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초기의 유생(儒生)들이 조선왕조의 창업과 정책을 찬양하는 주제로 부른 곡
조선 초기의 유생(儒生)들이, 숭유배불로 그들의 세상을 열어준 조선왕조의 창업과 정책을 찬양하는 노래이다.
유림가는 『경국대전』 취재 항목에는 악곡명이, 『시용향악보』에 제1장의 가사와 악보가, 『악장가사(樂章歌詞)』에 전체 6장의 가사가 수록되어 있다. 이 노래의 창작연대에 관해서는 미상인데, 이미 『경국대전』에 소개되어 있다는 점에 의해 조선초 이전부터 궁중에서 연주되었음을 알 수 있다.
○ 구성요소 및 원리 조선 초기의 유생(儒生)들이, 숭유배불로 그들의 세상을 열어준 조선왕조의 창업과 정책을 찬양하는 주제이다. 가사 전체는 6장으로 되어 있고 『시용향악보』에는 제 1장에 해당하는 가사와 음악만 수록되어 있다. 각 장의 내용을 보면, 제1장은 만민이 다 즐거워하고 백곡(百穀)이 풍성함을, 제2장은 천하가 태평하고 전쟁이 끝남을, 제3장은 성주가 백성의 부모되어 좋은 세상됨을, 제4장은 문치로 태평함을, 제5장은 시절 좋음을 시종 하나같이 하고자 함을, 제6장은 학교를 열었으므로 매년 3월에 장원랑(壯元郎)이 나올 것임을 각각 노래하였다. 제17행부터 끝까지는 동일한 가사가 반복되는데, “아궁챠락(我窮且樂)아, 궁챠궁챠락(窮且窮且樂)아, 욕호긔풍호무우(浴乎沂風乎舞雩), 영이귀(詠而歸)호리라, 아궁챠락(我窮且樂)아, 궁챠궁챠락(窮且窮且樂)아.”를 노래한다. 이것은 조선시대 음악형식 중 ‘엽(葉)’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시용향악보』에 수록된 유림가 1장의 원문과 해석을 제시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원문 | 해석 |
---|---|
五百年(오백년)이 도라 黃河(황하)ㅅ 므리 말가 聖主(셩쥬)ㅣ 重興(듕흥)하시니 萬民(만민)의 咸樂(함락)이로다 五百年(오백년)이 도라 沂水(긔슈)ㅅ 므리 말가 聖主(셩쥬)ㅣ 重興(듕흥)하시니 百穀(백곡)이 풍登(풍등)하샷다 (葉) 我(아) 窮且樂(궁챠락) 窮且窮且樂(궁챠궁챠락)아 浴乎沂(욕호기) 風乎舞雩(풍호무운) 詠而歸(영이귀) 호리라 我(아) 窮且樂(궁챠락) 窮且窮且樂(궁챠궁챠락)아 |
오백 년이 지나 황하수가 맑아, 성군께서 다시 나라를 일으키시니 모든 백성이 골고루 기쁨을 누리도다. 오백 년이 지나 기수가 맑아, 성군께서 나라를 일으키시니 온갖 곡식이 풍성하도다. (후렴) 아! 궁차락아 궁차궁차락아 기수에 가서 목욕하고 무우(霧雩)에 가서 바람 쐬고 노래 부르며 돌아오리라 아! 궁차락아 궁차궁차락아 |
유림가는 평조이며 본곡 16행과 여음 8행의 전체 24행으로 되어 있다.
종지음과 종지형태는 본곡과 여음이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여음을 제외한 제 16행까지의 본곡의 종지형은 下一-下二-下三-下四-下五로 순차적 하행종지이며, 제 24행 여음의 끝은 下三에서 宮으로 상행종지이다.
장단은 매 4행단위로 ‘고(5)고(3)편(5)쌍(3)/고(3)편(2)고(3)편(5)쌍(3)/고(5)쌍(2)고(1)편(5)쌍(3)/고(5)편(3)편(3)고(2)쌍(3)’이 반복되며 〈납씨가〉와 동일하다. 전체 음악 24행에 같은 장고형이 6번 반복된다.
이 유림가는 나중에 조선초 신악으로 〈영관〉의 모태가 되었으며, 〈한림별곡〉과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문숙희는 2012년 새롭게 해석한 정간법에 의해 오선보로 역보한 악보를 출간했다.
