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기형식(三機形式), 삼기곡(三機曲), 만중삭(慢中數)
유사한 선율을 느린 속도, 중간 속도, 빠른 속도의 틀로 변화시켜 악곡을 만들어내는 방식
세틀형식은 유사한 선율을 속도가 다른 세 틀[機]의 악곡으로 만들어내는 방식을 말한다. 세틀형식으로 구성된 악곡의 악곡명에는 ‘일(一)ㆍ이(二)ㆍ삼(三)’, ‘만(慢)ㆍ중(中)ㆍ삭(數)’ 등과 같은 속도를 지칭하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일’은 느린 속도의 악곡으로 복잡한 선율로 되어 있고, ‘이’와 ‘삼’으로 갈수록 악곡의 속도가 빨라지고 선율이 간단해진다.
세틀형식은 ‘일기ㆍ이기ㆍ삼기’의 세 틀[機]로 된 악곡들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진 용어이다. 세틀형식으로 구성된 악곡명은 고려시대부터 사용되었지만, 고문헌 기록에는 세틀형식이라는 용어는 찾아볼 수 없고, 삼기곡(三機曲)이라는 용어만 등장한다. 세틀형식은 개별 악곡의 형식이 아닌 속도가 다른 세 악곡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진 용어이다.
한국 전통음악은 하나의 악곡을 변주하여 다른 악곡으로 파생해내는 방법으로 발전해왔다. 악곡을 변주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세틀형식으로 구성된 악곡들은 악곡의 속도를 점점 빠르게 변주하는 방법으로 만들어졌다.
『세종실록악보』, 『대악후보』, 『시용향악보』, 『양금신보』 등의 악보와 『악학궤범』, 『경국대전』, 『대동운부군옥』 등의 문헌에서 세틀형식과 관련된 악곡명이 발견된다. 『세종실록악보』에 〈치화평일ㆍ이ㆍ삼〉과 〈봉황음일ㆍ이ㆍ삼〉, 『대악후보』에 〈진작일ㆍ이ㆍ삼ㆍ사〉와 〈치화평일ㆍ이ㆍ삼〉, 『시용향악보』에 〈대국일ㆍ이ㆍ삼〉의 악보가 기록되어 있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향악 악공의 취재에 삼진작보(三眞勺譜)ㆍ진작사기(眞勺四機)ㆍ봉황음삼기(鳳凰吟三機)ㆍ치화평삼기(致和平三機)ㆍ정읍이기(井邑二機)ㆍ정과정삼기(鄭瓜亭三機) 등의 악곡들이 사용되었다. 『양금신보』에는 대엽(大葉)의 만·중·삭이 과정(瓜亭) 삼기곡에서 나온 것이라 하였고, 『악학궤범』에 의하면 아박무에 동동만기ㆍ동동중기가, 무고에 정읍만기ㆍ중기ㆍ급기가, 학연화대처용무합설에 봉황음일기ㆍ중기ㆍ급기가 사용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악곡명에 사용된 ‘일ㆍ이ㆍ삼’, ‘만ㆍ중ㆍ삭’, ‘만기ㆍ중기ㆍ급기’, ‘일기ㆍ이기ㆍ삼기’, ‘일기ㆍ중기ㆍ급기’ 등은 모두 점점 빨라지는 악곡의 속도 차이를 뜻하는 용어이다. 〈진작〉과 같이 세 틀보다 더 빠른 속도의 악곡을 추가하여 네 틀로 구성된 악곡도 사용되었고, 현행 가곡에 영향을 준 조선시대 가곡 또한 ‘만대엽ㆍ중대엽ㆍ삭대엽’, 세 틀의 형태로 이어져온 것이다. 현행 가곡은 삭대엽에서 파생된 악곡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현행 삭대엽이 느린 속도로 연주되는 이유는 삭대엽이 다양한 변주곡을 파생하는 과정에서 속도가 느려졌기 때문이다.
1759년(영조35)에 서명응이 편찬한 궁중악보 『대악후보』 권5에 전하는 <진작일> 악보. |
1759년(영조35)에 서명응이 편찬한 궁중악보 『대악후보』 권5에 전하는 <진작이> 악보. |
1759년(영조35)에 서명응이 편찬한 궁중악보 『대악후보』 권5에 전하는 <진작삼> 악보. |
©국립국악원 |
‘일기’는 느린 속도의 악곡으로 가장 복잡한 선율로 되어 있고, ‘이기’와 ‘삼기’로 갈수록 선율이 간단해지고 음악의 속도가 빨라진다. ‘일기’는 불균등한 비율의 장구리듬형을 사용하고, ‘이기’와 ‘삼기’로 갈수록 균등한 비율의 장구리듬형을 사용한다. ‘일기’는 노랫말 한 자에 붙은 음의 수가 가장 많고, ‘이기’와 ‘삼기’로 갈수록 노랫말 한 자에 붙은 음의 수가 줄어든다. 따라서 ‘일기’에는 노랫말을 짧게 붙이고 선율은 길게 늘인 ‘어단성장(語短聲長)’이 잘 나타난다.
세틀형식으로 구성된 악곡들은 향악곡이 음악의 속도에 따라 노랫말과 선율을 만들어가는 방식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즉, 세틀형식은 속도의 변주를 통해 악곡을 만들어가는 한국 전통음악의 생성구조를 표면적으로 설명하는 용어라 할 수 있겠다.
『경국대전』 『대동운부군옥』 『세종실록악보』 『악학궤범』 『양금신보』 권오성, 『한민족음악론』, 학문사, 1999. 이혜구 역주, 『세종장헌대왕실록 22: 악보Ⅰ』,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3. 이혜구 역주, 『신역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장사훈, 『최신 국악총론』, 세광음악출판사, 1991. 강혜진, 「세틀형식 연구: 진작, 대국, 치화평, 만ㆍ중ㆍ삭대엽에 기하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전인평, 「동남아시아 음악의 세틀 형식」, 『한국음악연구』 23, 1995. 최 헌, 「한국 전통음악의 선율 분석 시론」, 『정신문화연구』 66, 1997.
강혜진(姜惠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