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민요조(京畿民謠調)
서울ㆍ경기지역 민요와 무가의 음악 양식
○ 진경토리(창부타령토리)
진경토리는 ‘솔라도레미’ 구조로 되어 있고, ‘솔’로 종지한다. 경기지역에서 가장 대표적인 토리이므로 경토리라고 부르기도 한다. 진경토리의 특성을 가장 잘 담고 있는 곡이 〈창부타령〉이므로 진경토리를 창부타령토리라고도 부른다. 〈창부타령〉은 서울굿의 창부거리에서 부르는 타령이라는 뜻을 가지는 악곡이었으나 경기지역 사람들에게 사랑받으면서 민요화되었고 20세기 초반 유성기음반을 통해 전국적으로 유행하기도 하였다.
진경토리는 다섯 개 구성음 가운데 생략되는 음이 없이 빈번하게 순차 진행한다. 길게 지속하는 음이 많지 않고, 다섯 음이 각각 장2도나 단3도로 가까이 있으므로 굵게 떨거나 흘러내리는 시김새는 두드러지지 않는 반면 장식음과 같은 시김새가 애용된다.
진경토리의 구조는 궁중음악과 양반음악의 평조와 같아 경기 지역의 진경토리가 궁중음악과 양반음악의 평조가 된 것으로 본다. 진경토리는 실제 경기 지역 향토민요에서의 사용 비중이 높지 않다. 주도적이지는 않지만 서울과 경기 북부, 평안도를 비롯한 서도 지역에서도 사용 사례가 나타난다. 진경토리의 특성이 잘 표현된 사용하는 사례는 경기 지역 무가 〈창부타령〉ㆍ〈노랫가락〉과 통속민요 〈긴아리랑〉ㆍ〈구조아리랑〉ㆍ〈태평가〉ㆍ〈늴리리야〉ㆍ〈청춘가> 등에서 볼 수 있다.
○ 반경토리(베틀가토리ㆍ한강수타령토리)
반경토리는 ‘라(la)-도(do′)-레(re′)-미(mi′)-솔(sol′)’ 구조이며 ‘라’로 종지하는 음악 양식이다. 경기도 서북 지역이 주된 전승 지역인데, 황해도의 난봉가토리의 구조와 경기의 진경토리의 선율 진행 방식 및 시김새가 합해진 형태이다. 황해도 난봉가토리 역시 ‘라(la)-도(do′)-레(re′)-미(mi′)-솔(sol′)’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반경토리와 구조가 같지만 시김새 활용은 다르다. 그리고 5개의 구성음 중 생략되는 음이 없고 장식음과 같은 시김새가 사용된다는 점은 진경토리와 동일하다. 경기 민요 가운데 〈한강수타령〉이나 〈베틀가〉 등이 가장 대표적이므로 이것을 베틀가토리나 한강수타령토리라고도 부른다.
반경토리의 구조는 궁중음악과 양반음악의 계면조와 같아 경기 지역의 반경토리가 궁중음악의 계면조가 되었을 것으로 본다. 반경토리는 〈한강수타령〉ㆍ〈베틀가〉ㆍ〈경복궁타령〉ㆍ〈오봉산타령〉ㆍ〈천안삼거리〉 등에서 사용된다.
○ 신경토리(남도경토리ㆍ남부경토리ㆍ성주풀이토리)
신경토리는 ‘솔(sol)-라(la)-도(do′)-레(re′)-미(mi′)’로 되어 있어 진경토리와 구조가 동일하지만 종지음이 ‘도’ 음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 선법은 신경토리와 남부경토리의 두 가지 계통으로 나눌 수 있지만 선법의 구조가 같기 때문에 하나로 묶어 분류한다. 신(新)경토리는 서양음악 장조의 영향으로 ‘도’ 종지를 하는 경우이며, 남부경토리(또는 남도경토리ㆍ성주풀이토리)는 육자배기토리에서 꺾는 음의 반음이 온음으로 넓어져 ‘솔(sol)-라(la)-도(do′)-레(re′)-미(mi′)’로 해석되는 경우이다.
신경토리의 대표적인 사례로 〈아리랑〉을 들 수 있다. 아리랑은 ‘솔(sol)-라(la)-도(do′)-레(re′)-미(mi′)’의 진경토리 음계에 순차 진행하는 특성을 갖고 있지만 종지는 ‘도’로 한다. 영화 주제곡으로서 서양 오케스트라로 연주되었던 〈아리랑〉은 서양 음악 영향으로 ‘도’ 종지를 하게 된 경우이다. 남부경토리의 대표 악곡으로는 〈성주풀이〉가 있다. 〈성주풀이〉는 남도의 굿에서 연주되었던 남도삼현 굿거리를 기반으로 한 무가에서 비롯되어 남도잡가의 한 곡이 된 악곡이다.
신경토리의 대표 악곡으로는 〈아리랑〉ㆍ〈풍년가〉ㆍ〈노들강변〉 등을 들 수 있으며, 남부경토리의 대표 악곡으로는 〈성주풀이〉와 남도지역의 농요들을 들 수 있다. 또 남도 지역의 농요에 사용된 남부경토리는 판소리 우조의 기반이 되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영운, 『국악개론』, 음악세계, 2020. 김혜정, 『민요의 채보와 해석』, 민속원, 2013. 이보형, 『경서토리 음구조 유형에 관한 연구』, 문화재연구소, 1992. 김영운, 「한국 민요 선법의 특징」, 『한국음악연구』 28, 2000. 김혜정, 「경기민요의 장르적 구분과 음악적 특성」, 『기전문화연구』 37, 2016. 신은주, 「한국 민요 선법(토리)의 연구 성과 검토 및 논점」, 『한국민요학』 46, 2016. 이보형, 「토리의 개념과 유용론」, 『소암권오성박사화갑기념음악학논총』, 2000.
김혜정(金惠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