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정(瓜亭), 과정곡(瓜亭曲), 정과정곡(鄭瓜亭曲), 정과정(鄭過庭)
고려 의종 때 정서(鄭敍, ?∼?)가 지은 노래
정과정은 고려 의종 때 정서가 임금을 그리워하며 지어 부른 노래이다. 이제현이 한역한 정과정의 노랫말이 〈진작〉의 ‘전강∼부엽’ 부분과 유사하고, 정과정과 〈진작〉이 모두 속도에 따라 세 틀로 전해졌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정과정과 〈진작〉은 밀접한 관계를 갖는 악곡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과정은 고려시대 내시낭중(內侍郞中)을 지낸 정서가 지은 것이다. 정서는 외척과 혼인하여 인종의 총애를 받았으나, 의종이 즉위하자 고향 동래로 쫓겨났다. 정서는 오래되지 않아 다시 불러주겠다고 한 의종의 말을 믿고 기다렸으나, 오래도록 소식이 없자 정자를 짓고 오이를 심고 거문고[琴]를 타며 임금을 그리는 노래를 불렀는데, 그 노랫말이 아주 슬펐다고 한다. 정과정이라는 곡명은 후세 사람들이 정서의 호를 따서 붙인 것이다.
‘과정(瓜亭)’은 정서가 스스로 붙인 호이다. 정서는 의종 때 동래로 쫓겨나 의종이 자신을 다시 불러주기를 기다리며 정과정을 지어 불렀다. 우리말로 된 정과정의 원래 노랫말은 기록되어 전해지지 않고, 이제현(李齊賢, 1287∼1367)의 『익재난고』 소악부(小樂府) 중에 한역된 〈정과정〉의 노랫말이 전한다.
憶君無日不霑衣 / 님을 그리워하여 옷을 적시지 않는 날이 없으니
政似春山蜀子規 / 바로 봄철 산의 두견새와 비슷하네
爲是爲非人莫問 / 사람들이여 옳고 그름을 묻지 말라
只應殘月曉星知 / 지는 달과 새벽별만은 알아주리
『고려사』의 고려 속악 항목에는 〈정과정〉의 유래와 이제현이 한역한 정과정이 기록되어 있다.
이제현이 한역한 정과정 노랫말은 『악학궤범』 권5에 기록된 〈삼진작(三眞勺)〉 중 ‘전강ㆍ중강ㆍ후강ㆍ부엽’의 노랫말과 유사하여, 정과정과 〈진작〉이 동일한 악곡으로 설명되기도 하였다. 또한, 정과정은 노랫말 측면에서의 명칭으로, 〈진작〉은 음악적 측면에서의 명칭으로 설명되기도 하였으나, 『경국대전』에 〈삼진작〉과 〈정과정삼기(鄭瓜亭三機)〉가 모두 악공의 취재에 사용된 악곡으로 기록되어 있으므로 두 곡은 각기 다른 명칭으로 존재했던 별도의 악곡이라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양금신보』에 대엽(大葉)의 만(慢)ㆍ중(中)ㆍ삭(數)이 모두 ‘과정삼기곡(瓜亭三機曲)’ 중에서 나온 것이라 기록되어 있어 정과정도 〈진작〉과 같이 악곡의 속도에 따라 세 개의 틀로 전해졌음을 알 수 있고, 원래의 정과정이 궁중으로 편입되면서 노랫말이 덧붙어 〈진작〉과 같은 노랫말을 갖게 되었다는 연구도 있으므로, 정과정과 〈진작〉이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었던 것만은 분명하다.
『성호사설』에는 당시 사람들이 계면조(界面調)를 매우 좋아하는데, 〈과정곡〉을 듣는 자가 눈물을 흘려 얼굴에 흔적을 이루기 때문에 계면조를 일명 〈과정곡〉이라 한다고 하였다. 『도은집』ㆍ『동문선』ㆍ『동사강목』 등에는 정과정이 비파 악곡으로 언급되어 있는데, 『도은집』의 〈정과정(鄭過庭)〉은 원래의 정과정과 한자 표기가 다르다.
『동국여지승람』에 ‘과정’의 위치가 동래현의 남쪽 10리로 기록되어 있고, 당시에 정서가 지은 정자의 터가 남아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2003년 5월 6일, 부산시 수영구 망미동 산7-2 일원이 정과정유적지로 지정되었다.
정과정은 고려시대 정서가 만든 노래로, 후에 고려 궁중의 속악으로 편입된 뒤 조선시대 궁중에서도 악공 취재에 사용될 만큼 중요한 악곡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가곡의 원래 형태로 알려진 ‘대엽’이 정과정에서 비롯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므로, 정과정은 현행 가곡의 형성에 영향을 끼친 고려시대 음악이라 할 수 있겠다.
정과정유적지(鄭瓜亭遺蹟址)가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54호로 지정되었다.
『고려사』 『경국대전』 『동국여지승람』 『동사강목』 『성호사설』 『악학궤범』 『양금신보』 『익재난고』 이혜구, 『보정 한국음악사』, 국립국악원, 2011. 이혜구, 『신역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양태순, 『고려가요의 음악적 연구』, 이회문화사, 1997. 여운필, 『역주 고려사악지』, 도서출판 월인, 2011. 강혜진, 「<진작 일ㆍ이ㆍ삼>의 선율구조: 음보에 따른 음군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음악연구』 65, 2019. 윤덕진, 「〈정과정〉의 성립 과정: 악곡 구조와 가사 배열을 통하여 봄」, 『한국시가문화연구』 34, 2014. 이정선, 「〈정과정〉의 편사(編詞)와 문학적 해석」, 『한양어문연구』 14, 1996. 이혜구, 「경국대전 취재항목 중의 당악과 향악」, 『한국음악연구』 21, 1993. 이호섭, 「정과정(진작)의 노랫말과 음악의 결합양상」, 『한국시가연구』 42, 2017. 황병익, 「고려시대 부산문화의 중핵, 정과정」, 『항도부산』 20, 2004.
강혜진(姜惠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