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진중중모리, 덤부리상장단, 덤부리상장구
민요, 무악 등 민속음악에 사용되는 보통빠르기의 3소박 4박자 혹은 8분의 12박 장단
굿거리장단은 3소박 4박자(4/♩.) 혹은 8분의 12박으로 이루어진 장단이다. 장단의 구조는 살풀이장단, 중중모리장단, 타령장단 등과 같으며 음악의 용도와 강세에 따라 음악적 특징이 구별된다. 속도는 M.M.♩.=80~90의 보통빠르기이다. 서울ㆍ경기 지역의 무가인 〈제석타령〉ㆍ〈대감타령〉ㆍ〈창부타령〉 등을 비롯하여 〈한강수타령〉ㆍ〈닐리리야〉 등 대부분의 경기민요에 굿거리장단이 쓰인다. 이외에도 경기농악, 경기삼현육각 등 경토리권 음악에 널리 사용되는 장단이다.
굿거리장단이 언제부터 연주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명칭으로 미루어 굿음악에 사용되다가 점차 여러 음악에 확산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박헌봉(朴憲鳳, 1907~1977)의 『창악대강(唱樂大綱)』(1966)에 ‘창악의 장단은 무굿에서 유래된 것 같다. 푸살굿에서 자진모리와 휘모리ㆍ중모리ㆍ중중모리ㆍ굿거리 등의 장단 형태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라고 언급된 내용도 이와 상통한다.
○ 용도 굿거리장단은 경토리권 음악에 보편적으로 쓰인다. 이창배(李昌培, 1916~1983)의 『한국가창대계(韓國歌唱大系)』(1976)에 소개된 경기민요를 보면 〈창부타령〉ㆍ〈베틀가〉ㆍ〈태평가〉ㆍ〈오봉산타령〉ㆍ〈박연폭포〉ㆍ〈한강수타령〉ㆍ〈닐리리야〉 등이 굿거리장단으로 불린다. 서울ㆍ경기 지역의 무가인 〈제석타령〉ㆍ〈대감타령〉ㆍ〈창부타령〉 등도 굿거리장단으로 된 무가이다. 또한 각 지역의 마을굿(풍물)에서는 모든 지역에 굿거리장단이 공통적으로 연주된다. 《경기 삼현육각》 중 〈굿거리〉도 굿거리장단으로 된 음악이고, 산조 중에는 《성금연류 가야금 산조》에 굿거리장단 대목이 있다. 《진도씻김굿》의 〈남도굿거리〉ㆍ〈성주풀이〉ㆍ〈조상모시기〉ㆍ〈넋풀이〉ㆍ〈넋올리기〉 등에 굿거리장단이 사용된다. 단, 산조ㆍ남도선소리ㆍ남도민요에 쓰이는 굿거리장단은 경기민요의 굿거리장단과는 다른 자진중중모리장단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 음악적 특징 굿거리 한 장단은 네 개의 보통박이 각각 3개의 소박으로 나누어지는 구조이다. 즉, 굿거리 한 장단은 열두 개의 소박으로 이루어지고, 굿거리장단의 강세는 제1소박과 제9소박에 있다. 굿거리장단으로 된 민요 사설은 한 장단에 2음보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는 중중모리장단으로 된 판소리나 민요의 사설붙임과 유사하나, 중중모리장단의 사설은 4ㆍ4조이고 굿거리장단은 3~6자로 대체로 불규칙하다는 점이 다르다. 또한 중중모리장단에 비해 3음보가 많고 장식적 선율과 시김새가 많이 나타난다.
○ 악기편성 굿거리장단이 반주로 쓰일 때는 대개 장구로 연주한다. 농악에서는 꽹과리(쇠), 징, 장구, 북, 소고(벅구), 호적, 나발 등이 함께 연주하고, 태평소가 이에 맞춰 선율을 연주한다. 서울 등 무악은 피리ㆍ젓대ㆍ해금ㆍ장구ㆍ징 반주를 한다.
굿거리장단은 경쾌하고 흥겨운 느낌을 주며 민요ㆍ무악ㆍ농악 등에 널리 사용된다. 특히 경토리권의 통속민요ㆍ삼현육각ㆍ농악 등에서 많이 나타난다. 굿거리장단은 느린 3소박 4박자로 중중모리장단, 타령장단, 살풀이장단 등이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다.
국립국악원, 『교육용 국악 표준악보 –향토민요 100선-』, 국립국악원, 2009. 김영운, 『국악개론』, 음악세계, 2020. 김청만, 『한국의 장단』, 민속원, 2002. 이창배, 『한국가창대계』, 홍익문화사, 1976. 이보형, 「판소리 사설의 극적 상황에 따른 장단조의 구성」, 『예술논문집』 14, 대한민국예술원, 1975. 이보형, 「한국민속음악 장단의 리듬형에 관한 연구 -중중모리, 굿거리, 타령, 살푸리와 같은 3소박 느린 4박자형 장단을 중심으로-」, 『동양음악』 1, 1975.
김인숙(金仁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