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찬악(進饌樂)
종묘제례의 진찬 절차 때 헌가에서 연주하는 음악
풍안지악은 종묘제례의 진찬례(進饌禮)를 봉행할 때 헌가(軒架)에서 연주하는 음악이며, <진찬악>이라고도 한다. 7음 음계의 당악계 음악이다.
풍안지악의 음악적 유래는 확실하지 않으나, ‘~안(安)’ 곡의 명칭과 진찬에 음악만 연주하고 일무를 추지 않는 형식은 『송사(宋史)』에 의한 것이다. ‘안(安)은 『詩經(시경)』 관저서(關雎序)의 “治世之音 安以樂(태평한 세상의 음악은 편안하고 즐겁다)”에서 취한 것이다.
○ 악곡의 용도와 악대 풍안지악은 종묘제례의 진찬례를 봉행할 때 헌가에서 연주하는 음악이다. 진찬은 쇠고기, 양고기, 돼지고기를 조(俎)에 담아 올리는 절차이다. 천조례(薦俎禮)라고도 한다. 진찬 때 조가 처음 문으로 들어올 때 헌가에서 풍안지악을 연주하고, 쇠고기, 양고기, 돼지고기 올리기를 마치면 음악을 그친다. 일무는 없다.
○ 연주 제도와 음악적 특징 풍안지악은 5음 음계인《보태평》《정대업》과 달리 7음계로 되어있고, 음악의 유래는 불확실하다. 진찬에서는 일무를 추지 않고 음악만 연주하는데, 이와 같은 제도는 『송사』에 의거한 것이다. ○ 음계, 박법, 장단 황(黃:C4)ㆍ태(黃:D4)ㆍ고(姑:E4)ㆍ중(仲:F4)ㆍ임(林:G4)ㆍ남(南:A4)ㆍ응(應:B4)의 7음 음계로 되어있다. 네 글자마다 박을 한 번 치며[四字一拍], 박이 여섯이면 한 곡을 이루었으나[六拍一聲], 현재는 변화되어 박 넷이 한 곡을 이룬다[四拍一聲]. 현행 풍안지악의 장구점은 『세조실록』 악보의 장구점을 현행 리듬에 적용한 것이다.
집찬척척(執㸑踖踖) 밥을 짓기를 민첩하게 하여 등아조두(登我俎豆) 제가 제기[俎豆]에 <담아> 올립니다. 조두기등(俎豆旣登) 제기에 <음식을 담아> 올리고 악차화주(樂且和奏) 음악을 순서에 맞춰 연주합니다. 필분효사(苾芬孝祀) 향을 피우고 효성스럽게 제사를 지내니, 유신기우(維神其右) 신령께서는 <기꺼이> 도와주소서
『대악후보』 『대한예전』 『세조실록』 『속악가사』 『속악원보』 『시용무보』 『악원고사』 『악장요람』 『악학궤범』 『조선악개요』 『종묘의궤』 『춘관통고』
『대악후보』, 국립국악원, 1986. 사단법인 국가무형문화재 종묘제례악보존회, 『종묘제례악』, 은하출판사, 2018. 송지원ㆍ이숙희ㆍ김영숙, 『종묘제례악』, 민속원, 2008. 정화순, 「현행 한국 당악의 악조와 그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음악연구』58, 2015, 399~428쪽. 조성욱, 「종묘제례악의 장고점 변천의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류정연, 「정대업의 음악적 변화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이숙희(李淑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