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을 떠나 자연에 살겠다는 뜻의 고려 가요
『시용향악보』에 수록된 고려가요이다.
『시용향악보』에 1절의 가사와 악보가, 『악장가사』에 전체 8절의 가사가 실려있다.
○ 구성요소 및 원리 청산별곡의 가사는 전체 8절로 되어 있고, 각 절은 4구의 본사와 1구의 후렴구가 붙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내용은 청산과 바닷가에 살겠다로 현실회피를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시용향악보』에 수록된 청산별곡의 1절의 원문과 해석을 제시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원문 | 해석 |
---|---|
살어리 살어리랏다 | 살어리 살으리랐다. |
靑山(쳥산)애 살어리랏다 | 청산에 살으리랐다. |
멀위랑 ᄃᆞ래랑 먹고 | 머루랑 다래랑 먹고, |
靑山애 살러리랏다 | 청산에 살으리랐다. |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
청산별곡은 16정간 6대강의 10행의 길이로 되어 있고, 종지형은 下二-下三-下司-下五로 끝나는 순차적 하행 종지형이다.
청산별곡의 장단은 매행을 주기로 ‘고(5)요(3)편(5)쌍(3)’이 반복되는 형태인데, 이와 같은 장고형은 동보의 〈사모곡〉, 〈서경별곡〉, 〈나례가〉, 〈정석가〉, 〈유구곡〉, 〈귀호곡〉, 〈대왕반〉, 〈삼성대왕〉, 〈대국〉에서도 나타난다.
조선 초 악곡의 창작 방식은 대부분 이전부터 불리던 고려가요를 차용해 음악은 그대로 둔 채 가사만 바꾸거나 혹은 가사와 함께 악곡의 음계 혹은 선법 아니면 둘 다를 바꾸어 개변곡을 만들었다. 『시용향악보』에 수록된 청산별곡은 〈납씨가〉, 〈휴명〉과 관계된 곡이다.
문숙희는 2012년 새롭게 해석한 정간법에 의해 오선보로 역보한 악보를 출간했다.
『시용향악보』 청산별곡의 악보를 가로 정간보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제1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청산별곡 | 제1소행 | 下一 | 上一 | 上一 | 上二 | 上一 | 宮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살 | 어 | 리 | 살 | 어 | 리 |
제2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청산별곡 | 제1소행 | 上一 | 宮 | 上一 | 上一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라 | ㅅ다 |
제3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청산별곡 | 제1소행 | 宮 | 上一 | 上二 | 上一 | 宮 | 上一 | 宮 | 下一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靑 | 山 | 의 | 살 | 어 | 리 |
제4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청산별곡 | 제1소행 | 下一 | 下二 | 下一 | 下一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라 | ㅅ다 |
제5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청산별곡 | 제1소행 | 下一 | 宮 | 宮 | 上二 | 上一 | 宮 | 下一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멀 | 위 | 랑 | ᄃᆞ | 래 | 랏 |
제6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청산별곡 | 제1소행 | 下二 | 下三 | 下二 | 下二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ㅂ다 | 먹 | 고 |
제7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청산별곡 | 제1소행 | 下一 | 宮 | 下二 | 下一 | 下二 | 下三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靑 | 山 | 의 | 살 | 어 | 리 | 랏 | 다 |
제8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청산별곡 | 제1소행 | 下三 | 下三 | 下一 | 下二 | 下一 | 宮 | 下一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얄 | 리 | 얄 | 리 |
제9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청산별곡 | 제1소행 | 下二 | 下三 | 下二 | 下二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얄 | 라 |
제10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청산별곡 | 제1소행 | 下四 | 下三 | 下二 | 下三 | 下四 | 下五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얄 | 라 | 셩 | 얄 | 라 |
청산별곡은 관찬악보 『시용향악보』에 수록된 아홉 번째곡으로, 조선초 신악 〈납씨가〉, 〈휴명〉과 비교하여 변개법을 보여줄 수 있는 원곡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시용향악보』 『악장가사』
윤아영, 『왕실의 연말문화, 나례』, 국학자료원, 2022. 장사훈, 『국악논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0. 이혜구, 「휴명과 청산별곡의 비교」, 『한국음악논총』, 수문당, 1976.
윤아영(尹娥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