덩더꿍이(덩더궁이), 덧뵈기, 삼채, 자진굿거리, 자진자진모리, 반덩더꿍이, 자진삼채, 된삼채, 삼채굿
판소리, 산조, 민요 등 민속음악에 사용되는 빠른 3소박 4박자 혹은 8분의 12박 장단
자진모리 장단은 3소박 4박자 구조 혹은 8분의 12박자이다. 한배는 M.M.♩.=90~144 정도로, 중중모리장단보다 빠르게 몰아가는 장단이다. 자진모리장단은 ‘잦게 몰아가는’ 장단이라는 뜻을 지니며, 판소리에서 사설의 극적인 상황을 전개하는 대목, 긴박한 대목, 격동적인 대목 등 긴장감을 고조시키는 대목에 많이 쓰인다. 주요 대목으로는 《춘향가》의 〈어사출또〉, 《심청가》의 〈뺑덕이네 쌀 퍼주고 술 사먹는데〉 등이 있다.
자진모리장단의 유래를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판소리·산조·민요·무악 등 여러 민속음악에서 사용되어 왔다. 19세기는 다양한 판소리 더늠이 만들어지고 진양조장단이 완성되면서 판소리 장단이 확립되었다. 박헌봉(朴憲鳳, 1907~1977)의 『창악대강(唱樂大綱)』(1966)에 ‘창악의 장단은 무굿에서 유래된 것 같다. 〈푸살굿〉에서 자진모리와 휘모리, 중모리, 중중모리, 굿거리 등의 장단 형태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라고 언급되어 있어 무속음악과 자진모리장단의 연관성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전국의 민요에서도 상당 부분 중중모리장단과 함께 자진모리장단의 민요가 채록된 것으로 미루어 기층음악에서도 자진모리장단이 널리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용도
자진모리장단은 판소리ㆍ산조ㆍ민요ㆍ무가ㆍ농악 등 여러 민속음악에 두루 쓰인다. 판소리에서 자진모리 눈대목으로는 《춘향가》의 〈방자 산세 대목〉ㆍ〈신연맞이〉ㆍ〈과거보는 대목〉ㆍ〈사또생신잔치〉ㆍ〈어사출또〉, 《심청가》의 〈심청 어르는 대목〉ㆍ〈심청이 거동봐라〉ㆍ〈뺑덕이네〉ㆍ〈자진방아타령〉ㆍ〈심황후 이말듣고〉ㆍ〈도화동을 향해 기원하는 대목〉ㆍ〈뺑덕이네 쌀 퍼주고 술 사먹는데〉, 《흥보가》의 〈흥보치장대목〉ㆍ〈놀보가 흥보때리는 대목〉, 《적벽가》의 〈적벽화전〉 등이 있다. 《수궁가》의 〈좌우나졸〉ㆍ〈별주부가 토끼 관상 봐주는 대목〉 등이 있다. 자진모리장단은 이와 같이 이야기의 전개가 극적이고 격동적인 부분에서 사용한다.
한편 기악곡인 산조는 진양조-중모리-중중모리-(굿거리)-자진모리의 순서로 연주된다.
가장 느린 진양에 이어 중모리-중중모리가 연주되고 이어서 굿거리 또는 자진모리로 이어서 연주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구성임을 알 수 있다. 전국 여러 지역의 민요에도 자진모리장단이 사용된다. 경기민요 〈자진방아타령〉, 강원도 양양의 〈목도소리〉, 충북 청원 〈나물노래〉, 전남 진도 〈강강술래〉, 경북 영덕 〈월워리청청〉 경남 밀양 〈줄꼬는 소리〉, 북제주 구좌동 〈노젓는 소리〉, 평북 철산군 〈쇠스랑질소리〉 등이 있다. #3 음원 경기민요(〈방아타령〉ㆍ〈사설방아타령〉ㆍ〈자진방아타령〉) 거의 모든 지역의 마을굿(풍물)에서도 자진모리 장단은 공통적으로 연주되는 장단이다. 《경기농악(웃다리풍물)》의 쇠가락은 길군악칠채-쩍쩍이-자진가락-마당일채-덩더궁이(삼채)-영산다드래기(연풍대)-굿거리이다. 《영동농악(강릉농악)》의 쇠가락은 일채(천부당만부당)-이채-삼채-길놀이-굿거리-구식길놀이-오채 등이 있다. 《호남우도농악(평야지방)》의 쇠가락은 오채질굿-외마치질굿-느린삼채-자진삼채-두마치-세산조시-호호굿-풍류굿-다드래기 등이 있다. 《호남좌도농악(임실 등)》의 쇠가락에는 굿거리(풍류굿)-삼채굿(자진모리)-휘모리-채굿(일채~칡채)-질굿-짝두름-호호굿 등이 있다. 《경남농악》은 홑다드래기-겹다드래기-삼차다드래기-잔다드래기-덧뵈기-길군악-오방진가락 등이 있다. 《경북농악》의 쇠가락에는 굿거리-부정굿-조름쇠-살풀이-자진마치-덩더궁이-다드래기-길군악 등이 있다. 각 지역의 쇠가락에서 덩더궁이, 삼채, 덧뵈기 등이 자진모리와 같은 장단 구조는 유사하나 강세나 음악적 느낌은 구별된다.
○ 음악적 특징 자진모리장단은 판소리 여러 장단 중에 소리의 밀고 달고 맺고 푸는 것이 가장 뚜렷하다. 중중모리장단보다 빠르게 몰아가는 3소박 4박자 구조로 되어 있으며, 빠르기에 따라서 ‘늦은 자진모리’와 ‘자진 자진모리’ 등으로 구별할 수 있다. 산조에서는 자진모리장단을 ‘휘모리’라고도 하는데, 판소리에서 휘모리는 단모리(세산조시)를 가리켜 음악에 따라 명칭이 달라지기도 한다.
○ 악기편성 장단은 북이나 장구로 연주한다. 대개 판소리는 소리북으로 반주하고 민요나 산조에는 장구를 주로 쓴다. 무악과 농악에서는 북과 장구 이외에 꽹과리, 징 등을 혼용한다.
자진모리장단은 빠르게 몰아가는 3소박 4박자 장단으로 민속악에서 널리 사용되는 장단이다. 판소리에서는 사설의 극적인 상황을 전개하는 대목에서 많이 쓰이고, 산조에서는 중중모리에 이어서 빠르게 연주하는 대표적 악곡이다.
곽준, 『판소리와 장단』, 아트스페이스, 1992. 국립국악원, 『교육용 국악 표준악보 –향토민요 100선-』, 국립국악원, 2009. 김영운, 『국악개론』, 음악세계, 2020. 김청만, 『한국의 장단』, 민속원, 2002. 유진한 지음, 송하준 옮김, 『국역 만화집』, 학자원, 2013. 정노식, 『조선창극사』, 조선일보출판부, 1940. 이보형, 「판소리 고법1ㆍ2」, 『문화재10ㆍ11』,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76. 이보형, 「판소리 사설의 극적 상황에 따른 장단조의 구성」, 『예술논문집』 14, 대한민국예술원, 1975. 이보형, 「한국민속음악 장단의 리듬형에 관한 연구 -중중모리, 굿거리, 타령, 살푸리와 같은 3소박 느린 4박자형 장단을 중심으로-」, 『동양음악』 1, 1975.
김인숙(金仁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