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중머리, 중중머리장단
판소리, 산조, 민요 등의 음악에 두루 사용되는 조금 빠른 3소박 4박자 혹은 8분의 12박 장단
중중모리장단은 3소박 4박자(4/♩.) 구조로 된 중중모리보다 조금 빠른(♩.=60~96) 12박 장단이다. 판소리ㆍ민요ㆍ무가의 반주, 기악 독주곡인 산조 등에 두루 쓰인다. 판소리의 중중모리장단 대목으로는 《춘향가》의 〈군로사령〉ㆍ〈천자뒤풀이〉, 《심청가》의 〈화초타령〉ㆍ〈젖동냥 대목〉, 《흥보가》의 〈제비노정기〉ㆍ〈비단타령〉, 《수궁가》의 〈토끼화상〉, 《적벽가》의 〈장승타령〉 등이 있다.
중중모리장단의 유래를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중중모리라는 장단 명칭은 고사소리, 선증애소리, 줄소리, 판소리와 같은 창우(倡優) 집단의 광대소리에 뿌리를 둔 판소리와 산조가 일반화되면서 널리 쓰여진 것으로 보인다. 박헌봉(朴憲鳳, 1907~1977)은 『창악대강(唱樂大綱)』(1966)에서 “창악의 장단은 무굿에서 유래된 것 같다. 푸살굿에서 자진모리와 휘모리, 중머리, 중중머리, 굿거리 등의 장단 형태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중략… 중중머리는 창악의 기본성조를 이룬다”라고 하여 무속음악과 중중모리장단의 연관성을 언급하였다. 중중모리장단은 판소리와 무가, 산조 외에 전국 여러 지역의 민요에서도 매우 보편적이고 폭넓게 사용되는 장단이다.
○ 용도
판소리에서 중중모리장단이 쓰이는 대목은 《춘향가》의 〈군로사령〉ㆍ〈천자뒤풀이〉, 《심청가》의 〈화초타령〉ㆍ〈젖동냥 대목〉, 《흥보가》의 〈제비노정기〉ㆍ〈비단타령〉, 《수궁가》의 〈토끼화상〉, 《적벽가》의 〈장승타령〉 등이 있다.
경기 남부와 충청도, 전라도 지역의 육자백이권의 민요에서 많이 쓰이는 장단이며, 경상도와 강원도에서도 중중모리장단으로 된 민요가 있다. 경남 진양의 〈칭칭이소리〉, 경북 예천 〈돔소소리〉, 전남 신안의 〈둥당애타령〉, 〈멸치잡이소리〉, 전북 영광의 〈군사놀이 노래〉, 충북 괴산의 〈논매는 소리〉, 경기 양평의 〈아이 어르는 소리〉, 강원 명주의 〈그물 당기는 소리〉 등과 같이 일하거나 활기찬 대목에서 중중모리장단이 사용된다.
한편 기악곡인 산조는 진양조-중모리-중중모리를 기본구성으로 하며 악기의 종류와 유파에 따라 휘모리, 단모리, 굿거리 등의 장단이 추가된다.
가장 느린 진양조에 이어 중모리가 연주되고 이어서 중중모리로 이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외에도 가야금병창 〈화초타령〉이 중중모리장단으로 되어 있다.