유림가의 악보를 가로 정간보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제1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유림가 | 제1소행 | 上二 | 上三 | 上二 | 上一 | 宮 | 上一 | 上二 | 上一 | ||||||||
제2소행 | 鼓 | 鼓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五 | 百 | 年 | 이 |
제2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유림가 | 제1소행 | 宮 | 下一 | 宮 | 宮 | ||||||||||||
제2소행 | 鼓 | 鞭 | 鼓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도 | 라 |
제3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유림가 | 제1소행 | 宮 | 上一 | 上二 | 上一 | 上二 | 上一 | 宮 | 下一 | 下二 | |||||||
제2소행 | 鼓 | 鞭 | 鼓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黃 | 河ㅅ | 므 | 리 |
제4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유림가 | 제1소행 | 下一 | 下二 | 下一 | 下一 | ||||||||||||
제2소행 | 鼓 | 鞭 | 鞭 | 鼓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ᄆᆞᆯ | 가 |
제5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유림가 | 제1소행 | 上二 | 上三 | 上二 | 上一 | 宮 | 上一 | 宮 | |||||||||
제2소행 | 鼓 | 鼓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聖 | 主ㅣ | 重 | 興 |
제6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유림가 | 제1소행 | 上二 | 上一 | 宮 | 下一 | 下二 | 下一 | 下二 | |||||||||
제2소행 | 鼓 | 鞭 | 鼓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ᄒᆞ | 시 | 니 |
제7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유림가 | 제1소행 | 宮 | |
上二 上一 |
宮 | |
宮 | |
下一 | 下二 | 宮 | |
|
|
下一 | |
下二 |
제2소행 | 鼓 | 雙 | 鼓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萬 | 民 | 의 | 咸 | 樂 | 이 |
제8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유림가 | 제1소행 | 下三 | 下四 | 下三 | 下四 | 下五 | 下五 | ||||||||||
제2소행 | 鼓 | 鞭 | 鞭 | 鼓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샷 | 다 |
제9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유림가 | 제1소행 | 上二 | 上三 | 上二 | 上一 | 宮 | 上一 | 上二 | 上一 | ||||||||
제2소행 | 鼓 | 鼓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五 | 百 | 年 | 이 |
제10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유림가 | 제1소행 | 宮 | 下一 | 宮 | 宮 | ||||||||||||
제2소행 | 鼓 | 鞭 | 鼓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도 | 라 |
제11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유림가 | 제1소행 | 宮 | 上一 | 上二 | 上一 | 上二 | 上一 | 宮 | 下一 | 下二 | |||||||
제2소행 | 鼓 | 雙 | 鼓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沂 | 水ㅅ | 므 | 리 |
제12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유림가 | 제1소행 | 下一 | 下二 | 下一 | 下一 | ||||||||||||
제2소행 | 鼓 | 鞭 | 鞭 | 鼓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ᄆᆞᆯ | 가 |
제13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유림가 | 제1소행 | 上二 | 上三 | 上二 | 上一 | 宮 | 上一 | 宮 | |||||||||
제2소행 | 鼓 | 鼓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聖 | 主ㅣ | 重 | 興 |
제14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유림가 | 제1소행 | 上二 | 上一 | 宮 | 下一 | 下二 | 下一 | 下二 | |||||||||
제2소행 | 鼓 | 鞭 | 鼓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ᄒᆞ | 시 | 니 |
제15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유림가 | 제1소행 | 宮 | |
上二 上一 |
宮 | |
宮 | |
下一 | 下二 | 宮 | |
|
|
下一 | |
下二 |
제2소행 | 鼓 | 雙 | 鼓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百 | 穀 | 이 | 豐 | 登 |
제16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유림가 | 제1소행 | 下三 | 下四 | 下三 | 下四 | 下五 | 下五 | ||||||||||
제2소행 | 鼓 | 鞭 | 鞭 | 鼓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ᄒᆞ | 샷 | 다 |
제17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유림가 | 제1소행 | 下五 | 上二 | 宮 | 上一 | 上二 | 上三 | 上二 | 上一 | 宮 | 下一 | ||||||
제2소행 | 鼓 | 鼓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我 | 窮 | 且 | 樂 | 아 |
제18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유림가 | 제1소행 | 宮 | |
上一 | 上二 | 上一 | 宮 | |
下一 | 宮 | |
上一 | 宮 下一 |
|
下二 | |
|
제2소행 | 鼓 | 鞭 | 鼓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窮 | 且 | 窮 | 且 | 樂 | 아 |
제19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유림가 | 제1소행 | |
|
|
上三 | |
上二 | |
上一 | 上二 | |
|
上一 | |
上一 | |
|
제2소행 | 鼓 | 鞭 | 鼓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浴 | 乎 | 沂 |
제20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유림가 | 제1소행 | 宮 | 下二 | 下一 | 宮 | 宮 | 宮 | ||||||||||
제2소행 | 鼓 | 鞭 | 鞭 | 鼓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風 | 乎 | 舞 | 雩 |
제21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유림가 | 제1소행 | 上二 | |
上三 | 上二 | 上一 | 宮 | |
下一 | 宮 | |
上一 | 宮 | |
下二 | |
|
제2소행 | 鼓 | 鼓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詠 | 而 | 歸 | 호 | 리 | 라 |
제22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유림가 | 제1소행 | 上二 | 宮 | 上一 | 上二 | 上三 | 上二 | 上一 | 宮 | 下一 | |||||||
제2소행 | 鼓 | 鞭 | 鼓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我 | 窮 | 且 | 樂 | 아 |
제23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유림가 | 제1소행 | 下二 | 宮 | 下一 | 下二 | 下三 | 下四 | 下五 | |||||||||
제2소행 | 鼓 | 雙 | 鼓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窮 | 且 | 窮 | 且 | 樂 | 아 |
제24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유림가 | 제1소행 | 宮 | |
上一 | 宮 | |
下二 | |
宮 | 宮 | |
|
宮 | |
下三 | |
宮 |
제2소행 | 鼓 | 鞭 | 鞭 | 鼓 | 雙 | ||||||||||||
제3소행 | |||||||||||||||||
제4소행 |
관찬악보 『시용향악보』에 두 번째 곡으로 수록된 악장 유림가는 별곡체 〈한림별곡〉이나 조선초 신악 〈영관〉으로 변개한 방법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경국대전』 『악장가사』 『조선왕조실록』
문숙희, 『時用鄕樂譜복원악보집』, 학고방, 2012. 강혜진, 「한림별곡 관련 악곡의 선율 연구」. 『한국음악연구』 73, 한국국악학회, 2023. 김승우. 「鮮初 樂章 「儒林歌」 연구」, 『우리어문연구』 41, 우리어문연구회, 2011. 양주동, 「朝鮮初期의 作品考」, 『麗謠箋注』, 1947. 윤아영, 「時用鄕樂譜 鄕樂曲의 宮」,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정경란, 「유림가와 영관의 관계」, 『한국음악연구』 54, 한국국악학회, 2013. 성기옥, 「악장」, 『한국문학개론』, 1992.
윤아영(尹娥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