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향가 처용가에 기원을 둔 고려가요 및 조선 초 정재 창사(唱詞)
처용가는 같은 이름의 신라 향가(鄕歌)를 기원으로 하여 고려가요로 확대되었고, 조선 초에 한시(漢詩) 현토(懸吐)의 〈봉황음(鳳凰吟)〉으로 개찬(改撰)되었다. 궁중 나례(儺禮)에서 연행되는 향악정재(鄕樂呈才)인 《학연화대처용무합설(鶴蓮花臺處容舞合設)》에서 〈봉황음(鳳凰吟)〉과 함께 불렸다.
최초의 처용가는 신라의 8구체 향가였고, 음악의 실체는 알 수 없다.
향가 처용가의 노랫말 일부를 변형해 가져다 쓰면서 전강부(前腔部)-후강부(後腔部)-대엽부(大葉部)의 큰세도막 강엽(腔葉) 형식, 나아가 만기(慢機)-중기(中機)-급기(急機) 또는 일기(一機)-이기(二機)-삼기(三機)를 갖춘 삼기곡(三機曲, 세틀형식)으로 확장한 것이 고려가요 처용가이다.
조선 초에 처용가의 한글 노랫말만 한시 현토 노랫말로 개찬한 것이 〈봉황음(鳳凰吟)〉이다. 처용가와 〈봉황음(鳳凰吟)〉 모두 조선 초 향악정재 《학연화대처용무합설(鶴蓮花臺處容舞合設)》에서 연주되거나 노래로 불렸다.
오늘날은 본래의 음악을 잃고 정재 <처용무>에서 <처용가> 한글 노랫말과 <봉황음(鳳凰吟)> 한시 현토 노랫말의 각 일부만이 불린다.
○ 역사 변천 과정
고려 처용가의 연원이 된 신라 향가 〈처용가〉는 처용 설화와 함께 『삼국유사(三國遺事)』 권2 「처용랑망해사(處容郞望海寺)」에 기록되어 있다. 향찰(鄕札)로 적힌 노랫말은 8구체이며 오구라 신페이[小倉進平], 양주동, 김완진, 박노준 등이 중세 국어에 기반해 해독한 바 있다. 어떤 가락에 얹어 불렀는지는 알 수 없다.
『고려사(高麗史)』 「악지(樂誌)」의 ‘속악(俗樂)’ 조(條)에도 〈처용〉이라는 악곡의 이름과 유래, 한역시(漢譯詩)가 소개되었다. 『고려사(高麗史)』 「악지(樂誌)」는 삼국의 속악을 따로 ‘삼국 속악’ 조에 모았으므로 ‘속악’ 조의 〈처용〉은 신라 향가가 아니라 고려 당대의 〈처용가〉이겠으나 그 실체는 단정할 수 없다.
『악학궤범(樂學軌範)』과 『악장가사(樂章歌詞)』에 강엽 형식의 노랫말이 수록된 〈처용가〉가 고려가요 〈처용가〉이다. 고려가요 〈처용가〉의 노랫말을 한시 현토 악장으로 개찬한 것이 〈봉황음(鳳凰吟)〉이며, 『세종실록 악보(世宗實錄樂譜)』에 세틀(삼기(三機)의 음악과 노랫말이 수록되어 있다.
〈처용가〉와 〈봉황음(鳳凰吟)〉 모두 『악학궤범』 권5 『시용향악정재도의(時用鄕樂呈才圖儀)』 중 섣달 궁중 나례에서 연행되는 향악정재 《학연화대처용무합설(鶴蓮花臺處容舞合設)》에서 불렸다. 기사 중 〈처용 만기〉라는 악곡명에 ‘즉 〈봉황음 급기〉’라고 주석한 것으로 보아, 〈처용가〉와 〈봉황음(鳳凰吟)〉 음악은 한가지였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처용가〉 노랫말의 도막 수는 〈봉황음(鳳凰吟)〉의 두 배여서, 〈처용가〉를 한 번 부르는 것은 〈봉황음(鳳凰吟)〉 음악을 두 번 연주하는 것에 해당한다.
〈처용가(봉황음)〉의 음악은 악보로만 남고 실체가 전하지 않는다. 오늘날 정재 〈처용무〉에서는 창사(唱詞)로 〈처용가〉 첫 구 “신라성대소성대(新羅盛代昭盛代)”를 가곡 〈언락(言樂)〉 가락에, 〈봉황음(鳳凰吟)〉 첫 구 “산하천리국(山下千里國)에”를 가곡 〈우편(羽編)〉 가락에 각각 얹어 부른다.
