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님의 사랑을 기린 내용의 고려가요, 속칭 〈엇노리〉라고 불림.
연산군 후기 『시용향악보』를 비롯해 『금합자보』에 사설 및 악보가, 조선 후기 『악장가사』에는 가사만 전한다.
사모곡은 순한글 가사의 노래이다. 사모곡의 가사는 “호도 히어신 마/낟티 들리도 어섀라/아바님도 어어신 마/위 덩더둥셩/어마님 티 괴시리 어라/아소 님하 어마님 티/괴시리 어라.”이다.
가사의 내용상 『고려사』 「악지」에 내용이 전하는 〈목주가(木州歌)〉와 같은 곡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목주가〉는 계모의 학대로 쫓겨난 목주의 처녀가 그래도 효양(孝養)을 다했으나 끝내 부모의 귀염을 받지 못함을 한탄한다는 내용이고, 가사는 전하지 않는다. 양자가 모두 고려 속요가 지니고 있는 3음보 율격의 반복 어구와 댓구의 사용, 여음(餘音)의 사용, 단연체(單聯體)의 시상을 연장체(聯章體)의 형식으로 구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시용향악보』에 악보로 전하는 사모곡이 고려시대 불렸다는 사실만 전하는 원전 부재의 〈목주가〉와 같은 것인지의 여부는 비교 불가이다.
『시용향악보』에 수록된 사모곡의 원문과 해석을 제시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원문 | 해석 |
---|---|
호도 히어신 마, 낟티 들리도 어섀라. 아바님도 어어신 마, 위 덩더둥셩, 어마님 티 괴시리 어라, 아소 님하 어마님 티, 괴시리 어라. |
호미도 날이지마는, 낫같이 잘 들리 없습니다. 아버지도 아버지이신데, 위 덩덩둥셩, 어머니가 더 사랑하시리니 아소, 님아 어머니가 더 사랑하시리니. |
『시용향악보』에는 계면조의 선법에 16정간보 8행의 길이로 되어 있고, 『금합자보』에는 거문고 대현(大絃) 5괘가 궁(宮)인 임종계면조(林鍾界面調)로 되어 있다.
사모곡의 종지형은 ‘하삼(下三)-궁(宮)’으로 도약진행하는 상행 종지형으로 되어 있다.
사모곡의 장단은 매 행마다 ‘고(5)요(3)편(5)쌍(3)’이 반복되는데, 이와 같은 장구형은 동보의 〈서경별곡〉, 〈나례가〉, 〈정석가〉, 〈청산별곡〉, 〈유구곡〉, 〈귀호곡〉, 〈대왕반〉, 〈삼성대왕〉, 〈대국〉과 동일하다.
사모곡은 고려가요인 〈북전(北殿)〉과 조선 초 신악 〈용광(龍光)〉과 관계된 곡으로 알려져 있는데, 〈북전〉의 악보는 세조 때 음악을 담은 『대악후보(大樂後譜)』 권7과 선조 때의 『금합자보(琴合字譜, 1572)』 및 광해군 때의 『현금신증가령(玄琴新證假令, 1680)』에 전한다. 〈용광〉은 세종 때 만들어진 보태평 중 8번째 곡이다.
또 사모곡은 동명의 곡으로 새롭게 편곡되거나 재현되기도 했다. 이성천(李成千)은 1977년에 국악관현악에 맞춰 부르는 합창으로 만들었다.
문숙희는 2012년 새롭게 해석한 정간법에 의해 오선보로 역보한 악보를 출간했다.
