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향악(鄕樂)의 한 곡명
『시용향악보』에 수록된 작자 미상의 고려가요이며 속칭 “가시리”이다.
○ 구성요소 및 원리 이별의 정한을 노래한 것으로 1절은 가시면 나 혼자 어떻게 살라고 가시냐는 원망조를 표현하고, 2절에서는 님이 가시는 상황을 받아들이고 갔다가 바로 다시 오길 바라는 희망을 담았다. 『시용향악보』에 수록된 귀호곡의 원문과 해석을 제시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원문 | 해석 |
---|---|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 | 가시겠습니까,(진정으로 떠나) 가시겠습니까? |
리고 가시리잇고 나, | (나를) 버리고 가시겠습니까? |
위 증즐가 대평성대(大平盛代). | 위 증즐가 대평성대(大平盛代). |
날러는 엇디 살라고, | 나더러는 어찌 살라 하고 |
리고 가시리잇고 나, | (나를) 버리고 가시렵니까? |
위 증즐가 대평성대(大平盛代). |
위 증즐가 대평성대(大平盛代). |
귀호곡에 '대평성대(大平盛代)'의 후렴이 붙은 것은 본래 민간의 가요이던 것이 궁중에 흡수되는 과정에서 생겨난 것으로 해석되었다.
귀호곡은 6대강 16정간 6행 길이에 평조이며, 종지형은 하오(下五)로 종지하는 순차적 하행종지형이다.
귀호곡의 장단은 매행 ‘고(5)요(3)편(5)쌍(3)’이 반복되는데, 이와 같은 장고형은 동보의 〈사모곡〉, 〈서경별곡〉, 〈나례가〉, 〈정석가〉, 〈청산별곡〉, 〈유구곡〉, 〈대왕반〉, 〈삼성대왕〉, 〈대국〉과 동일하다.
귀호곡은 조선 초 신악인 〈형가〉, 〈집녕〉과 관계된 곡으로 알려져 있다.
귀호곡의 악보를 가로정간보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제1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귀호곡 | 제1소행 | 宮 | 宮 | 上一 | 宮 | 下一 | 下二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가 | 시 | 리 | 가 | 시 | 리 | |
제2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귀호곡 | 제1소행 | 宮 | 上三 | 上二 | 上一 | 宮 | 宮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이 | ㅅ고 | 나 | ᄂᆞᆫ | |
제3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귀호곡 | 제1소행 | 上一 | 上二 | 上一 | 宮 | 下一 | 下二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ᄇᆞ | 리 | 고 | 가 | 시 | 리 | |
제4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귀호곡 | 제1소행 | 下一 | 宮 | 下二 | 下二 | 下一 | 宮 | 下一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이 | ㅅ고 | 나 | ᄂᆞᆫ | 위 | |
제5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귀호곡 | 제1소행 | 下二 | 下三 | 下二 | 下二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증 | 즐 | 가 | |
제6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귀호곡 | 제1소행 | 下一 | 宮 | 下一 | 下二 | 下三 | 下四 | 下五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大 | 平 | 盛 | 代 | |
관찬악보 『시용향악보』에 열한번째 수록된 고려가요 귀호곡은 조선 초 신악 〈형가〉나 〈집녕〉과 비교하여 변개법을 보여줄 수 있는 원곡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시용향악보』 『악장가사』 『악학편고』
문숙희,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 복원악보집』, 학고방, 2012. 윤아영, 『왕실의 연말문화, 나례: 유교 제도화 과정과 왕실의 연말 문화』, 국학자료원, 2022. 이소라, 「형가(亨嘉)ㆍ집녕(輯寧)ㆍ용광(龍光)과 그 관련곡(關聯曲)-세조실록악보(世祖實錄樂譜) 및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ㆍ금합자보(琴合字普)ㆍ대악후보(大樂後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이정선, 「〈가시리〉의 편사(編詞)와 문학적 해석」, 『한국언어문화』 41, 2010. 정경란, 「고려 〈귀호곡〉과 종묘제례악 〈형가〉의 관계」, 『국악원논문집』 26, 2012.
윤아영(尹娥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