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봉가조(調), 반수심가토리, 난봉가제(制)
‘라(la)-도(do′)-레(re′)-미(mi′)-솔(sol′)’의 구조로 된 황해도 민요의 음악 양식
토리는 음구조ㆍ선법ㆍ음비중ㆍ음기능ㆍ시김새 등과 같은 여러 총체적 특성으로 음악 양식 유형 특성을 지시하는 용어이다. 문화권별로 다른 토리를 사용하므로 음악 사투리라고 할 수 있다. 황해도민요는 〈난봉가〉와 비슷한 양식으로 된 것이 많기 때문에 〈난봉가〉라는 악곡명을 토리 앞에 붙여 난봉가토리라 부른다. 또 서도 민요 토리 가운데 가장 주요한 토리로 수심가토리를 들기 때문에 그와 다른 난봉가토리는 반수심가토리로 구별하기도 한다.
토리는 과거 음악인들이 지역적 차이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해 왔던 것을 학문적으로 정리하여 사용하게 된 용어이다. 토리와 같은 음악 양식은 언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그 유래를 특정하기 어려울 정도로 역사가 길 것으로 짐작된다. 〈난봉가〉는 황해도의 대표적인 통속민요이다. 난봉가의 뿌리는 사당패소리 동풍노래에 있으며, 〈긴난봉가〉에서 시작하여 〈자진난봉가〉ㆍ〈사설난봉가〉ㆍ〈병신난봉가〉ㆍ〈사리원난봉가〉ㆍ〈숙천난봉가〉ㆍ〈별제난봉가〉ㆍ〈개성난봉가> 등으로 확산되었다. 난봉가는 사랑을 노래하는 곡으로 널리 사랑받으면서 여러 변주곡을 만들어낸 곡으로 황해도민요로서 대표성이 있어 토리의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난봉가토리는 ‘라(la)-도(do′)-레(re′)-미(mi′)-솔(sol′)’ 구조로 되어 있고, ‘라’로 종지한다. ‘레’ 음을 생략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로 인해 ‘도’와 ‘미’ 사이의 간격이 확보되면서 ‘미’ 음을 요성할 수 있게 된다. 선법의 가장 높은 음인 ‘솔’은 하행 지향성이 있기 때문에 흘러내리거나 약간 낮게 부르기도 한다. ‘라-미-솔’의 세 음이 골격이 되는 완전5도+단3도의 형태로 수심가토리와 구조가 동일하다. ‘미’의 요성은 다양하게 세분될 수 있으나 가장 많이 활용되는 요성은 ‘레’와 ‘미’ 음의 사이를 툭툭 끊어내듯 올려 치는 요성이다. 서도민요는 음역대가 높고 맑은 소리를 좋아하므로 발성에 있어서 두성과 비성을 섞어 고음을 내는데 비성(콧소리)이 심하게 나는 것은 좋아하지 않는다. 난봉가토리의 음역대가 확장될 때에는 아래쪽과 위쪽으로 모두 확장될 수 있다. 아래쪽으로 확장될 때에는 가장 아래 음인 ‘라’에서 4도 아래의 ‘미’ 음을 툭 치고 올라오는 형태를 많이 사용하는데, 간혹 ‘라솔미’를 모두 사용하여 메나리토리와 섞이는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난봉가토리는 수심가토리의 시김새 특성과 반경토리의 선법 구조가 합해진 형태이다. 즉 선법의 구조는 반경토리와 동일한 ‘라(la)-도(do′)-레(re′)-미(mi′)-솔(sol′)’이며, 흘러내리는 음과 떠는 음의 시김새는 수심가토리와 동일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관계성으로 인해 향토민요에서는 이들 토리가 혼용되는 현상이 쉽게 발생한다. 난봉가토리의 가장 아래 두 음은 단3도 간격이지만 이를 장2도로 약간만 좁게 만들면 수심가토리와 구조가 동일해진다. 향토민요에서는 이러한 특성들이 섞이고 한 곡 안에서 변화하기도 하여 때로 동일 곡을 수심가토리와 난봉가토리로 각각 부르기도 한다. 또 난봉가토리의 다섯 음을 고루 사용하면서 떨거나 흘러내리는 시김새를 쓰지 않으면 반경토리가 된다. 때문에 통속민요에서 동일 악곡을 경기명창이 부를 때에는 반경토리에 가깝게, 서도명창이 부를 때에는 난봉가토리로 부르는 경우가 있다. 난봉가토리로 된 악곡에는 〈배치기소리〉ㆍ〈긴난봉가〉ㆍ〈자진난봉가〉ㆍ〈병신난봉가〉ㆍ〈사설난봉가〉 등이 있다. 그리고 〈몽금포타령〉ㆍ〈오봉산타령〉 등의 악곡들은 반경토리나 난봉가토리가 혼용될 수 있는 곡이어서 서도명창들이 난봉가토리로 노래하는 사례들이 있다.
난봉가토리는 아래 두 음이 단3도의 간격을 두고 있어 장2도인 수심가에 비하면 약간의 역동성이 있다는 점을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향토민요에서 활용 비중이 낮은 편이지만 통속민요 난봉가토리 악곡에는 흥겨운 분위기를 담은 악곡이 많다. 그러나 분단 이후 남한에서의 난봉가토리는 점차 반경토리화되는 경향들도 나타나고 있다.
김영운, 『국악개론』, 음악세계, 2020. 김혜정, 『민요의 채보와 해석』, 민속원, 2013. 김영운, 「한국 민요 선법의 특징」, 『한국음악연구』 28, 2000. 손인애, 「서도민요 긴난봉가에 대한 사적 고찰」, 『한국민요학』 23, 2008. 신은주, 「한국 민요 선법(토리)의 연구 성과 검토 및 논점」, 『한국민요학』 46, 2016. 이보형, 「경서토리 음구조 유형에 관한 연구」, 문화재연구소, 1992. 이보형, 「토리의 개념과 유용론」, 『소암권오성박사화갑기념음악학논총』, 2000.
김혜정(金惠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