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좌도농악1의 판굿에서 일채부터 칠채까지 징의 연주 횟수를 차례로 늘리며 연주하는 과장(마당) 또는 장단
1) 농악은 지역적 특징에 따라 경기농악(웃다리농악)ㆍ영동농악ㆍ호남우도농악ㆍ호남좌도농악ㆍ경북농악ㆍ경남농악으로 구분한다. 호남좌도농악은 서울에서 바라볼 때 오른쪽 위치인 전라도 동북부 산간 지역인 진안ㆍ장수ㆍ임실ㆍ순창ㆍ남원ㆍ곡성ㆍ구례ㆍ화순 등의 농악을 말한다
호남좌도농악의 판굿에서 연행하는 채굿은 일채굿ㆍ이채굿ㆍ삼채굿에 이어 칠채굿까지 징의 연주 횟수2를 차례로 늘리며 연주하는 과장(마당)이다. 각각의 채굿은 본 가락만을 의미하기도 하고 본 가락에 이어 여러 가락을 연결하여 연주하는 덩어리를 의미하기도 한다. 지역에 따라 개별 장단의 이름으로 이채, 삼채, 칠채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2) 각각의 채굿의 숫자는 징의 타점 수를 나타내지만 모두 일치하지는 않는다.
채굿의 유래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농악의 역사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짐작된다. 마을 공동체의 토속 신앙에서 비롯된 농악은 상고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채굿이 연행되는 판굿은 토속적인 농악보다 후대에 형성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판굿에서는 악기를 연주하는 잽이들이 여러 가지 진을 짜서 원형이나 나선형을 그리며 연주하는 경우가 많지만, 채굿 마당에서는 보통 일렬로 늘어서서 둥글게 원으로 돌며 연주한다. 이는 채굿이 길굿(길군악) 즉, 행진하며 연주하던 가락과 관련 있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 연행 시기 및 장소 호남좌도농악의 채굿은 판굿의 여러 과장(마당) 중 앞부분에서 연행된다. 판굿은 정월 초에 시작하는 마을 제사인 당산굿(마을굿)부터 마당밟이(지신밟기)가 모두 끝난 후, 농악대가 마을 사람들을 상대로 기량을 선보이고 함께 즐기기 위한 목적으로 마을의 넓은 공터에서 이루어진다. ○ 음악적 특징 채굿은 일채(굿)부터 칠채(굿)까지 장단을 이어서 연주하는 것으로, 각 숫자와 함께 쓰이는 ‘채’는 징의 연주 횟수를 나타낸다. 채굿에서 징의 연주 횟수는 채굿의 앞에 붙는 숫자 즉, 사채는 네 번, 칠채는 일곱 번과 같이 대체로 맞지만 모든 채굿에서 꼭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호남좌도농악의 판굿에서 이루어지는 채굿은 일반적으로 일채(일채굿)ㆍ이채(이채굿)ㆍ삼채(삼채굿)ㆍ사채(사채굿)ㆍ오채(오채굿)ㆍ육채(육채굿)ㆍ칠채(칠채굿)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채굿은 본 가락과 다른 가락들로 구성된다. 본 가락을 반복, 변형, 확장하며 새로운 채 가락을 만들고 이어지는 가락을 연결하고 맺어준 후, 다음 채굿으로 넘어가기를 반복한다. 호남좌도농악의 채굿 외에 여러 지역의 농악에서 채가 붙는 장단이 있다. 자진가락ㆍ두마치ㆍ휘모리라고도 하는 이채는 3소박 빠른 4박자(4/♩.) 또는 2소박 4박자(4/♩)이며, 다양한 변화형이 있다. 덩더궁이ㆍ덧뵈기(덧배기)ㆍ정저궁이ㆍ자진모리ㆍ삼채굿 등으로도 불리는 삼채는 3소박 4박자(4/♩.)장단이며, 암 장단과 숫 장단을 번갈아 연주하는 음ㆍ양 대비형으로 많이 연주한다. 삼채는 빠르기의 변화에 따라 긴삼채ㆍ자진삼채ㆍ된삼채로 세분하기도 한다. 길가락ㆍ길군악이라고도 하는 길군악칠채는 경기농악의 길굿 장단이다.
○ 형식과 구성 호남좌도농악의 판굿에서 이루어지는 채굿은 일반적으로 일채(일채굿)ㆍ이채(이채굿)ㆍ삼채(삼채굿)ㆍ사채(사채굿)ㆍ오채(오채굿)ㆍ육채(육채굿)ㆍ칠채(칠채굿) 구성으로 단계를 쌓아가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하지만 항상 순차적으로 모두 연주하는 것은 아니고 지역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남원농악》의 경우, 이채와 삼채굿이 빠지고 《임실필봉농악》에서 오채질굿만 따로 연주한다. 채굿의 구조를 잘 보여주는 예로 《곡성농악》이 있다.
○ 악보
호남좌도농악은 판굿에서는 채굿 과정이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판굿의 앞부분에서 음악에 집중하여 이채 또는 삼채가락을 반복, 변형, 확장하며 새로운 채 가락을 만들어 쌓아가는 과정은 같지만, 가락과 운용 방식은 지역마다 다르다. 특히 이채와 삼채는 전국에서 연주되는 장단이지만 지역과 마을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이처럼 채굿은 농악의 보편성과 공통점뿐만 아니라 다양성과 개성을 잘 보여준다.
김영운, 『국악개론』, 음악세계, 2015. 박안지, 「한국농악의 판굿 절차와 가락에 관한 연구 -진주 삼천포ㆍ평택ㆍ이리ㆍ강릉ㆍ임실필봉농악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이보형, 「농악(農樂)에서 길굿(걸군악)과 채굿」, 『동양음악』 6, 1984. 조춘영, 「호남좌도농악 판굿 비교 연구 -채굿과 호호굿(호허굿) 거리를 중심으로」, 『무형유산』 9, 2020.
조경숙(趙慶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