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민요조(東部民謠調), 메나리조(調), 메나리제(制), 산유화제(制), 산유화조(調)
‘미라도레-레도라솔미’의 구조로 된 동부민요와 무가의 음악 양식
토리는 음구조ㆍ선법ㆍ음비중ㆍ음기능ㆍ시김새 등과 같은 여러 총체적 특성으로 음악 양식 유형 특성을 지시하는 용어이다. 문화권별로 다른 토리를 사용하므로 음악 사투리라고 할 수 있다. 메나리토리는 경상도ㆍ충청북도ㆍ강원도ㆍ함경도 전역, 그리고 경기도와 충청남도, 전라북도의 동부 등 한반도의 동부지역에 사용되는 음악 양식이다. 동부 지역 민요의 토리는 동부민요 중 대표적인 악곡인 메나리와 비슷한 양식으로 된 것이 많기 때문에 메나리라는 악곡명을 토리 앞에 붙여 메나리토리로 부른다. 동부지역에 전승되는 많은 민요 악곡 중에서 메나리가 꼽힌 이유는 판소리 《심청가》에서 경상도의 밭매는소리를 ‘메나리조’라 이른 것 때문이다.
토리는 과거 음악인들이 지역적 차이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해 왔던 것을 학문적으로 정리하여 사용하게 된 용어이다. 토리와 같은 음악 양식은 언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그 유래를 특정하기 어려울 정도로 역사가 길 것으로 짐작된다. 〈메나리〉를 ‘산(메)+나리(화)’로 해석하여 메나리토리를 산유화조, 또는 산유화제로 해석하기도 한다. 또 〈메나리〉와 〈미나리〉를 각각 메나리=맨+아리, 미나리=민+아리로 해석하고, 아리는 ‘소리’라는 의미로 해석하여 〈메나리〉를 특정 악곡을 지시하는 의미보다는 좀 더 넓은 의미의 보통 명사로 보기도 한다. 왜냐하면 〈메나리〉가 강원도뿐 아니라 서도 지역에서도 전승되면서 메나리토리의 특성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발견되기 때문이다. 〈메나리〉라는 악곡명은 여러 지역에서 여러 특성으로 나타나지만 메나리토리에서의 〈메나리〉는 강원도의 노동요인 〈메나리〉를 두고 만든 용어이다. 메나리는 느리고 박자가 불규칙한 곡으로, 시김새가 많이 사용되는 특징이 있어 토리의 특징이 잘 드러난다.
메나리토리는 ‘미(mi)-라(la)-도(do′)-레(re′) - 레(re′)-도(do′)-라(la)-솔(sol)-미(mi)’와 같이 상행과 하행의 구조가 다른 선법이다. 선율이 상행할 때에는 ‘솔’ 음을 사용하지 않지만, 하행할 때에는 ‘라-솔-미’의 형태로 솔을 경과하여 진행하는 사례가 많다. 선법의 가장 높은 음인 ‘레’음은 하행 지향성을 띄고 있어 ‘레-도’의 진행을 시김새처럼 빠르게 반복적으로 사용하며, 가창자에 따라 ‘레도라’ㆍ‘레도라도’ㆍ‘레도레도’와 같이 변주하기도 한다. ‘라솔미’와 ‘레도라’의 두 선율군은 가사 한 글자에 붙여지는 경우가 많고, 어떻게 변주하고 얼마나 많이 사용하는지가 가창자마다 달라지므로 개인 취향이 반영되는 시김새적 특성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메나리토리의 ‘솔’은 주로 하행 때 사용되며, 좀처럼 독립적인 음으로 나타나지는 않는다. 때로 상행 때 ‘솔’이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는 악구 끝부분에서 ‘미-라’의 완전4도를 상행할 때 힘이 충분히 실리지 않아 음이 쳐지는 현상 때문에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메나리토리의 종지는 ‘미’나 ‘라’음으로 하는 경우가 가장 많지만 때로 ‘도’나 ‘솔’ㆍ‘파#’ㆍ‘파’와 같은 음으로 흘러내리면서 종지할 때도 있다. ‘미’와 ‘라’ 종지는 분명한 음고(音高)로 노래되지만 이외의 음으로 종지할 때에는 흘러내리는 선율로 종지하는 특성이 있다.
메나리토리는 한반도에서 가장 넓은 지역에 전승되므로 세부 유형이 다양하다. ‘미솔라도레’의 다섯 음 가운데 최저음인 ‘미’음이 약간 높아지는 사례가 경상도 내륙 지역에 나타나는데, 이를 ‘어사용토리’로 보기도 하며, ‘미’로 종지하는 경우를 ‘아라리토리’, ‘라’로 종지하는 경우를 ‘메나리토리’로 세분하기도 한다. 또한 충청도나 경기도 등 메나리토리와 다른 토리가 섞여 사용되는 지역의 메나리토리 악곡에서는 시김새가 없이 ‘미라도’의 3음을 중심으로 선율이 진행되는 사례가 많다.
메나리토리의 ‘미솔라도레’ 5음을 모두 사용하는 사례도 있지만 ‘미솔라도’만 사용하거나 ‘라도레’만 사용하는 경우, ‘미라도’만 사용하는 경우 등 다양한 사용 사례가 밝혀지고 있다. 이는 메나리토리가 넓은 지역에 분포하여 전승하면서 다양한 변화들이 만들어진 결과이다. 메나리토리로 된 민요에는 〈아라리〉ㆍ〈메나리〉ㆍ〈모노래(정자소리)〉ㆍ〈쾌지나칭칭나네〉ㆍ〈치기나칭칭나네〉ㆍ〈월워리청청〉ㆍ〈옹헤야〉ㆍ〈정선아리랑〉ㆍ〈한오백년〉ㆍ〈강원도아리랑〉ㆍ〈자진아라리〉 등이 있다.
메나리토리는 동해안지역 굿 음악에서도 활용되는데 ‘미솔라도레’의 음 가운데 ‘라도레’ 음을 중심으로 사용하고 아래쪽 ‘라솔미’의 하행 선율을 사용하지 않는 사례들이 있다. 또 판소리에는 경상도 밭매기 소리조로서 메나리조를 사용하고 있는데, 육자배기토리와의 차이점인 ‘레-도’의 진행을 특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김기현, 「아리랑」 노래의 형성과 전개」, 『퇴계학과 유교문화』 35/1, 2004, 김영운, 「동부민요 토리의 재검토-동부민요 하층위 설정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한국음악연구』 61, 2017. 김영운, 「한국 민요 선법의 특징」, 『한국음악연구』 28, 2000. 신은주, 「한국 민요 선법(토리)의 연구 성과 검토 및 논점」, 『한국민요학』 46, 2016. 이보형, 「토리의 개념과 유용론」, 『소암권오성박사화갑기념음악학논총』, 2000. 정서은, 「한반도 동부 메나리토리 민요 음조직 유형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논문, 2020.
김혜정(金惠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