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가요 〈청산별곡〉의 제8ㆍ9행을 제외한 나머지 8행의 선율을 변개하여 태조의 무공을 노래한 조선 전기 악장
납씨가의 가사는 원래 정도전(鄭道傳)이 태조 2년(1393) 지은 송축가(頌祝歌)이다.
『태조실록』 권4의 태조 2년 7월조, 납씨가는 태조 때 지어졌으며 『경국대전』에 〈유림가〉, 〈횡살문〉와 함께 취재 항목으로 등록되어 있다.
『세종실록』, 『성종실록』, 『연산군일기』 등에 기록이 보이고, 성종 대 『악학궤범(樂學軌範)』 권2, 중종 대 『악장가사(樂章歌詞)』 등에 기록과 가사가 전하며, 연산군 대 『시용향악보』에는 8행의 악보와 함께 가사 1절이 전한다.
본래부터 악장으로 지어졌으며, 궁중 연례악, 태조 및 신의왕후를 위한 제사인 문소전(文昭殿), 큰 기(旗)인 둑(纛)을 위해 행하던 제사인 둑제(纛祭)에서 사용되었다.
○구성요소 및 원리 납씨가 가사의 내용은 고려 공민왕 때에 원나라의 나하추(納哈出)가 동북지방에 침입하였을 때 태조가 물리친 무공을 찬양한 것이다. 『시용향악보』에는 전체 4장 중 1장만 실려있는데, 내용은 납씨(納氏)가 강한 병력을 믿고 고려 동북방에 침입하여 행패가 심하여 저항하기 어려웠음을 노래한 것이다. 『시용향악보』에 수록된 납씨가의 원문과 해석을 제시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원문 | 해석 |
---|---|
납씨시웅강(納氏恃雄强), 입구동북방(入寇東北方). 종오과이력(縱傲夸以力), 봉예불가당(鋒銳不可當). |
납씨가 웅강함을 스스로 믿어, 우리 동북 변방을 침략하였네. 방종과 교만으로 힘자랑 하니, 서슬이 하 날래어 당하지 못할레라. |
악곡은 고려가요로 알려진 10행으로 된 〈청산별곡〉의 제8ㆍ9행을 제외한 나머지 8행의 선율과 일치해서 고려가요를 변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시에 토를 단 것은 이 노래를 〈청산별곡〉의 곡조에 맞추기 위하여 부족한 글자 수를 보충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납씨가는 평조이며 모두 16정간 1행 체제의 총 8행에 오음약보로 기보되어 있다. 납씨가의 악조는 평조, 종지음은 하오(下五)이며 종지 형태는 순차적 하행종지형이다.
납씨가의 장단은 고요편쌍(鼓搖鞭雙) 중 요(搖)를 사용하지 않으며, 4행 단위로 ‘고(5)고(3)편(5)쌍(3)/고(3)편(2)고(3)편(5)쌍(3)/고(5)쌍(2)고(1)편(5)쌍(3)/고(5)편(3)편(3)고(2)쌍(3)’가 반복된다. 〈유림가〉의 장단과 동일하다.
조선 성종 23년 8월 21일 8번째 술잔을 올릴 때 납씨가에 맞추어 악장을 새롭게 붙여 등가에서 연주하고, 연산군 11년 1월 18일 납씨가에 맞추어 새로 악장을 지어 붙여 친제 후 환궁시 고취악으로 썼다고 하니, 납씨가의 장단형은 두루 의식에 맞게 가사를 지어 붙여 연주하던 조전사(調塡詞)적 방식의 모태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 초 신악인 〈휴명〉, 〈총유〉와 개변곡 관계로 밝혀졌다.
문숙희는 2012년 새롭게 해석한 정간법에 의해 오선보로 역보한 악보를 출간했다.
납씨가의 악보를 가로 정간보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제1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납씨가 | 제1소행 | 下一 | 上一 | 上二 | 上一 | 宮 | |||||||||||
제2소행 | 鼓 | 鼓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納 | 氏 | 恃 | 雄 | 强 |
제2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납씨가 | 제1소행 | 上一 | 宮 | 上一 | 上一 | ||||||||||||
제2소행 | 鼓 | 鞭 | 鼓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ᄒᆞ | 야 |
제3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납씨가 | 제1소행 | 宮 | 上一 | 上二 | 上一 | 宮 | 上一 | 宮 | 下一 | 下二 | |||||||
제2소행 | 鼓 | 雙 | 鼓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入 | 冠 | 東 | 北 | 方 |
제4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납씨가 | 제1소행 | 下一 | 下二 | 下一 | 下一 | ||||||||||||
제2소행 | 鼓 | 鞭 | 鞭 | 鼓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ᄒᆞ | 더 | 니 |
제5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납씨가 | 제1소행 | 下一 | 宮 | 宮 | 上二 | 上一 | 宮 | 下一 | |||||||||
제2소행 | 鼓 | 鼓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縱 | 傲 | 誇 | 以 | 力 |
제6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납씨가 | 제1소행 | 下二 | 下三 | 下二 | 下二 | ||||||||||||
제2소행 | 鼓 | 鞭 | 鼓 | 鞭 | 雙 | ||||||||||||
행 | 拍 | ||||||||||||||||
제4소행 | ᄒᆞ | 니 |
제7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납씨가 | 제1소행 | 下一 | 上一 | 宮 | 下一 | 下二 | 宮 | 下一 | 下二 | 下三 | |||||||
제2소행 | 鼓 | 雙 | 鼓 | 鞭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鋒 | 銳 | 라 | 不 | 可 | 當 | 이 |
제8행 | 제1강 | 제2강 | 제3강 | 제4강 | 제5강 | 제6강 | |||||||||||
---|---|---|---|---|---|---|---|---|---|---|---|---|---|---|---|---|---|
납씨가 | 제1소행 | 下四 | 下四 | 下四 | 下二 | 下三 | 下四 | 下五 | |||||||||
제2소행 | 鼓 | 鞭 | 鞭 | 鼓 | 雙 | ||||||||||||
제3소행 | 拍 | ||||||||||||||||
제4소행 | 로 | 다 |
관찬악보 『시용향악보』의 첫 곡으로 수록된 악장 납씨가는 고려가요 〈청산별곡〉을 조선 초 신악으로 변개하는 방법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시용향악보』 『경국대전』 『조선왕조실록』
문숙희,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 복원악보집』, 학고방, 2012. 윤아영, 『왕실의 연말 문화, 나례: 유교 제도화 과정과 왕실의 연말 문화』, 국학자료원, 2022. 김승우, 「선초 악장 〈납씨곡〉의 특징과 수용 양상」, 『한민족문화연구』 55, 2016. 윤아영,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 향악곡(鄕樂曲)의 궁(宮)」,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조규익, 「조선조 <석전음복연악장(釋奠飮福宴樂章)> 연구」, 『고전문학연구』 40, 2011.
윤아영(尹娥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