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음 형식(連音形式)
연주에서 음을 이어가는 기법, 주된 가락과 가락 사이를 연잇는 주법
연음 기법이란 음을 이어가는 기법으로, 기악곡의 경우 피리가 쉬는 동안 대금이나 해금이 피리 가락을 이어서 연주하는 진행기법을 말한다. 이때 연음은 장단과 장단 사이 또는 장과 장 사이에 나타나 가락을 이어주거나 반복하며, 장단과 장단 사이를 연결하거나 장과 장 사이를 이어주는 음악적 역할을 하기도 한다.
○ 구성 연음은 소리를 이어간다는 뜻이다. 피리ㆍ장구ㆍ북ㆍ대금ㆍ소금ㆍ해금ㆍ아쟁 등으로 이루어진, 즉 관악기가 중심이 되는 합주곡에서 주선율을 연주하는 피리가 쉬는 동안 소리가 끊어지지 않도록 대금ㆍ소금ㆍ해금ㆍ아쟁 등이 피리의 선율을 이어 연주하는데 이를 연음 가락이라고 한다. 피리 주자가 장단 끝에서 다음 장단까지 쉬는 동안 다른 악기들이 연음으로 가락을 이어 연주하며 끝 음을 길게 뻗어 주는데, 연음 이후 피리는 반드시 그 끝 음을 받아서 연주한다. 연음 기법에 따라 합주의 피리 가락과 대금ㆍ소금ㆍ해금ㆍ아쟁 등이 연주하는 연음 가락이 대화하듯이 이어지는 효과가 나타난다. 피리가 쉬는 것을 멈추고 다시 연주한다는 것은 피리를 포함한 모든 악기가 함께 연주함을 의미하며, 피리가 단독으로 연주한다거나 다른 악기가 쉬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피리의 소리는 크고 우렁차므로 음향적인 측면에서 피리가 연주할 때와 피리가 연주하지 않을 때 음량이 대비되는 효과가 난다. 그러므로 연음은 단순히 음을 이어가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장단과 장단 사이를 구분 짓는 동시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한 장단 끝에서 다음 장단 시작까지를 이어줌으로써 선율의 선적인 느낌을 강화해 준다. 즉 연음은 가락을 이어주거나 반복하며, 장단과 장단 사이ㆍ장과 장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 용도 기악곡 중 〈수제천(壽齊天)〉ㆍ〈전폐희문(奠幣熙文)〉ㆍ〈동동(動動)〉ㆍ《관악영산회상(三絃靈山會相)》 중 〈상영산(上靈山)〉ㆍ〈해령(解令)〉 등에서 연음 기법을 찾아볼 수 있다. 성악화 된 연음 기법 중에는 《범패(梵唄)》에서 나타나는 허덜품이 있다. 불교의 의식 음악 《범패》 중 〈짓소리〉는 합창으로 부르는데, 허덜품은 〈짓소리〉와 〈짓소리〉 사이에 나와 곡을 길게 늘이거나 합창하는 이들을 쉬게 한다.
○ 연주 방식 연음은 주요 음에서 2도 아래의 음을 거쳐 다시 주요 음으로 이어가는 형태로 나타난다. 〈수제천〉과 《관악영산회상》 중 〈상영산〉에서는 향피리가 쉬었다가 다시 나올 때, 대금ㆍ소금ㆍ해금ㆍ아쟁 등이 연주하는 연음 가락의 끝 음을 피리가 반드시 받아 이어주는 점이 특징이다. 〈해령〉에서는 당피리를 중심으로 여러 악기가 일제히 원 가락 한 마루(한 행)를 마치면 당피리ㆍ방향ㆍ편종ㆍ편경 등의 악기는 쉬고, 대금ㆍ당적ㆍ해금 등의 악기가 연음 가락을 연주한다. 연음 이후 주선율을 이어가는 피리의 첫 음은 반드시 청황종(潢鐘)이므로, 다른 악기가 연주하는 연음의 끝 음도 청황종(潢鐘)이다. 이처럼 연음 기법의 악곡에서는 연음 가락의 끝을 물고 대화하듯 가락을 이어갈 때 대비되는 악기의 음색이 특징적이다.
○ 교육적 활용 연음 기법은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1997년 고시)부터 현재까지 교과의 개념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교과서는 〈수제천〉ㆍ〈전폐희문〉ㆍ〈동동〉 등을 감상 영역 제재곡으로 수록하고 있다.
○ 교과서 제재곡
〈수제천〉, 〈전폐희문〉, 〈동동〉, 《관악영산회상》 중 〈상영산〉, 〈해령〉 등
국립국악원, 『국악용어표준안』, 국립국악원, 2010. 국립국악원, 『피리정악보』, 국립국악원, 2015. 김영운, 『국악개론』, 음악세계, 2015. 장사훈, 『最新國樂總論』, 세광음악출판사, 1985. 임현택, 「관악영산회상 중 상령산의 선율 구조 -피리 선율과 대금 연음의 관계를 중심으로-」, 『공연문화연구』 39, 한국공연문화학회, 2019. 한영숙, 「국악의 형식에 대한 논의」, 『국악교육연구』 3(1),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09.
정은정(鄭恩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