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만파파식적(萬萬波波息笛)
682년 신문왕이 동해 용(龍)에게 받은 대나무로 만든 신비로운 적(笛).
이 적(笛)을 불면 적병이 물러가고 병이 낫고 가뭄에는 비가 오고 장마에는 날이 개는 등 숱한 어려움이 한순간에 잠식되므로 ‘만파식적(萬波息笛)’이라 이름하였다. 693년(효소왕 2)에 이 적이 국선(國仙) 부례랑(夫禮郞)을 무사히 귀환시키는 사건이 있었기에 이 악기를 다시 ‘만만파파식적’이라 이름하였다. 만파식적의 실체는 통일신라시대 유물과 유적에 새겨진 도상 자료에서 엿볼 수 있는데, 도상 자료의 종류는 682년 감은사 서탑사리함, 7세기 후반 경주 동궁과 월지 출토 판불 중 횡적 주악상 등이 대표적이다. 만파식적의 실체에 관하여 음악학자는 ‘횡적(橫笛)’ 혹은 ‘삼죽의 모체’, ‘대금(大笒)’ 등으로 해석하며, 역사학자는 ‘황종관(黃鍾管)’, ‘쌍피리’로 해석한다. 만파식적을 ‘황종관(黃鍾管)’과 ‘쌍피리’로 보는 견해는 신라사 관련 문헌에 황종관과 쌍피리에 대한 기록이 없고 고고학 자료 역시 지금까지 발굴된 사례가 없기에 설득력이 부족하다.
『삼국사기』 『삼국유사』
최종민, 『한국전통음악의 미학사상』, 집문당, 2003. 김남형 「만파식적 설화의 역사적 의미」, 『한국학논집』 38,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9. 김성혜, 「만파식적 관련 연구사 검토(1)」, 『신라문화재학술발표논문집』 39,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8. 김성혜, 「만파식적 설화의 문화적 의의와 활용 방안」, 『음악과 민족』 45, 민족음악학회, 2013. 김성혜, 「월지 출토 음악 자료」, 『도상을 통해본 통일신라음악 연구』, 민속원, 2016. 김종군, 「<만파식적> 설화의 다시 읽기를 통한 통합의 의미 탐색」, 『온지논총』 27, 온지학회, 2011. 문주석, 「신라 ‘대금’ 형성 고」, 『민족문화논총』 33,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6. 박은옥 「만파식적과 삼죽의 연원(淵源): 신라의 관악기를 중심으로」, 『한국음악연구』 60, 한국국악학회, 2016. 서인화, 「대금의 상징성」, 『한국음악사학보』 40, 한국음악사학회, 2008. 송방송, 「신라 중대 향악기의 수용문제:고고학자료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음악사연구』, 일지사, 1985. 이혜구, 「국악사:상고(上古)에서 나말(羅末)까지」, 『한국예술총람』, 대한민국예술원, 1964. 장사훈, 「통일신라시대」, 『한국음악사』, 대한민국예술원, 1985.
김성혜(金聖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