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엽(大葉)ㆍ이엽(二葉)ㆍ삼엽(三葉)ㆍ사엽(四葉)ㆍ오엽(五葉)ㆍ부엽(附葉)ㆍ중엽(中葉)ㆍ소엽(小葉)
고려가요(高麗歌謠) 음악 형식을 이루는 한 부분. 조선시대 한글문학작품 〈서호별곡〉 등에 일부 계승되었다가 사라졌다.
‘엽’은 ‘강(腔)’과 더불어 특정한 음악 형식을 가리킨다. 엽은 ‘강ㆍ엽’ 형식 중 주선율인 ‘강’에 덧붙여지는 선율이다. 강과 엽으로 지칭되어 있는 음악 형식에는 ‘전강(前腔)ㆍ중강(中腔)ㆍ후강(後腔)과 엽’으로 구성된 형식과 ‘전강ㆍ후강과 엽’으로 구성된 형식이 있다. ‘강ㆍ엽’으로만 구성된 형식도 있는데, 이 형식은 본사(本詞)와 후렴으로 구성된 형식으로서 악보에 ‘엽’만 기록되어 있고 ‘강’은 생략되어 있다. 강은 기본으로 주어지는 주선율로서 고정적이고, 엽은 부가적으로 주어지는 선율로서 유동적이다. 엽에는 ‘대엽(大葉)ㆍ이엽(二葉)ㆍ삼엽(三葉)ㆍ사엽(四葉)ㆍ오엽(五葉)ㆍ부엽(附葉)’과 ‘대엽ㆍ중엽(中葉)ㆍ소엽(小葉)ㆍ부엽’ 그리고 ‘엽’이 있다.
강(腔), ‘강ㆍ엽’으로 구성된 음악 형식은 고려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형식은 고려 향악곡 중 신라로부터 유래된 〈처용가〉에도 보이나, 신라 헌강왕(875~886) 때 처용이 지었다고 하는 〈처용가〉는 8구제의 단가(短歌)이다. 그런데, ‘강ㆍ엽’ 형식의 〈처용가〉는 8구체를 훨씬 넘는 장가(長歌)로서 신라의 단가 〈처용가〉와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강ㆍ엽’ 형식이 신라 때 존재했었는지는 확인할 수 없다. 다만, ‘강ㆍ엽’ 형식으로 되어 있는 다른 악곡들이 대부분 고려 향악곡인 것으로 보아, ‘강ㆍ엽’ 형식이 적어도 고려시대에는 존재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대엽ㆍ이엽ㆍ삼엽ㆍ사엽ㆍ오엽ㆍ부엽’은 『악학궤범』 ‘학연화대처용무합설’항의 〈진작〉과 〈북전〉에 나온다. 〈진작〉과 〈북전〉의 음악 형식은 기본부, 축소부, 변화부의 세 악절과 종결구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형식으로 되어 있는 악곡에는 〈진작〉과 〈북전〉 외에 〈이상곡〉ㆍ〈쌍화점〉ㆍ〈쌍화곡〉 등이 있다. 『대악후보』에 수록된 〈진작〉의 음악형식은 아래 〈표 1〉과 같이 정리된다. 〈표 1〉에서 행은 『대악후보』 〈진작〉 정간보 세로줄 행을 가리킨 것이고, 알파벳은 선율의 같고 다름을 나타낸 것이며, ‘○’과 ‘△’는 각각 종지형과 반종지형을 나타낸 것이다.
위 형식에서 ‘대엽’은 강으로 구성된 기본부를 축소한 축소부의 머리로서 전강과 후강의 선율을 축소하고 부엽을 수반하여 하나의 악절을 이룬다. 하나의 악절을 이룬다는 점에 있어서 다른 엽, 즉 ‘이엽ㆍ삼엽ㆍ사엽ㆍ오엽’과 구별된다. 『금합자보』에 처음 나타난 〈만대엽(慢大葉)〉은 진작 제2악절 대엽ㆍ부엽을 발췌하여 느리게 만든 하나의 악곡명으로서 형식명인 ‘대엽’과는 구별된다. ‘이엽ㆍ삼엽ㆍ사엽’은 기본부의 강과 선율적 관련이 없는 악구들로서 함께 모여 하나의 변화부를 이룬다. ‘부엽’은 악절의 끝에 배치되며, 네 행의 노래 선율이 종지형(○표시)으로 종지한 뒤 여음 선율로 이어져 악절을 맺는다. ‘오엽’은 한 악구로서 전체 노래를 맺는 ‘종결구’이다. 이 형식에서 강으로 구성된 기본부는 고정적이지만, 엽으로 구성된 축소부와 변화부는 유동적으로서 다양하게 나타나고, ‘오엽’은 생략되기도 한다.
