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랑보(滄浪譜)
류홍원(柳弘源, 1716∼1781)이 1781년에 완성한 거문고 악보집
『어은보』는 안동의 선비 강포(江浦) 류홍원이 김성기(金聖起, 1649∼1725)의 음악을 모아서 편찬한 거문고 악보집이다. 악보 표지에 ‘창랑보(滄浪譜)’라고 기록되어 있어 ‘창랑보(滄浪譜)’라고도 불린다. 모필 필사본 1책으로, 경북 안동의 전주 류씨 함벽당종택에서 소장하고 있던 것을 한국국학진흥원에 기증하였다.
1책 51장 101면(앞표지 3장 및 뒷표지 2장 포함)이며, 크기는 가로 22.5cm, 세로 32.9cm이다. 악보 표지에는 ‘시조합부 창랑자어은 노자야 창랑보(時調合部 滄浪者漁隱 老子也 滄浪譜)’라 기록되어 있다. 이 기록을 통해 ‘창랑이란 어은 어른’을 뜻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창랑보가 어은 김성기의 악보가 저본이 되어 기록된 것임을 알 수 있다.
표지에 이어 양사언의 시, 적선주방, 몽재금명, 이상은의 시 등이 기록되어 있고, 이어서 좌수안현법(左手按絃法)과 오음성출(五音聲出), 삼조(三調)가 기록되어 있다. 좌수안현법은 『양금신보』와 같고, 오음성출은 『금합자보』와 삼조는 『백운암금보』의 것과 유사하다.
삼조에 이어 악보 목차가 기록되어 있고, 다음 면부터는 악보가 수록되어 있다. 『어은보』의 악곡들은 크게 가곡 계통의 음악과 가곡 계통이 아닌 음악으로 구분되어 수록되어 있다. 가곡 계통의 음악은 당시 유행하고 있는 음악이라는 뜻의 ‘시상(時尙)’ 즉 ‘시조(時調)’ 음악으로 기록되어 있고, 이어서 당시의 음악과 대비되는 전시대의 음악을 기록하고 있다. 앞선 악곡과 또 다른 악곡을 의미하는 ‘우(又)’를 제외하고 수록 악곡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시조 우조 조음〉, 〈우조 초삭대엽 제1〉, 〈계면조 조음〉, 〈계면조 단가〉, 〈『어은보』 평조북전 속칭 후정화 김성기〉, 〈평조 중대엽〉, 〈평조 삭대엽〉, 〈평계면조 북전〉, 〈평계 중대엽〉, 〈평계 삭대엽〉, 〈우조 후정화 세칭 북전〉, 〈우조 중대엽〉, 〈우조 삭대엽〉, 〈우조 낙시조〉, 〈우조 종심곡〉, 〈우계면조 북전〉, 〈우계삭대엽〉, 〈보허자〉, 〈본환입〉, 〈소환입〉, 〈대현환입〉, 〈영산회상〉, 〈영산회상 갑탄〉, 〈우조 여민락〉 등이 차례로 수록되어 있고, 이상의 악곡들이 1779년에 완성된 것이다.
이후의 부분에는 1779년 이후에 첨가된 반구정 낙성연에서 지은 시 3수와 신축년 기록, 〈거조〉, 〈우조 장조음〉의 거문고 악보, 자양금명이 기록되어 있고, 뒤표지에는 양사언의 시 2수가 기록되어 있다.
『어은보』에 수록된 북전, 중대엽, 삭대엽 계통의 악곡들은 평조, 평조계면조, 우조, 우조계면조의 네 가지 조로 나누어져 있고, 중대엽과 삭대엽은 일ㆍ이ㆍ삼 또는 사까지 기록되어 있다. 영산회상갑탄은 유현 4괘를 중심으로 연주하던 영산회상을 유현 7괘 중심으로 연주하는 방식으로 변주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현행 중령산과 관련된 악곡이다.
『어은보』 수록 악곡들에는 농현, 추성, 최성, 추퇴성, 전성, 경안, 역안 등 왼손 기법을 다양하게 사용되어 당시 거문고 연주법이 전대에 비해 화려하게 변화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우조낙시조〉는 다른 계면조 악곡들과 지법이 다르므로 계면조가 변화된 모습을 보여준다.
강포류홍원(江浦柳弘源)의 현금(玄琴) 및 『어은보』(漁隱譜)는 1999년 12월 30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강포문집』 강명관 외 지음, 『역주 고악보』 2, 민속원, 2021. 『한국음악학자료총서』 17, 국립국악원, 1985. 이동복, 『한국 고악보 연구』, 민속원, 2009. 이혜구, 『정간보의 정간ㆍ대강 및 장단』, 세광음악출판사, 1987. 최선아, 『조선후기 금론연구』, 민속원, 2017. 김경희, 「『어은보』 소재 〈우조낙시조〉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김영운, 「『낭옹신보』 소재 평조 삭대엽 및 평조계면조 삭대엽의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4. 김은하, 「『어은보』 우조삭대엽 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서인화, 「현악 영산회상 상령산 구조의 형성과정」, 『한국음악연구』 23, 1995. 서인화, 「『어은보』의 영산회상과 영산회상갑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이영주, 「『어은보』 소재 계면조단가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0. 임병옥, 「『한금신보』 영산회상환입과 『어은보』 영산회상갑탄의 관계에 대한 연구」, 『국악원논문집』 25, 2012. 장사훈, 「어은보 해제」, 『한국음악학자료총서』 17, 국립국악원, 1985. 최선아, 「『어은보』의 체제와 편찬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최선아, 「창랑보를 통해 본 18세기 안동 풍류의 내용과 성격」, 『서울대학교 동양음악』 49, 2021. 허윤정, 「『한금신보』의 영산회상과 『어은보』의 영산회상갑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허윤정, 「16세기 이후 거문고 주법의 변천과정」,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홍선례, 「어은보의 영산회상갑탄」, 『한국음악연구』 10, 1980.
강혜진(姜惠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