○ 음악적 특징
만기-중기-급기의 세틀[三機]을 갖춘 〈처용가〉와 노랫말만 다를 뿐 같은 음악으로 간주되는 〈봉황음(鳳凰吟)〉의 악보는 『세종실록』 권146 「악보」에 세틀[三機] 모두 정간보(井間譜) 총보로 노랫말과 함께 수록되어 있다. 『대악후보(大樂後譜)』 권4에 이를 전재(全載)하였다.
음악은 1~3기 모두 제1강에서 시작한다. 악조는 임종(林)궁 평조(솔선법)이며, 下一(姑)로 시작하고 대여음이 나올 때마다 바로 앞에서 宮(林)부터 下五(㑣)까지 순차로 하행하여 종지하며, 대여음은 宮음의 연장이다. 장구는 고(鼓)-(없음)-편(鞭)-쌍(雙)으로 4행마다 반복하고, 매 4행 머리마다 박을 한 번씩 친다.
○ 형식과 구성
〈처용가(봉황음)〉는 만기-중기-급기의 세틀을 갖춘 삼기곡(세틀형식)이다.
한 틀은 전강부(전강-부엽-중강-부엽-소엽), 후강부(후강-부엽-중강-부엽-소엽), 대엽부(대엽-부엽-중강-부엽-소엽)의 큰세도막 강엽 형식이다. 전체를 두 번 반복해야 한글 노래 〈처용가〉에 맞으며, 한글과 한시 노랫말 사이에 부분적으로 행수의 가감이 있다.
32정간이 1행인 『세종실록』 「악보」를 후대 궁중 정간보에 맞추어 16정간을 1행으로 세고 『악학궤범』과 『대악후보』의 표기를 참고해 작은도막 명칭을 붙이면, 작은도막들은 규칙적으로 음악 8행에 한시 2구씩이 배당되는 것이 원칙이다. 현토를 뺀 한시 2구는 7+7자를 기본으로 하고 5+5자나 3+7자의 변형이 있으며, 군데군데 2행의 중여음(中餘音)과 4행의 대여음(大餘音)이 규칙적으로 들어간다. 각 큰도막의 두 번째 부엽이 음악 6행뿐이고 소엽이 10행인 데서, 소엽 첫 머리 한시 3자가 한글 노랫말의 탄사 ‘아으’에 해당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전강부 | 후강부 | 대엽부 | |||
도막 |
한시 자수 (음악 행수) |
도막 |
한시 자수 (음악 행수) |
도막 |
한시 자수 (음악 행수) |
전강 | 5+5자(8행) | 대엽1 | 5+5자(8행) | ||
7+7자(8행) | 후강 | 7+7자(8행) | 대엽2 | 5+5자(8행) | |
7+7자(8행) | 7+7자(8행) | 대엽3 | 7+7자(8행) | ||
부엽 |
앞 7자 반복(4행), 대여음(4행) |
부엽 |
앞 7자 반복(4행), 대여음(4행) |
부엽1 |
앞 7자 반복(4행), 대여음(4행) |
중엽 | 7+7자(8행) | 중엽 | 7+7자(8행) | 중엽 | 7+7자(8행) |
부엽 |
앞 7자 반복(4행), 중여음(2행) |
부엽 |
앞 7자 반복(4행), 중여음(2행) |
부엽 |
앞 7자 반복(4행), 중여음(2행) |
소엽 |
3자(탄사, 2행), 7자(4행), 대여음(4행) |
소엽 |
3자(탄사, 2행), 7자(4행), 대여음(4행) |
소엽 |
3자(탄사, 2행), 7자(4행), 대여음(4행) |
소계 | 56행 | 소계 | 48행 | 소계 | 56행 |
