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묘제례의 영신 절차 때 헌가에서 연주하는 음악
영신 희문은 종묘에서 종묘제례를 봉행할 때 영신의 절차에 헌가(軒架)에서 연주하는 음악이다.
세종대에는 종묘제례의 영신 절차에 헌가에서 〈경안지악(景安之樂)〉을 연주했으나, 1463년(세조 9)에 세종대에 회례용으로 창제된《보태평》을 종묘제례악으로 채택했고, 이 중 <희문>의 선율을 축소하고 가사를 바꾸어 영신 절차에 사용함으로써 <영신 희문>이 성립하게 되었다.
○ 악곡의 소속과 용도 <영신희문>은 신을 맞아들이는 절차인 영신례에《보태평》중의 첫 번째 곡인 <희문>을 연주하는 까닭에 <영신희문>이라 한다. <영신희문>은 <희문>과 같은 곡이지만, 가사가 다르다. ○ 연주 절차 <영신 희문>은 아홉 번[九成]을 연주하는데, 8성 초에 악사가 ‘부르오(請呼)’를 청하여 알자(謁者)가 ‘부르오’를 창(唱)하면 비로소 집례가 ‘헌관 이하 개사배(獻官 以下 皆四拜)’를 창홀(唱笏)하여 사배가 있고, 9성 졸장(卒章)에 또 이와 같은 방식으로 악지(樂止)를 부르게 한다. 오늘날에는 아홉 번 모두 다 연주하지는 않는다.
○ 악장의 내용 <영신 희문> 악장의 내용은 조상의 음덕(蔭德)을 찬양한 후, 조상에게 제례를 올린다는 것을 알리고, 복을 비는 내용으로 되어있다.○ 음계, 박법, 장구가락 〈영신 희문〉은 황(潢:C5)ㆍ태(汰:D5)ㆍ중(㳞:F5)ㆍ임(淋:G5)ㆍ남(湳:A5)의 황종 평조이다. 다섯 글자마다 박을 한 번 치며[五字一拍], 박이 넷이면 한 곡을 이룬다.[四拍一聲] 장단 주기는 불규칙한 형태로 변화되었다.
○ 악대와 악기편성 <영신 희문>은 헌가(궁가)에서 연주한다. 『악학궤범』의 헌가는 현악기에 거문고, 가야금, 향비파, 당비파, 월금, 해금, 관악기에 대금, 중금, 소금, 당적, 퉁소, 피리, 태평소, 생, 우, 화, 관, 훈, 지, 타악기에 방향, 편경, 편종, 노고, 노도, 교방고, 박, 장구, 진고, 어, 축으로 편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오늘날 헌가의 악기편성은 박, 장구, 진고, 편종, 편경, 방향, 축, 어, 대금, 당피리, 해금, 태평소, 징(大金) 등의 악기와 도창으로 구성되어 있다. 징은 본래〈정대업지무〉에 속해 있던 악기였으나, 현재는 정대업지악의 연주에 사용한다.
세덕계아후(世德啓我後) 대대로 덕을 〔쌓으시어〕 우리 후손을 여시니, 오소상형성(於昭想形聲) 아아! 그 모습과 소리 환히 상상하겠도다. 숙숙천명인(肅肅薦明禋) 엄숙하고 법도에 맞게 제사를 드리오니, 수아뇌사성(綏我賚思成) 우리를 편안하게 하시고 〔소원을〕 이루어 주소서.
노랫말 출처: 이세필 편저, 윤호진 역주, 『역주악원고사』, 국립국악원, 2006.
『국조오례의』 『대악후보』 『대한예전』 『보태화지악』 『세종실록』 『세조실록』 『속악가사』 『속악원보』 『시용무보』 『악학궤범』 『악통』 『악장요람』 『조선악개요』 『종묘의궤』 『종묘악장』 『춘관통고』
『세종실록』, 국립국악원, 1986. 『대악후보』, 국립국악원, 1986. 송지원ㆍ이숙희ㆍ김영숙, 『종묘제례악』, 민속원, 2008. 이세필 편저, 윤호진 역주, 『역주악원고사』, 국립국악원, 2006. 장사훈, 『증보 한국음악사』, 세광음악출판사, 1986. 장사훈, 『국악논고』, 서울대학교출판부, 1986. 조성욱, 「종묘제례악의 장고점 변천의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이숙희(李淑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