왕(檀君天王)의 삼성(三聖)을 가리키는지, 혹은 소격전(昭格殿)에서 제향하는 무당의 신격인 옥황상제ㆍ노자ㆍ염라왕을 가리키는지, 혹은 도가(道家)에서 모시는 관성제군(關聖帝君)ㆍ문창제군(文昌帝君)ㆍ부우제군(孚佑帝君)의 삼위(三位)를 가리키는지 확실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삼성대왕’을 고려말 중국에서 전래된 ‘삼성(三聖)’과 관련 있는 것으로, ‘장(瘴)’은 중국 남방에서 비롯된 전염성 질환으로 보는 중국 유입설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기존 해석과 달리 삼성대왕은 왕실의 정화와 안녕을 위해 만들어진 노래로 절대자인 대왕이 경복궁, 창경궁, 창덕궁을 정화해 주시길 바라는, 즉 연산군의 영험함을 찬양하는 노래로 해석된 바 있다. 삼성대왕을 국가적 차원에서 왕실과 궁성을 지키는 수호신으로 본 것이다.
삼성대왕은 평조에 16정간 6대강의 12행 길이이며, 8정간에 해당하는 여음(餘音)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삼성대왕의 장단은 매행 ‘고(5)요(3)편(5)쌍(3)’이 반복되는데, 이와 같은 장구형은 〈사모곡〉, 〈서경별곡〉, 〈나례가〉, 〈정석가〉, 〈청산별곡〉, 〈유구곡〉, 〈귀호곡〉, 〈대왕반〉, 〈대국〉과 같다.
삼성대왕은 〈나례가〉와 개변곡 관계이다.
삼성대왕의 악보를 가로 정간보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제1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삼성대왕 | 제1소행 | 下一 | 宮 | 宮 | 上一 | 上二 | 上一 | 上二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瘴 | ᄀᆞ | ᅀᆞ | 실 | 가 |
제2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삼성대왕 | 제1소행 | 宮 | 上三 | 上二 | 上一 | 宮 | 宮 | 宮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三 | 城 | 大 | 王 |
제3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삼성대왕 | 제1소행 | 上二 | 上二 | 上一 | 宮 | 下一 | 下二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일 | ᄋᆞ | ᅀᆞ | 실 | 가 |
제4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삼성대왕 | 제1소행 | 宮 | 上一 | 宮 | 宮 | 宮 | 宮 | 上二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三 | 城 | 大 | 王 | 瘴 | 이 |
제5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삼성대왕 | 제1소행 | 上二 | 上一 | 宮 | 上一 上二 |
上一 | 宮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라 | 難 | 이 | 라 |
제6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삼성대왕 | 제1소행 | 下一 | 上一 | 宮 | 下一 | 下二 | 下二 | 宮 | 上一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쇼 | 셰 | 란 | ᄃᆡ | 瘴 | 難 |
제7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삼성대왕 | 제1소행 | 宮 | 上一 | 宮 | 下一 | 下二 | 下三 | 下四 | 下五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을 | 져 | 차 | 쇼 | 셔 |
제8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삼성대왕 | 제1소행 | 下五 | 上一 上二 |
上一 | 宮 | 宮 | 上二 | 上一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다 | 로ᇰ | 다 | 리 |
제9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삼성대왕 | 제1소행 | 宮 | 上一 | 宮 | 下一 | 下二 | 上一 上二 |
上一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三 | 城 | 大 | 王 | 다 | 로ᇰ |
제10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삼성대왕 | 제1소행 | 宮 | 宮 | 上二 | 下一 | 宮 | 上一 | 宮 | 下一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다 | 리 | 三 | 城 | 大 |
제11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삼성대왕 | 제1소행 | 下二 | 上一 上二 |
上一 | 宮 | 上一 | 宮 | 下一 | 下二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王 | 녜 | 라 | 와 |
제12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삼성대왕 | 제1소행 | 下三 | 下四 | 下五 | 宮 | 宮 | 宮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괴 | 쇼 | 셔 |
삼성대왕은 타 악보에는 보이지 않는 희소한 노래로 『시용향악보』라는 관찬 악보에 수록되어 현재까지 전승되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윤아영, 『왕실의 연말문화, 나례: 유교 제도화 과정과 왕실의 연말 문화』, 국학자료원, 2022. 이혜구 역주, 『한국음악학학술총서 제5집: 신역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김동욱,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의 배경적 연구(背景的 硏究)」, 『한국가요의 연구』, 1961. 나정순, 「『시용향악보』 소재 〈내당〉ㆍ〈삼성대왕〉의 불교적 성격과 연원」, 『선문화연구』 20, 2016. 박판수,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 소재 〈삼성대왕(三城大王)〉과 〈나례가(儺禮歌)〉 선율연구 -〈한림별곡(翰林別曲)〉과의 비교에 기하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변지선,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 소재 〈삼성대왕〉 연구」, 『Journal of Korean Culture (JKC)』 15, 2010. 윤아영, 「『시용향악보』 간행 배경 재고(再考)」, 『동양음악』 43, 2018. 윤아영,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 향악곡(鄕樂曲)의 궁(宮)」,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윤아영, 「조선시대 현수(絃首)의 신분과 음악활동」, 『역사민속학』 53, 2017. 임재해, 「시용향악보 소재 무가류시가연구」, 『한민족어문학』 9, 1982. 최용수, 「『시용향악보』의 〈삼성대왕(三城大王)〉 연구」, 『한국시가연구』 9, 2001.
윤아영(尹娥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