○ 신라 향가 처용가 (『삼국유사』 향찰) 東京明期月良 夜入伊逰行如可 入良沙寢矣見昆 脚烏伊四是良羅 二肹隠吾下扵叱古 二肹隠誰支下焉古 本矣吾下是如馬扵隠 奪叱良乙何如為理古. (박노준 풀이) 기 래 밤드리 노니다가 드러 자리 보곤 가리 네히어라 둘흔 내 해엇고 둘흔 뉘 해언고 본 내 해다마 아 엇디릿고? (현대어) 서울 밝은 달에 밤 깊이 노닐다가 들어와 자리 보니 가랑이가 넷이어라 둘은 내 것이고 둘은 뉘 것인고? 본디 내 것이다만 빼앗겼으니 어찌하리? ○ 고려가요 처용가 〈봉황음〉 음악을 기준으로 2절 분량이다. 각 큰도막의 맨 마지막 소엽마다 첫머리에 탄사 ‘아으’가 있다. 제2절 후엽부의 중엽-부엽-소엽에 향가 처용가 8구 중 앞 6구에 해당하는 노랫말이 약간 변형되어 삽입되었다. (제1절) (전강) 新羅盛代昭盛代(신라성대소성대) 天下大平羅侯德(천하태평나후덕) 處容(처용)아바 以是人生(이시인생)애 相不語(상불어)ᄒᆞ시란ᄃᆡ 以是人生애 相不語ᄒᆞ시란ᄃᆡ (부엽) 三災八難(삼재팔난)이 一時消滅(일시소멸)ᄒᆞ샷다 (중엽) 어와 아븨 즈ᅀᅵ여 處容아븨 즈ᅀᅵ여 (부엽) 滿頭揷花(만두삽화) 계요샤 기울어신 머리예 (소엽) 아으 壽命長願(수명장원)ᄒᆞ샤 넙거신 니마해 (후강) 山象(산상) 이슷 깅어신 눈닙에 愛人相見(애인상견)ᄒᆞ샤 오ᄋᆞᆯ어신 누네 (부엽) 風入盈庭(풍입영정)ᄒᆞ샤 우글어신 귀예 (중엽) 紅桃花(홍도화)ᄀᆞ티 븕거신 모야해 (부엽) 五香(오향) 마ᄐᆞ샤 웅긔어신 고해 (소엽) 아으 千金(천금) 머그샤 어위어신 이베 (대엽) 白玉琉璃(백옥유리)ᄀᆞ티 ᄒᆡ여신 닛바래 人讚福盛(인찬복성)ᄒᆞ샤 미나거신 ᄐᆞᆨ애 七寶(칠보) 계우샤 숙거신 엇게예 吉慶(길경) 계우샤 늘의어신 ᄉᆞ맷길헤 (부엽) 설믜 모도와 有德(유덕)ᄒᆞ신 가ᄉᆞ매 (중엽) 福智俱足(복지구족)ᄒᆞ샤 브르거신 ᄇᆡ예 紅鞓(홍정) 계우샤 굽거신 허리예 (부엽) 同樂大平(동락태평)ᄒᆞ샤 길어신 허튀예 (소엽) 아으 界面(계면) 도ᄅᆞ샤 넙거신바래 (제2절) (전강) 누고 지ᅀᅥ 셰니오 누고 지ᅀᅥ 셰니오 바늘도 실도 어ᄡᅵ 바늘도 실도 어ᄡᅵ (부엽) 處容아비를 누고 지ᅀᅥ 셰니오 (중엽) 마아만 마아만ᄒᆞ니여 (부엽) 十二諸國(십이제국)이 모다 지ᅀᅥ 셰온 (소엽) 아으 處容아비ᄅᆞᆯ 마아만ᄒᆞ니여 (후강) 머자 외야자 綠李(녹리)야 ᄲᆞᆯ리 나 내 신고ᄒᆞᆯ ᄆᆡ야라 (부엽) 아니옷 ᄆᆡ시면 나리어다 머즌 말 (중엽) 東京(동경) ᄇᆞᆯᄀᆞᆫ ᄃᆞ래 새도록 노니다가 (부엽) 드러 내 자리ᄅᆞᆯ 보니 가ᄅᆞ리 네히로섀라 (소엽) 아으 둘흔 내 해어니와 둘흔 뉘 해어니오 (대엽) 이런 저긔 處容아비옷 보시면 熱病神(열병신)이ᅀᅡ 膾(회)ㅅ가시로다 千金(천금)을 주리여 處容아바 七寶를 주리여 處容아바 (부엽) 千金七寶도 말오 熱病神를 날자바 주쇼셔 (중엽) 山(산)이여 ᄆᆡ히여 千里外(천리외)예 (부엽) 處容아비ᄅᆞᆯ 어여려거져 (소엽) 아으 熱病大神(열병대신)의 發願(발원)이샷다. ○ 조선 〈봉황음〉 고려 처용가의 탄사 ‘아으’ 자리에 현토를 제외한 한시 3자를 규칙적으로 배당했음을 볼 수 있다. (전강) 山河千里國(산하천리국)에 佳氣鬱怱怱(가기울총총)ᄒᆞ삿다 