○ 음악적 특징 중중모리장단은 3소박 4박자의 조금 빠른 장단이다. 굿거리장단, 살풀이장단과 같은 3소박 4박자이나 강약 및 주법에서 차이가 있다. 빠르기에 따라 ‘늦은 중중모리’와 ‘자진 중중모리’로 나뉜다. ‘자진 중중모리’는 ‘휘중모리’라고도 하고 조금 느린 4박자이며 굿거리장단과 한배가 같다. 중모리장단과 같이 12박을 넷으로 나누어 3박씩 밀고, 달고, 맺고, 푸는 구조[기경결해(起景結解)]로 되어 있다. 다만, 중모리장단에 비해 빠르기 때문에, 기경결해의 구조가 한 장단을 넘어 여러 장단에 걸쳐 나타나기도 한다. 악절을 맺을 때는 제9박에서 대점 자리를 세게 치고, 이어지는 선율에서는 대점 자리를 작게 치거나 대기만 한다. 중중모리장단은 중모리장단, 자진모리장단과 한배의 차이만 있을 뿐 구조가 같은 ‘3소박 4박자형’ 장단이다. 예를 들어, 중중모리장단으로 된 〈자진농부가〉를 느리게 부르면 중모리장단의 〈긴농부가〉가 되고 〈자진농부가〉를 더욱 몰게 도면 자진모리장단으로 된 〈자진자진농부가〉가 된다.
판소리에서는 사설의 내용에 따라 계면조 또는 평조로 부른다. 《춘향가》 중 〈어사와 장모〉, 《심청가》 중 〈심청모 출상〉ㆍ〈방아타령〉은 계면조이고, 《심청가》 〈화초타령〉은 평조, 《수궁가》 〈고고천변〉은 평조 또는 계면조, 〈백로주를 바삐 지나〉는 평조로 부른다. 중중모리장단은 대개 제1박과 제2박을 전반부에 1음보가 붙고, 제3박과 제4박의 후반부에 1음보가 붙는다. 즉 중중모리 한 장단에 2음보를 붙이나 대개는 전반부와 후반부에 1음보씩 사설을 붙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중중모리장단으로 된 동요나 부녀요 가운데 전남 나주 〈시집살이 노래〉와 전남 영광 〈따박 따박 따박네〉의 사설은 대개 4ㆍ4조의 자수율에 2음보로 되어 있고, 1~2박에 1음보, 3~4박에 1음보가 규칙적으로 붙는다. 이러한 형태는 중중모리장단의 고형(鼓型)이 다음과 같은 형태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전남 영광 〈따박네〉 /따박-/따박-//따박네/야--/ 고형 /○○-/○-○//○-○/○--/ 산조는 진양조-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휘모리) 순서로 연주되는 기악 독주곡이다. 중중모리장단은 중모리장단에 이어서 조금 빠르게 연주된다. ○ 악기편성 장단은 북이나 장구로 연주한다. 대개 판소리는 소리북으로 반주하고 민요나 산조에는 장구를 주로 쓴다. 무악 반주에서는 북과 장구를 혼용한다.
중중모리 장단은 산조의 모든 유파에서 진양조-중모리에 이어 빨라지는 장단이다. 또한 흥취를 돋우고 아정한 느낌을 주어, 판소리ㆍ향토민요에 이르기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장단 중 하나이다. 중중모리장단은 덩ㆍ궁ㆍ딱ㆍ척하고 홑가락만 연주하고 ‘기덕’이나 ‘더르르르’같은 겹가락은 넣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이처럼 장구에서 쓰는 기법이 없다는 점에서 본래 중중모리장단은 장구가 아닌 북으로 주로 연주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국립국악원, 『교육용 국악 표준악보 –향토민요 100선-』, 국립국악원, 2009. 곽준, 『판소리와 장단』 , 아트스페이스, 1992 김청만, 『한국의 장단』, 민속원, 2002. 박헌봉, 『창악대강』, 국악예술학교출판부, 1966. 유진한 지음, 송하준 옮김, 『국역 만화집』, 학자원, 2013. 정노식, 『조선창극사』, 조선일보출판부, 1940. 이보형, 「판소리 고법1ㆍ2」, 『문화재10ㆍ11』,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1976. 이보형, 「판소리 사설의 극적 상황에 따른 장단조의 구성」, 『예술논문집』 14, 대한민국예술원, 1975. 이보형, 「한국민속음악 장단의 리듬형에 관한 연구 -중중모리, 굿거리, 타령, 살푸리와 같은 3소박 느린 4박자형 장단을 중심으로-」, 『동양음악』 1, 1975.
김인숙(金仁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