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린 음악과 빠른 음악을 짝으로 묶어 연주하는 형식
느린 장단의 음악과 빠른 장단의 음악을 연이어 연주하는 형식을 긴 자진 형식이라고 한다. 이때 ‘긴’은 ‘한배가 길다’의 의미이며, ‘자진’은 ‘한배가 짧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 구성 한배는 장단의 하위 개념 중 하나로서 박의 시간적인 길이 즉, 음악의 빠르고 느린 정도를 가리킨다. 본래는 화살이 날아가는 거리와 시간을 뜻하였다. 즉 한배는 공간을 시간화시킨 개념으로, 음악에서는 속도가 빠르고 느린 정도를 의미하게 되었다. 거리가 멀면 시간상으로 느리다는 것이고, 거리가 짧으면 시간상 빠르다는 것이다. 그 외에도 한배는 빠르기, 장단의 한 주기, 장단, 시가(時價), 리듬형 등 여러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장단을 가지고 한배를 설명할 때, 한 장단의 길이 또는 주기ㆍ시가 등으로 한배를 비교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한배가 길다’는 한배가 느리다는 뜻이며, ‘한배가 짧다’는 한배가 빠르다는 뜻이다. 이처럼 한배가 느린 곡을 먼저 부르고, 한배가 빠른 곡을 연이어 부르는 연주 형식을 긴 자진 형식이라고 한다. 한배를 다르게 하여 악곡을 구성하는 형식 중에 한배에 따른 형식(세틀 형식)도 있다. 한배에 따른 형식은 여러 곡이 진행되면서 악곡 전체가 느림-보통-빠름으로 연결되지만, 긴 자진 형식은 느림-빠름이 짝을 이루므로 두 형식은 구조적으로 구분된다.
○ 연주 방식 남도민요 〈농부가〉는 중모리장단으로 노래하는 악곡이고, 연이어 부르는 〈자진농부가〉는 굿거리장단 또는 중중모리장단으로 노래한다. 이렇듯 한배가 느린 〈농부가〉와 한배가 빠른 〈자진농부가〉를 연이어 노래하는 방식에 의한 형식이 긴 자진 형식이다. 긴 자진 형식은 두 곡을 잇는 연주 방식에 따른 것이므로, 가창 방식은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가창 방식을 분류하는 기준과 용어에 대한 견해는 선후창(메기고받는 방식), 교환창(주고받는 방식), 돌림창(윤창), 독창, 복창, 제창 등 학자들마다 다르다. 민요는 어떤 노래든지 독창으로 노래할 수 있고, 제창으로도 노래할 수 있다. 긴 자진 형식의 악곡이라도 메기고 받으며 부르거나 주고받으며 부를 수 있고, 독창이나 제창으로 부를 수 있다. 민요의 가창 방식은 유동적이기 때문이다. ○ 용도 긴 자진 형식은 노동요 등의 민요나 잡가 등 성악에서 주로 쓰인다.
○ 교육적 활용 긴 자진 형식은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1997년 고시)부터 현재까지 교과의 개념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음악 교과서에는 관련 악곡을 제재곡으로 수록하고 있다. 메기고받는 가창 방식에 의한 긴 자진 형식의 악곡이 많다.
○ 교과서 제재곡
경기민요: 〈방아타령〉-〈자진방아타령〉 등
남도민요: 〈강강술래〉-〈자진강강술래〉, 〈농부가〉-〈자진농부가〉, 〈육자배기〉-〈자진육자배기〉 등
동부민요: 〈쾌지나칭칭나네〉-〈자진쾌지나칭칭나네〉 등 서도민요: 〈긴아리〉-〈자진아리〉, 〈긴난봉가〉-〈자진난봉가〉, 〈배따라기〉-〈자진배따라기〉, 〈긴염불〉-〈자진염불〉 등
제주민요: 〈서우젯소리〉-〈자진서우젯소리〉 등
국립국악원, 『국악용어표준안』, 국립국악원, 2010. 변미혜 외, 『국악용어사전』 민속원, 2012. 장사훈, 『最新國樂總論』, 세광음악출판사, 1985. 한영숙, 「국악의 형식에 대한 논의」, 『국악교육연구』 3(1),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09. 한윤이, 「장단의 개념 및 지도 단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한윤이, 「한배의 개념 고찰과 교육적 개념 정립을 위한 논의」, 『국악교육연구』 15(1),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1.
정은정(鄭恩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