金殿九重(금전구중)에 明日月(명일월)ᄒᆞ시니 羣臣千載(군신천재)예 會雲龍(회운룡)이샷다 熙熙庶俗(희희서속)ᄋᆞᆫ 春臺上(춘대상)이어늘 濟濟羣生(제제군생)ᄋᆞᆫ 壽域中(수역중)이샷다 (부엽) 濟濟羣生ᄋᆞᆫ 壽域中이샷다 (중엽) 高厚無私(고후무사)ᄒᆞ샤 美貺臻(미황진)ᄒᆞ시니 祝堯皆是大平人(축요개시태평인)이샷다 (부엽) 祝堯皆是大平人이샷다 (소엽) 熾而昌(치이창)ᄒᆞ시니 禮樂光華(예악광화)ㅣ 邁漢唐(매한당)이샷다 (후강) 金枝秀出千年聖(금지수출천년성)ᄒᆞ시니 綿瓞增隆萬歲基(면질증륭만세기)샷다 邦家累慶(방가누경)이 超前古(초전고)ᄒᆞ시니 天地同和(천지동화)ㅣ 卽此時(즉차시)샷다 (부엽) 天地同和ㅣ 卽此時샷다 (중엽) 豫遊淸曉(예유청효)애 玉輿來(옥여래)ᄒᆞ시니 人頌南山(인송남산)ᄒᆞ야 薦壽杯(천수배)샷다 (부엽) 人頌南山ᄒᆞ야薦壽杯샷다 (소엽) 配于京(배우경)ᄒᆞ시니 十二瓊樓(십이경루)ㅣ 帶五城(대오성)이샷다 (대엽) 道與乾坤合(도여건곤합) 恩隨雨露新(은수우로신)이샷다 千箱登黍稌(천상등서도) 庶彙荷陶鈞(서휘하도균)이샷다 帝錫元符(제석원부)ᄒᆞ샤 揚瑞命(양서명)ᄒᆞ시니 滄溟重潤(창명중윤)ᄒᆞ고 月重輪(월중륜)이샷다 (부엽) 滄溟重潤ᄒᆞ고 月重輪이샷다 (중엽) 風流楊柳舞輕盈(풍류양류무경영)ᄒᆞ니 自是豊年(자시풍년)에 有笑聲(유소성)이샷다 (부엽) 自是豊年에有笑聲이샷다 (소엽) 克配天(극배천)ᄒᆞ시니 聖子神孫(성자신손)이 億萬年(억만년)이쇼셔.
신라의 짧은 서정(抒情) 가요인 향가 〈처용가〉가 고려와 조선 초기를 거치며 벽사(僻邪)의 기능을 하는 고려가요 〈처용가〉와 송축(頌祝)의 기능을 하는 〈봉황음(鳳凰吟)〉의 노래로 성격이 바뀌면서 음악도 확대되는 모습을 보인다.
『악장가사』의 〈처용가〉에 달린 한자의 한글 독음을 보면, 모두 일곱 번 나오는 ‘處容’이 ‘쳐용(2회), 졔용(2회), 쳬용(2회), 쳐용’ 등으로 다르게 표기되고 있다. 이러한 혼기는 정월 대보름 전날 벽사의 의미로 만들어 내다버리는 짚인형인 ‘제웅’과 ‘처용’의 관련성을 생각해 보게 한다. 한시 현토의 〈봉황음(鳳凰吟)〉 악장을 다른 고려 노래 〈만전춘(滿殿春)〉의 개찬 노랫말로도 썼다. 〈만전춘(滿殿春)〉도 세도막형식이기는 하지만 〈봉황음(처용가)〉과 부분적으로 형식이 달라, 음악과 노랫말의 도막 구분이 완벽하게 들어맞지는 않는다.
『고려사』 「악지」 『대악후보』 『삼국유사』 『세종실록』 「악보」 『악장가사』 『악학궤범』 박노준, 『향가』, 열화당, 1982. 양주동, 『고가연구』, 박문출판사, 1957[1942]. 양주동, 『여요전주』, 을유문화사, 1955[1947]. 이혜구 옮김, 『신역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김세중, 「〈처용가〉와 〈만전춘〉 줄나눔의 실제와 문제점」, 『동양음악』 24,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2002.
김세중(金世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