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둘기와 뻐꾸기를 빗대어 노래한 가요
새를 빗대어 노래한 작자 미상의 『시용향악보』 수록곡이다.
유구곡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 고려시대 작품 〈벌곡조(伐谷鳥)〉는 전하지 않으며, 창작동기만이 『고려사』 권71 「악지(樂志)」 속악조(俗樂條)에 전한다. 유구곡은 『시용향악보』에 가사와 악보가 유일하게 수록되어 있다.
○ 구성요소 및 원리 유구곡의 모태가 되는 것으로 알려진 고려가요 〈벌곡조〉는 전하지 않으나, 그 창작 배경은 『고려사』 「악지」에 수록되어 있다. 고려 전기 예종(睿宗)은 자신의 과오와 정치의 득실을 듣고자하여 언로를 크게 열었으나, 오히려 군신들이 두려워하여 말하지 않자, 새 중에 잘 우는 새인 벌곡(伐谷)을 비유해 노래를 지어 일깨우고자 했다. 감히 간하는 말을 하지 않는 간관을 비두로기에, 그리고 이들이 소리내어 말하길 바라는 뜻을 뻐국새에 빗대어 독려한 것이라는 해석이다. 그러나 원전이 전하지 않는 예종 작품 〈벌곡조〉와 조선시대 유구곡이 과연 관련된 것인지는 미지수이다. 『시용향악보』 에 수록된 유구곡의 원문과 해석을 제시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원문 | 해석 |
---|---|
비두로기 새ᄂᆞᆫ 비두로기 새ᄂᆞᆫ 우루믈 우루ᄃᆡ 버곡 댱이ᅀᅡ 버곡 댱이ᅀᅡ 난 됴해 |
비둘기 새는 비둘기 새는 울음을 우는데, 뻐꾹새의 소리가 뻐꾹새의 소리가 난 좋아 |
유구곡은 평조이며 1행 16정간 6대강의 10행 길이이다.
유구곡의 장단은 1행 단위로 ‘고(5)요(3)편(5)쌍(3)’이 반복되며, 이와 같은 장고형은 동보의 〈사모곡〉, 〈서경별곡〉, 〈나례가〉, 〈정석가〉, 〈청산별곡〉, 〈귀호곡〉, 〈대왕반〉, 〈삼성대왕〉, 〈대국〉에서도 나타난다.
유구곡의 종지형은 순차적 하행종지형이다.
『시용향악보』의 유구곡을 가로정간보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제1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유구곡 | 제1소행 | 上一 | 上三 | 上二 | 上二 | 上一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비 | 두 | 로 | 기 |
제2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유구곡 | 제1소행 | 宮 | 上一 | 宮 | 下一 | 宮 | 宮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샛 | ᄂᆞᆫ |
제3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유구곡 | 제1소행 | 上一 | 上三 | 上二 | 上二 | 上一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비 | 두 | 로 | 기 |
제4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유구곡 | 제1소행 | 宮 | 上一 | 宮 | 下一 | 下二 | 下二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새 | ᄂᆞᆫ |
제5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유구곡 | 제1소행 | 上一 | 上一 | 上二 | 上一 | 宮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우 | 루 | 믈 |
제6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유구곡 | 제1소행 | 宮 | 上一 | 宮 | 下一 | 下二 | 下二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우 | 루 | ᄃᆞㅣ |
제7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유구곡 | 제1소행 | 上一 | 宮 | 下一 | 宮 | 下二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버 | 곡 | 댱 | 이 | △ㅏ |
제8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유구곡 | 제1소행 | 下一 | 下二 | 下三 | 下四 | 下三 | 下四 | 下五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난 | 됴 | 해 |
제9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유구곡 | 제1소행 | 上一 | 宮 | 下一 | 宮 | 下二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버 | 곡 | 댱 | 이 | △ㅏ |
제10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유구곡 | 제1소행 | 下一 | 下二 | 下三 | 下四 | 下三 | 下四 | 下五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난 | 됴 | 해 |
순한글 가사의 드물게 새의 울음소리를 비교하며 부른 흔하지 않은 조선시대 가요이다.
『고려사』 「악지」 『시용향악보』
윤아영, 『왕실의 연말문화, 나례』, 국학자료원, 2022. 이혜구 역, 『신역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윤아영(尹娥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