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치의 마지막을 알리는 내용의 고려가요
야심사는 〈풍입송〉과 마찬가지로 잔치의 마지막을 알리는 노래라고 『고려사』 「악지」의 주석에 기록되어 있다.
○ 구성요소 및 원리 야심사가 가사는 상원가절을 맞이해 궁궐 안에서 봄이 다가오는 절기를 느끼며, 화려한 잔치를 즐기다 야심한 밤이 되었다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시용향악보』에 수록된 야심사의 원문과 해석을 제시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원문 | 해석 |
---|---|
풍광난풍광난향춘천(風光暖風光暖向春天) 상원가절설화연(上元佳節說華筵) 등잔월낙하군선(燈殘月落下群仙) 궁루촉수연연(宮漏促水涓涓) 궁루촉수연연(宮漏促水涓涓) |
날씨가 따뜻하고, 온화하니, 봄철로 다가가네.
상원가절(上元佳節)에 화려한 잔치를 말한다. 등불은 꺼져가고 달은 가라않는데 신선들 떼지어 내려온다. 궁궐의 물시계에서는 물이 똑똑 떨어져가네. 궁궐의 물시계에서는 물이 똑똑 떨어져가네. |
위 노래의 제목인 야심사는 노랫말 중 “상원가절(上元佳節)에 화려한 잔치를 말한다.(상원가절설화연(上元佳節說華筵)”와 “궁궐의 물시계(궁루는 금루라고도 하는 것으로 세종 때 만들어진 궁 안에 있는 물시계로 궁루(宮漏), 금루관(禁漏官), 자격루(自擊漏)라고도 한다.)에서는 물이 똑똑 떨어져가네(궁루촉수연연(宮漏促水涓涓)”에 의해 노래가 불린 배경과 관련된 시간은 상원일 즉, 음력 1월 15일의 원소절(元宵節)이고, 장소는 궁궐 안이며, 당시의 상황은 늦은시각에 펼쳐졌던 궁궐안 연향이었음을 알 수 있다.
야심사는 16정간 6대강의 10행길이이며 평조이며, 종지는 下三-下四-下三으로 종지한다.
이 곡 끝에 두 번 반복되는 ‘궁루촉수연연(宮漏促水涓涓)’의 가락은 같은 동보의 〈풍입송〉의 끝에서 반복되는 ‘위보성수만세(爲報聖壽萬歲)야’의 가락과 동일하다.
야심사의 장단은 제 1행은 예외적으로 ‘고(3)편(2)고(3)고(3)편(2)고(3)’이며, 제 2-3행은 ‘고(3)편(2)고(3)편(8)/고(3)편(2)고(3)편(5)고(3)’이며 이것이 반복된다.
야심사의 악보를 가로정간보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제1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야심사 | 제1소행 | 下一 | 下二 | 下三 | 下一 | 下二 | 下三 | ||||||||||
제2소행 | 鼓 | 鞭 | 鼓 | 鼓 | 鞭 | 鼓 | |||||||||||
제3소행 | |||||||||||||||||
제4소행 | 風 | 光 | 暖 | 風 | 光 | 暖 |
제2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야심사 | 제1소행 | 下一 | 宮 | 宮 | 宮 | ||||||||||||
제2소행 | 鼓 | 鞭 | 鼓 | 鞭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向 | 春 | 天 |
제3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야심사 | 제1소행 | 下一 | 上一 | 上一 | 上二 | ||||||||||||
제2소행 | 鼓 | 鞭 | 鼓 | 鞭 | 鼓 | ||||||||||||
제3소행 | |||||||||||||||||
제4소행 | 上 | 元 | 佳 | 節 |
제4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야심사 | 제1소행 | 下二 | 下三 | 下二 | 下二 | ||||||||||||
제2소행 | 鼓 | 鞭 | 鼓 | 鞭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設 | 華 | 筵 |
제5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야심사 | 제1소행 | 上一 | 上二 | 上一 | 上一 | 上二 | 上一 | 上二 | |||||||||
제2소행 | 鼓 | 鞭 | 鼓 | 鞭 | 鼓 | ||||||||||||
제3소행 | |||||||||||||||||
제4소행 | 燈 | 殘 | 月 | 落 |
제6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야심사 | 제1소행 | 下二 | 下三 | 下二 | 下二 | ||||||||||||
제2소행 | 鼓 | 鞭 | 鼓 | 鞭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下 | 群 | 仙 |
제7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야심사 | 제1소행 | 下一 | 宮 | 上一 | 宮 | 下一 | |||||||||||
제2소행 | 鼓 | 鞭 | 鼓 | 鞭 | 鼓 | ||||||||||||
제3소행 | |||||||||||||||||
제4소행 | 宮 | 漏 | 促 | 水 |
제8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야심사 | 제1소행 | 下二 | 下一 | 下二 | 下三 | 下四 | 下三 | 下三 | |||||||||
제2소행 | 鼓 | 鞭 | 鼓 | 鞭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涓 | 涓 | 나 |
제9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야심사 | 제1소행 | 下一 | 宮 | 上一 | 宮 | 下一 | |||||||||||
제2소행 | 鼓 | 鞭 | 鼓 | 鞭 | 鼓 | ||||||||||||
제3소행 | |||||||||||||||||
제4소행 | 宮 | 漏 | 促 | 水 |
제10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야심사 | 제1소행 | 下二 | 下一 | 下二 | 下三 | 下四 | 下三 | 下三 | |||||||||
제2소행 | 鼓 | 鞭 | 鼓 | 鞭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涓 | 涓 | 나 |
고려시대부터 전하던 궁중내 군신연에서 불린 곡이 조선 전기 관찬악보에 수록되어 전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고려사』 「악지」 『용재총화』 『조선왕조실록』
윤아영, 『왕실의 연말문화, 나례』, 국학자료원, 2022. 이혜구 역, 『신역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사진실, 「동아시아의 “신성한 산” 설행에 나타난 욕망과 이념」, 『공연문화연구』 12, 공연문화학회, 2006.
윤아영(尹娥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