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치의 마지막을 알리는 내용의 고려가요
야심사(夜深詞)는 〈풍입송(風入松)〉과 마찬가지로 잔치의 마지막을 알리는 노래로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 수록된 고려가요이다.
야심사(夜深詞)는 〈풍입송(風入松)〉과 마찬가지로 잔치의 마지막을 알리는 노래라고 『고려사(高麗史)』 「악지(樂誌)」의 주석에 기록되어 있다.
○ 구성요소 및 원리 야심사(夜深詞)의 가사는 상원가절(上元佳節)을 맞이해 궁궐 안에서 봄이 다가오는 절기를 느끼며, 화려한 잔치를 즐기다 야심한 밤이 되었다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 수록된 야심사(夜深詞)의 원문과 해석을 제시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원문 | 해석 |
---|---|
풍광난풍광난향춘천(風光暖風光暖向春天) 상원가절설화연(上元佳節說華筵) 등잔월낙하군선(燈殘月落下群仙) 궁루촉수연연(宮漏促水涓涓) 궁루촉수연연(宮漏促水涓涓) |
날씨가 따뜻하고, 온화하니, 봄철로 다가가네.
상원가절(上元佳節)에 화려한 잔치를 말한다. 등불은 꺼져가고 달은 가라앉는데 신선들 떼 지어 내려온다. 궁궐의 물시계에서는 물이 똑똑 떨어져가네. 궁궐의 물시계에서는 물이 똑똑 떨어져가네. |
위 노래의 제목인 야심사(夜深詞)는 노랫말 중 “상원가절(上元佳節)에 화려한 잔치를 말한다(上元佳節說華筵)”와 “궁궐의 물시계[宮漏]에서는 물이 똑똑 떨어져가네(宮漏促水涓涓)”에 의해 노래의 시간적 배경은 상원일 즉, 음력 1월 15일의 원소절(元宵節)이고, 공간적 배경은 궁궐 안이며, 당시의 상황은 늦은시각에 펼쳐졌던 궁궐 안 연향이었음을 알 수 있다.
야심사(夜深詞)는 16정간 6대강의 10행 길이이며 평조이다. 종지는 下三-下四-下三으로 종지한다.
이 곡 끝에 두 번 반복되는 ‘궁루촉수연연(宮漏促水涓涓)’의 가락은 같은 동보인 〈풍입송(風入松)〉의 끝에서 반복되는 ‘위보성수만세(爲報聖壽萬歲)야’의 가락과 동일하다.
야심사(夜深詞)의 장단은, 제1행은 예외적으로 ‘고(3)편(2)고(3)고(3)편(2)고(3)’이며, 제2-3행은 ‘고(3)편(2)고(3)편(8)/고(3)편(2)고(3)편(5)고(3)’이고, 이것이 반복된다.
야심사(夜深詞)의 악보를 가로정간보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제1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야심사(夜深詞) | 제1소행 | 下一 | 下二 | 下三 | 下一 | 下二 | 下三 | ||||||||||
제2소행 | 鼓 | 鞭 | 鼓 | 鼓 | 鞭 | 鼓 | |||||||||||
제3소행 | |||||||||||||||||
제4소행 | 風 | 光 | 暖 | 風 | 光 | 暖 |
제2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야심사(夜深詞) | 제1소행 | 下一 | 宮 | 宮 | 宮 | ||||||||||||
제2소행 | 鼓 | 鞭 | 鼓 | 鞭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向 | 春 | 天 |
제3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야심사(夜深詞) | 제1소행 | 下一 | 上一 | 上一 | 上二 | ||||||||||||
제2소행 | 鼓 | 鞭 | 鼓 | 鞭 | 鼓 | ||||||||||||
제3소행 | |||||||||||||||||
제4소행 | 上 | 元 | 佳 | 節 |
제4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야심사(夜深詞) | 제1소행 | 下二 | 下三 | 下二 | 下二 | ||||||||||||
제2소행 | 鼓 | 鞭 | 鼓 | 鞭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設 | 華 | 筵 |
제5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야심사(夜深詞) | 제1소행 | 上一 | 上二 | 上一 | 上一 | 上二 | 上一 | 上二 | |||||||||
제2소행 | 鼓 | 鞭 | 鼓 | 鞭 | 鼓 | ||||||||||||
제3소행 | |||||||||||||||||
제4소행 | 燈 | 殘 | 月 | 落 |
제6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야심사(夜深詞) | 제1소행 | 下二 | 下三 | 下二 | 下二 | ||||||||||||
제2소행 | 鼓 | 鞭 | 鼓 | 鞭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下 | 群 | 仙 |
제7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야심사(夜深詞) | 제1소행 | 下一 | 宮 | 上一 | 宮 | 下一 | |||||||||||
제2소행 | 鼓 | 鞭 | 鼓 | 鞭 | 鼓 | ||||||||||||
제3소행 | |||||||||||||||||
제4소행 | 宮 | 漏 | 促 | 水 |
제8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야심사(夜深詞) | 제1소행 | 下二 | 下一 | 下二 | 下三 | 下四 | 下三 | 下三 | |||||||||
제2소행 | 鼓 | 鞭 | 鼓 | 鞭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涓 | 涓 | 나 |
제9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야심사(夜深詞) | 제1소행 | 下一 | 宮 | 上一 | 宮 | 下一 | |||||||||||
제2소행 | 鼓 | 鞭 | 鼓 | 鞭 | 鼓 | ||||||||||||
제3소행 | |||||||||||||||||
제4소행 | 宮 | 漏 | 促 | 水 |
제10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야심사(夜深詞) | 제1소행 | 下二 | 下一 | 下二 | 下三 | 下四 | 下三 | 下三 | |||||||||
제2소행 | 鼓 | 鞭 | 鼓 | 鞭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涓 | 涓 | 나 |
고려 시대부터 전하던 궁중 내 군신연(君臣宴)에서 불린 곡이 조선 전기 관찬악보에 수록되어 전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고려사(高麗史)』 「악지(樂誌)」 『용재총화(慵齋叢話)』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윤아영, 『왕실의 연말 문화, 나례: 유교 제도화 과정과 왕실의 연말 문화』, 국학자료원, 2022. 이혜구 역, 『신역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사진실, 「동아시아의 “신성한 산” 설행에 나타난 욕망과 이념」, 『공연문화연구』 12, 공연문화학회, 2006.
윤아영(尹娥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