사모곡의 악보를 가로정간보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제1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사모곡 | 제1소행 | 宮 | 上二 | 上二 | 上一 | 上二 | |||||||||||
제2소행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
제4소행 | 호 | ᄆᆞㅣ | 도 | |
제2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사모곡 | 제1소행 | 上二 | 上二 | 上三 | |
|
上二 | |
|
上二 上一 |
|
上一 | |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ᄂᆞᆯ | 히 | 어 | 신 | |
제3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사모곡 | 제1소행 | 宮 | 宮 | 上一 | 宮 | 宮 | 宮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마 | ᄅᆞ | ᄂᆞᆫ | |
제4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사모곡 | 제1소행 | 宮 | |
|
宮 | |
宮 | |
上一 | 上二 | |
|
上一 上二 |
|
上一 |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날 | ᄀᆞ | 티 | |
제5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사모곡 | 제1소행 | 宮 | 上一 | 宮 | 下一 | 宮 | 宮 | 宮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들 | 리 | 도 | |
제6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사모곡 | 제1소행 | 下一 | 上一 | 宮 | 下一 | 下二 | 下一 | 下一 | 下二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어 | ㅂ스 | 섀 | 라 | |
제7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사모곡 | 제1소행 | 宮 | 宮 | 下三 | 宮 | 宮 | 宮 | 宮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
제8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사모곡 | 제1소행 | 宮 | |
|
宮 | |
宮 | |
上一 | 上二 | |
|
上二 上一 |
|
上一 |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아 | 바 | 님 | 도 | |
제9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사모곡 | 제1소행 | 宮 | 下二 | 下一 | 宮 | 宮 | 宮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어 | △ㅣ | 어 | 신 | |
제10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사모곡 | 제1소행 | 下一 | |
上一 | 宮 | |
下一 | |
下二 | 宮 | |
|
宮 | |
上二 | |
上一 宮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마 | ᄅᆞ | ᄂᆞᆫ | 위 | |
제11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사모곡 | 제1소행 | 下一 | 宮 | 下二 | 下三 | 下四 | 下三 | 下四 | 下五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덩 | 더 | 둥 | 셩 | |
제12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사모곡 | 제1소행 | 下五 | |
|
上二 | |
上一 | |
宮 下一 |
宮 | |
|
宮 | |
上二 | |
上一 宮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어 | 마 | 님 | ᄀᆞ | 티 | |
제13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사모곡 | 제1소행 | 下一 | 宮 | 下二 | 下三 | 下四 | 下三 | 下四 | 下五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괴 | 시 | 리 | 어 | ㅂ세 | 라 | |
제14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사모곡 | 제1소행 | 下一 | |
上一 | 宮 下一 |
|
下二 | |
宮 | 宮 | |
|
宮 | |
下三 | |
宮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
제15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사모곡 | 제1소행 | 宮 | 下三 | 下一 | 下二 | 下一 | 下一 | 下二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아 | 소 | 님 | 하 | |
제16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사모곡 | 제1소행 | 下二 | |
|
上二 | |
上一 | |
宮 下一 |
宮 | |
|
宮 | |
上二 | |
上一 宮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어 | 마 | 님 | ᄀᆞ | 티 | |
제17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사모곡 | 제1소행 | 下一 | 宮 | 下二 | 下三 | 下四 | 下三 | 下四 | 下五 |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괴 | 시 | 리 | 어 | ㅂ세 | 라 | |
제18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사모곡 | 제1소행 | 宮 | |
上一 | 宮 下一 |
|
下二 | |
宮 | 宮 | |
|
宮 | |
下三 | |
宮 |
제2소행 | 鼓 | 搖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
제19행 | 제1강 | |||
---|---|---|---|---|
사모곡 | 제1소행 | 宮 | ||
제2소행 | 鼓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
관찬악보 『시용향악보』에 네 번째 곡으로 수록된 고려가요 사모곡은 〈북전〉이나 조선 초 신악 〈용광〉으로 변개한 방법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고려사』 「악지」 『금합자보』 『악장가사』 『악학궤범』 『악장가사』 『현금신증가령』
김학성, 『한국고전시가의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1. 윤아영, 『왕실의 연말 문화, 나례: 유교 제도화 과정과 왕실의 연말 문화』, 국학자료원, 2022. 박재민, 「사모곡의 연원에 대한 소고 : 대악후보 소재 북전과의 악곡 비교를 통하여」, 『온지논총』 54, 2018.
윤아영(尹娥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