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용향악보』에 전하는 조선전기의 가요
『시용향악보』에만 전하는 16정간보의 13행의 길이의 평조 가요이다.
『시용향악보』에만 유일하게 가사와 악보가 수록되어 있다.
대왕반에 소개된 가사 내용에 관해 정확한 해석은 아직까지 없다. 팔위성황(八位城皇)이 등장하는 점에서 제의적인 무속 의식이 궁중에 흡수된 것으로 추측되었으나, 기타 흑목단(黑牧丹), 방상(坊廂), 대왕(大王)이 등장한다는 점에서 완전한 해석은 불가능했다. 『시용향악보』에 수록된 대왕반의 원문과 해석을 제시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원문 | 해석 |
---|---|
팔위성황(八位城皇) 여듧 위(位)런 놀오쉬오, | 팔도의 광대시여 여덟자리에서 재주를 놀리시니, |
못가ᅀᆞ리 장화새라, | (경회루)못 가장자리에 가득 꽃이 핀 듯하네. |
당시(當時)예 흑목단(黑牧丹) 고리, | 때가 되어 흑목단(黑牧丹) 가지를, |
방상(坊廂)애 ᄀᆞ드가리, | (팔)방상(坊廂)에 가져가니, |
노니실 대왕(大王)하. | 즐기시는 (연산군) 대왕(大王)이시여, |
더러덩라리 다리러디러리. | 더러덩라리 다리러디러리. |
대왕반의 제목 아래 ‘평조 〈내당〉’이 부기된 점에 의해 두 곡의 선율은 동일계통일 것으로 추론되었다. 또한 대왕반, 즉 평조 〈내당〉과 오늘날 《서울굿》에서 연주되는 기악곡 〈당악〉을 비교하여 그 두 곡의 제목과 선율이 전승관계에 있다고 보기도 했다.
이 외에도 대왕반은 가사 내용과 악보의 편찬 배경을 바탕으로 연산군이 11년(1505) 연말 나례(儺禮)에서 정재인(呈才人)과 함께 즐겼던 상황을 노래한 것으로 해석되기도 했다.
『시용향악보』에 전하는 대왕반은 평조의 16정간보의 13행의 길이이며 종지형은 순차적 하행종지형이다. 대왕반의 장단은 매행 ‘고(5)요(3)편(5)쌍(3)’이 반복되는데, 이와 같은 장구형은 동보의 〈사모곡〉, 〈서경별곡〉, 〈나례가〉, 〈정석가〉, 〈청산별곡〉, 〈유구곡〉, 〈귀호곡〉, 〈삼성대왕〉, 〈대국〉과 동일하다.
대왕반의 악보를 가로정간보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제1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대왕반 | 제1소행 | 宮 | 宮 | 宮 | 下一 | 宮 | |||||||||||
제2소행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
제4소행 | 八 | 位 | 城 | 隍 |
제2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대왕반 | 제1소행 | 宮 | 下一 | 宮 | 上一 | 宮 | 下一 | 下二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여 | 듧 | 位 | 런 |
제3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대왕반 | 제1소행 | 下二 | 宮 | 下一 | 下二 | 下三 | 下四 | 下五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놀 | 오 | 쉬 | 오 |
제4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대왕반 | 제1소행 | 宮 | 上二 | 上一 | 宮 | 上一 | 宮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믓 | ᄀᆞᆺ | 가 | ᅀᆞ | 리 |
제5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대왕반 | 제1소행 | 宮 | 下一 | 宮 | 上一 | 宮 | 下一 | 下二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쟝 | 화 | 섀 | 라 |
제6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대왕반 | 제1소행 | 宮 | 上一 | 宮 | 下一 | 下二 | 下一 | 下二 | 下三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當 | 時 | 예 | 黑 | 牧 | 丹 |
제7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대왕반 | 제1소행 | 宮 | 上一 | 上二 | 上二 | 上一 | 宮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고 | 리 |
제8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대왕반 | 제1소행 | 宮 | 上三 | 上二 | 上一 | 宮 | 宮 | 上一 | 上二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坊 | 廂 | 애 | ᄀᆞ | 드 |
제9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대왕반 | 제1소행 | 上一 | 宮 | 下一 | 下二 | 宮 | 上一 | 宮 | 下一 | 下二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가 | 리 | 노 | 니 | 실 |
제10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대왕반 | 제1소행 | 下一 | 下二 | 下三 | 下三 | 上一 | 宮 | 下一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大 | 王 | 하 | 디 | 러 |
제11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대왕반 | 제1소행 | 宮 | 下一 | 下二 | 下一 | 宮 | 宮 | 上一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렁 | 다 | 리 | 다 |
제12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대왕반 | 제1소행 | 上二 | 上一 | 宮 | 下一 | 下二 | 下一 | 下二 | 下三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리 | 러 | 디 | 러 | 리 |
제13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대왕반 | 제1소행 | 下三 | |||||||||||||||
제2소행 | 鼓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시용향악보』에 수록된 18번째 곡으로 다른데서는 볼 수 없는 유일한 곡이 세조가 창안한 정간보에 담겨 현재까지 전해진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고려사』 「악지」 『조선왕조실록』 『용재총화』 『악학궤범』
김학성, 『한국고시가의 거시적 연구』, 집문당, 1997. 문숙희,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 복원악보집』, 학고방, 2012. 박병채, 『고려가요의 어석 연구』, 이우출판사, 1980. 윤아영, 『왕실의 연말 문화, 나례: 유교 제도화 과정과 왕실의 연말 문화』, 국학자료원, 2022. 이혜구 역주, 『한국음악학학술총서 제5집: 신역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최철, 『고려국어가요의 해석』,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6. 김동욱, 「시용향악보가사(時用鄕樂譜歌詞)의 배경적 연구(背景的 硏究)」, 『진단학보』 17, 1955. 윤아영, 「『시용향악보』 간행 배경 재고(再考)」, 『동양음악』 43, 2018. 윤아영,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 향악곡(鄕樂曲)의 궁(宮)」,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윤아영, 「조선시대 현수(絃首)의 신분과 음악활동」, 『역사민속학』 53, 2017. 임재해, 「시용향악보 소재 무가류시가연구」, 『한민족어문학』 9, 1982.
윤아영(尹娥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