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용향악보』에 수록된 곡으로 고려가요
고려가요로 알려진 곡으로 악보는 『시용향악보』와 『대악후보』에 실려있고, 전체 사설은 『악장가사』에 전한다.
서경별곡은 작자와 연대미상의 고려가요이다. 현재는 평양지역에 해당되는 고려시대 서경(西京) 지역에서 불렸던 노래로 추정된다. 화자는 대동강 나루터에서 임과 이별하는 감상을 노래한 것으로 조선시대에는 남녀상열지사로 분류된 곡이다. 내용은 서울인 서경에서 임이 대동강을 건너 가는 떠나는 상황을 임대신 뱃사공을 원망하며 은유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시용향악보』에는 1행의 절반에 해당하는 “서경이, 아즐가 서경이 서울이 마르는/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의 가사만 수록되어 있고, 전체 가사는 『악장가사』에 수록되어 있다. 『시용향악보』에 수록된 서경별곡의 원문과 해석을 소개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원문 | 해석 |
---|---|
西京이 아즐가 西京이 셔울히 마르는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
서경이, 아즐가 서경이 서울이지마는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
서경별곡의 악조는 평조이며 오음약보로 표기된 16정간 8행 길이로 되어 있다. 8행 중 제1행에 『악장가사』의 전체 가사 중 절반에 해당하는 앞부분 후렴까지의 가사가 얹어져 있다. 이하는 악보를 반복하는 것으로 보인다.
종지형은 후렴구를 제외한 부분인 ‘마르는’의 종지형은 下一-宮으로, 후렴의 ‘다링디러리’의 종지형은 여음 1행을 제외하면 下三-下四-下五로 순차적 하행종지형이다. 마지막 1행의 여음은下三-宮으로 상행종지한다.
서경별곡의 장단은 매행마다 ‘고(5)요(3)편(5)쌍(3)’이 반복되는데, 이와 같은 장고형은 동보의 〈사모곡〉, 〈나례가〉, 〈정석가〉, 〈청산별곡〉, 〈유구곡〉, 〈귀호곡〉, 〈대왕반〉, 〈삼성대왕〉, 〈대국〉과 동일하다.
서경별곡은 고려가요인 〈정동방곡〉, 〈유림가〉 및 조선초 신악 〈화태(和泰)〉, 〈영관(永觀)〉과 관계된 곡으로 알려져 있다.
문숙희는 2012년 새롭게 해석한 정간법에 의해 오선보로 역보한 악보를 출간했다.
서경별곡의 악보를 가로정간보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제1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서경별곡 | 제1소행 | 宮 | |
|
上二 | |
上一 | |
上二 上一 |
宮 | |
|
|
|
宮 |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西 | 亰 | 이 |
제2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서경별곡 | 제1소행 | 上二 | 上一 | 上二 | 上一 | 宮 | 宮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아 | 즐 | 가 |
제3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서경별곡 | 제1소행 | 下一 | 宮 | 宮 | 上一 | 上二 | 上一 | 宮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西 | 京 | 이 | 셔 | 울 | 히 |
제4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서경별곡 | 제1소행 | 下一 | |
上一 | 宮 | |
上一 | |
宮 下一 |
宮 | |
|
宮 | |
上二 | |
上一 宮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마 | 르 | 는 | 위 |
제5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서경별곡 | 제1소행 | 下一 | 宮 | 下二 | 下三 | 下四 | 下三 | 下二 | 下一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두 | 어 | 렁 | 셩 | 두 | 어 |
제6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서경별곡 | 제1소행 | 下二 | 下二 | 下二 | 下一 | 宮 | 宮 | 下一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렁 | 셩 |
제7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서경별곡 | 제1소행 | 下二 | 宮 | 上一 | 宮 | 下一 | 下二 | 下三 | 下四 | 下五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다 | 링 | 디 | 러 | 리 |
제8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서경별곡 | 제1소행 | 宮 | |
上一 | 宮 下一 |
|
下二 | |
宮 | 宮 | |
|
宮 | |
下三 | |
宮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관찬악보 『시용향악보』에 다섯 번째 곡으로 수록된 고려가요 〈사모곡〉은 〈정동방곡〉, 〈유림가〉나 조선초 신악 〈화태〉, 〈영관〉으로 변개한 방법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대악후보』 『시용향악보』 『악장가사』
윤아영, 『왕실의 연말문화, 나례』, 국학자료원, 2022. 장사훈, 「서경별곡」, 『국악논고』, 서울대학교출판부, 1966.
윤아영(尹娥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