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용향악보』에 수록된 작자와 연대 미상의 가요
『시용향악보』에 가사와 악보가 『악장가사』에 가사가 전한다.
○ 구성요소 및 원리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속요로서 『시용향악보』에 16정간 6대강의 전체 9행길이로 실려있다. 『시용향악보』에는 1절의 가사와 악보만 실려있는데, 정석가의 제목 ‘정석’의 의미는 제1연에 나타난 ‘딩아 돌하’를 따서 붙인 것으로 보인다. 징[鉦]과 돌[磬]을 편종과 편경의 악기를 의인화 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시용향악보』에 수록된 정석가의 원문과 해석을 제시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원문 | 해석 |
---|---|
딩아 돌하 당금(當今)에 계샹이다. 딩아 돌하 당금(當今)에 계샹이다. 션왕셩ᄃᆡ(先王聖代)예 노니ᄋᆞ와지이다. |
징이여 돌이여 지금에 계십니다. 징이여 돌이여 지금에 계십니다. 태평성대에 노닐고 싶습니다. |
가사 내용 제1절은 편종과 편경이 있는 곳의 태평성대를 노래하고, 제2연부터는 일어날 수 없는 일이 일어난다면 유덕하신 님, 즉 군왕을 여읠 것이기 때문에 영원함을 거듭 이야기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2절은 구운밤에서 싹이 나면, 제3절은 옥으로 된 연꽃에 꽃이 피면, 제4절은 무쇠 철릭이 다 헐어버리면, 제5절은 무쇠 소가 철초(鐵草)를 먹으면, 제6절은 구슬이 바위에 떨어져 구슬을 꿰었던 끈까지 끊으면 “有德(유덕)하신 님”과 여읠 것이라고 하였다.
작품은 총 6절인데, 제1절은 3행이고, 나머지 2~6절은 6행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석가의 가사체와 관련하여서는 당대의 민요가 궁중으로 상승하여 재편성된 가요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다시 말하면 이 작품의 원작자는 민중계층일 것이고, 이것이 궁중의 악장으로 재창작되어 상승한 이후로는 가창자 및 향유자가 상층귀족 또는 주변 인물인 기녀와 악공으로 변모되었을 것으로 본 것이다. 그런데 『시용향악보』가 연산군 때 나례에서 여기들이 부른 노래를 수록한 것이고, 연산군은 현수를 입궁시켜 민간가요를 전수하게 하였던 상황을 감안하면 정석가의 궁중 흡수도 이 과정에서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기도 한다.
악곡은 제2대강 시작이고, 각 행은 동보 다른 곡들과 마찬가지로 4소행으로 제1소행은 오음약보의 선율보, 제2소행은 장구보, 제3소행은 박보, 제4소행은 가사보이다.
이 노래의 선법(旋法)은 평조와 계면조로 모두 통용되고, 16정강 6대강의 9행 길이의 음악이다.
노랫말의 종지형은 下四-下五로 하행종지형이지만, 뒤에 붙는 여음은 下三-宮으로 상행종지형이다.
정석가는 제1대강 시작이 아닌 제2대강부터 시작하는 음악인데 첫 3박은 곡의 제일 뒷부분에 붙어 있다. 이처럼 2대강 시작으로 마치 한행의 주기가 바뀌는 것처럼 보이지만, 여전히 장구형은 1행 16정간에 걸쳐 매행마다 ‘고(5)요(3)편(5)쌍(3)’의 주기로 반복된다. 이 장고형은 동보의 〈사모곡〉, 〈서경별곡〉, 〈나례가〉, 〈청산별곡〉, 〈유구곡〉, 〈귀호곡〉, 〈대왕반〉, 〈삼성대왕〉, 〈대국〉과 동일하다.
『시용향악보』의 일부 악곡들은 개변곡의 모태가 되거나 개변곡인데, 이 정석가만큼은 유사한 곡을 찾을 수 없다.
정석가의 악보를 가로 정간보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제1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정석가 | 제1소행 | 下一 | 下二 | 下一 | 下二 | 下三 | |||||||||||
제2소행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
제4소행 | 딩 | 아 | 돌 | 하 |
제2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정석가 | 제1소행 | 下三 | 下二 | 下一 | 宮 | 宮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當 | 今 | 에 |
제3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정석가 | 제1소행 | 上二 | 上三 | 上二 | 上一 | 宮 | 下一 | 宮 | 上一 | 宮 | 下一 | 下二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겨 | 샤 | 이 | 다 |
제4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정석가 | 제1소행 | 下二 | |
|
宮 | |
宮 | |
上一 | 上二 | |
|
上二 上一 |
|
上一 |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딩 | 아 | 돌 | 하 |
제5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정석가 | 제1소행 | 宮 | |
|
下二 | |
下一 | |
|
宮 | |
|
宮 | |
上二 | |
上一 宮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當 | 今 | 에 |
제6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정석가 | 제1소행 | 下一 | 宮 | 下二 | 下三 | 下四 | 下三 | 下二 | 下一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겨 | 샤 | 이 | 다 | 先 | 王 |
제7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정석가 | 제1소행 | 下二 | 下二 | 下二 | 下一 | 宮 | 上一 | 宮 | 下一 | 下二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聖 | 代 | 예 |
제8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정석가 | 제1소행 | 下三 | 下四 | 下三 | 下二 | 下一 | 下二 | 下三 | 下四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노 | |
|
|
|
|
|
|
니 | |
|
|
|
△ ㆍ |
|
|
|
제9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정석가 | 제1소행 | 下五 | 下四 | 下五 | 下五 | 宮 | 宮 | 下三 | 宮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와 | 지 | 이 | 다 |
제10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정석가 | 제1소행 | 宮 | |||||||||||||||
제2소행 | 鼓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민간 속요가 궁중내에서 불리게 된 대표적인 곡으로 『시용향악보』의 편찬에 실마리를 제공해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시용향악보』 『악장가사』
윤아영, 『왕실의 연말문화, 나례』, 국학자료원, 2022.
윤아영(尹娥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