‘대엽ㆍ중엽ㆍ소엽ㆍ부엽‘은 『악학궤범』 ‘학연화대처용무합설’항의 〈처용가〉와 〈처용가〉 선율에 가사만 바꾸어 붙여서 만든 〈봉황음〉에 나온다. 이 음악 형식은 세 절로 된 유절 형식이나, 머리 부분 선율을 바꾸어 반복하는 ‘변형 유절 형식’이다. 이 형식으로 되어 있는 악곡에는 〈봉황음〉과 〈처용가〉 외에 〈정읍〉과 〈자하동〉이 있다. 이 형식의 기준이 되는 〈봉황음〉의 음악 형식은 〈표 2〉와 같이 정리된다.
이 형식에서는 각 절의 머리가 되는 전강ㆍ후강ㆍ대엽의 선율만 다르고 그 뒤의 선율은 같다. 이 형식에 나타나는 엽은 ‘대엽ㆍ중엽ㆍ부엽ㆍ소엽’이다. 대엽은 강과 선율은 다르나 강과 동등하게 한 절의 머리부분을 차지한다. 강과 동등하게 한 절의 머리부분이 된다는 점에서 중엽 및 소엽과 구별된다. 중엽은 부엽을 수반하며 한 악절을 이룬다. 중엽 후반부의 선율이 전강 및 후강의 끝선율과 비슷하므로, 중엽과 부엽이 이끄는 제2악절은 강으로 구성된 제1악절의 축소부로 볼 수 있다. 소엽은 직전 부엽의 여음 끝에 이어 나와 노래의 한 절을 맺는 종결구이다. 소엽은 유절형식의 종결구이고, 오엽은 통절형식의 종결구이다. 부엽은 이 형식에서도 각 악절의 끝에서 악절을 맺는다. 이 형식에서도 강인 전강과 후강은 고정적이지만, 엽인 ‘대엽ㆍ중엽ㆍ부엽ㆍ소엽’은 생략되기도 하고 또 변화되기도 한다.
‘강과 엽’ 형식은 본사(本辭)인 강을 기본으로 하고, 그 아래에 후렴(後斂)인 엽을 자유롭게 붙이는 형식이다. 이 형식의 ‘강’은 기록되어 있지 않으나, ‘엽’은 〈유림가〉와 〈한림별곡〉의 후렴에 기록되어 있다. 이 ‘엽’은 강에 대한 엽이므로, 이러한 형식은 ‘강ㆍ엽’ 형식이 된다. 이 형식으로 되어 있는 악곡에는 〈감군은〉ㆍ〈유림가〉ㆍ〈경근곡〉ㆍ〈한림별곡〉이 있다.
이 형식에서도 강은 고정적이고 엽은 유동적이다. 본사인 강은 길이가 일정한 네 구로써 한 악절을 이루고 있으며, 반복될 때도 한 악절 전체가 그대로 반복된다. 후렴인 엽은 강에 대해 자유롭다. 강과 다른 선율로 되어 있고 또 생략되기도 한다.
엽은 강과 더불어 특정한 음악 형식을 이룬다. 각각의 형식에서 강은 고정적이나, 엽은 유동적이다. 엽의 유동성으로 인해 각각 형식의 악곡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엽은 강과 더불어 고려와 조선시대에 있었던 특정한 음악 형식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고려사』 「악지」 『세종실록악보』 『악학궤범』 『대악후보』
문숙희, 『고려말 조선초 시가와 음악형식』, 학고방, 2009. 이혜구 역주, 『신역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김영운, 「고려가요의 음악형식」, 『한국음악산고』 6, 1995. 이창신, 「강과 엽의 음악적 관계에 대하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6. 이혜구, 「용비어천가의 형식」, 『한국음악서설』, 1975.
문숙희(文淑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