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건(頭巾)
머리를 수발하기 위한 간편 쓰개이자 일상에서 착용하는 예모
건은 고대부터 사용하기 시작한 쓰개의 한 종류이다. 직물로 만들어진 간편한 양식으로 한민족의 머리모양인 상투를 감싸 둘러맨 형태이다. 건은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흑색의 남자 건이 확인되고, 여자의 건과 건귁(巾幗)도 살펴볼 수 있다. 건은 머리에 쓰는 수건이라는 뜻의 두건(頭巾)으로도 불리며, 형태, 소재, 색상 등에 따라 조건(皂巾), 오건(烏巾), 녹라두건(錄羅頭巾), 흑주두건(黑紬頭巾), 사대건(四帶巾), 사대문라건(四帶文羅巾), 사대오건(四帶烏巾) 등으로 구별된다. 두건은 대게 흑색이며 문라(文羅), 주(紬), 삼베(布) 등의 재료로 만들어졌다. 평정건(平頂巾)은 고려시대 학생, 사인(士人)이 착용하였고, 조선시대에는 녹사(綠事), 서리(書吏) 등 하급관료가 관모로 썼다. 유건(儒巾)은 유생들의 관모로 검은색 천을 접어 각진 형태이다. 복건(幅巾)은 검은색 천으로 만들어 뒤는 넓고 긴 자락 드림을 늘어지게 하고, 양옆의 끈으로 뒤에서 잡아매는 구조이다. 주로 유생, 사인 및 미혼 남자들의 통상예복으로 썼다. 조선시대 방건(方巾), 탕건(宕巾), 망건(網巾) 등은 말총으로 만들어 상투를 정리하거나 맨상투가 드러나지 않게 하였다.
건은 머리카락을 정리하기 위해 사용했던 간편한 쓰개이다. 건의 시작은 천 조각을 이용하여 머리카락을 정리하는 것에서 비롯되었다. 초기 건은 한민족의 남자 상투를 덮어 썼기에 삼각 형상이었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 단군(檀君)이 사람들에게 머리카락을 땋고 머리를 덮는 방법을 가르쳤으며, 위만(衛滿)은 상투를 하고 동이족(東夷族) 복식을 입었다고 하였다. 단군이 가르쳤던 머리를 덮는 것은 쓰개 착용법을 말하고, 위만이 상투를 하였다는 것은 중국과 다른 머리모양을 하였음을 뜻한다. 간편한 쓰개인 건의 유구한 연원을 살필 수 있는 대목이다. 쓰개와 머리모양의 연관성을 고려할 때 상투를 한 한민족의 건은 필연적으로 고유한 양식으로 발전하였다. 고대 건의 모습은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다수 확인된다. 문헌과 유물을 근거로 삼국시대 건은 남자의 건, 여자의 건, 건귁 등으로 구분된다. 고려시대 건은 두건, 사대건, 평정건 등이 있으며 조선시대까지 형태, 소재, 색상 등의 변화가 지속되었다. 조선시대 건은 유건, 복건 및 방건, 탕건, 망건 등으로 세분화되었다.
남자의 건은 〈덕흥리고분〉, 〈무용총〉, 〈수산리고분〉, 〈약수리고분〉, 〈장천1호분〉, 〈안악3호분〉 등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확인된다. 건의 형태는 검은색 천으로 머리카락을 감싸 묶고 남은 천을 짧게 내려뜨린 모습이다. 흑색 건의 착용자는 대체로 고취악대, 곡예인 등 신분이 낮은 계층이 많다. 그러나 〈무용총 수렵도〉와 〈덕흥리고분〉에는 말을 타고 활을 쏘는 수렵인도 흑색 건을 착용하고 있다. 기마, 수렵 등 외부활동에는 비교적 신분이 낮은 귀족층도 건을 착용하였던 것이다. 여자의 건은 쌍영총 벽화 여인들의 모습에서 확인되는데 흰 직물로 머리를 둘러맨 형태이다. 각저총의 다른 여인은 건귁을 썼다. 건귁은 『구당서(舊唐書)』에 부인의 쓰개이며 형태는 머리를 완전히 덮는다고 하였다. 앞부분은 삼각형 모양이다. 두건은 왕부터 하층민까지 모두 착용하였던 통상 예모이다. 두건의 색상, 재료에 따라 조건, 오건, 녹라두건, 흑주두건 등이 있었고, 두건에 끈을 달고 형태가 체계화되면서 사대건, 사대문라건, 사대오건 그리고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사각건(四角巾), 연라건(軟羅巾) 등으로 명칭이 구체화 되었다. 두건은 대게 흑색이고, 적색, 녹색도 쓰였다. 문라(文羅), 주(紬), 삼베(布) 등의 재료로 만들어졌다. 고려시대 이후의 건을 주로 두건이라고 한다. 사대건은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에 의하면, 문라와 같은 고급 천으로 만든 흑색 두건에 네 가닥의 흑색 띠를 더한 것으로 사대문라건이라 하며 상류계층에서 착용하였다. 거친 천으로 네 가닥 띠를 네 모서리에 각각 단 사대오건은 일반백성이 썼다. 사대건은 조선시대 사각건 또는 연라건과 같다. 평정건은 고려시대 정수리가 평편한 형태의 쓰개이다. 안향(安珦, 1243~1306) 초상에서 평정건을 볼 수 있다.
평정건은 『고려사(高麗史)』에 우왕(禑王, 1365~1389)이 원(元)의 복식제도를 폐지하고 명(明)의 것을 따르도록 하면서 성균관 유생, 사인이 평정두건을 착용하도록 하였다. 조선시대 『경국대전(經國大典)』에 녹사는 유각평정건(有角平頂巾), 서리는 무각평정건(無角平頂巾)을 착용한다고 하였다. 영조(英祖, 1694~1776)대 이후 서리의 평정건만 남았다.
유건은 유생들의 쓰개이다. 치포건(緇布巾)이라고도 한다. 『추계선생실기(楸溪先生實記)』에는 조선초기 유건의 제도가 없어 폐단이 많았는데 편리하게 만들었다는 설명과 「유건도(儒巾圖)」가 제시되어 있다. 형태는 자루 모양으로 만들어 양옆을 깊숙하게 접고, 위쪽의 솔기 부분을 뒤로 눕혀 귀를 자연스럽게 잡아 뺀 모습이다. 조선시대 과거시험장을 그린 풍속화에서 유생이 쓴 유건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복건은 검은 천으로 만든 쓰개로 위는 둥글면서 삐죽 솟은 모양이고, 넓고 긴 드림을 뒤로 늘어뜨려 양옆 끈으로 잡아맨 형태이다. 조선시대에는 유학자들이 심의(深衣), 학창의(鶴氅衣)와 함께 착용하였고, 유생 및 미혼 남자들의 통상예복으로 썼다. 후에 돌날 남자아이의 쓰개로 착용되었다.
방건, 탕건, 망건은 말총으로 만든다. 방건은 각이 진 형태의 두건이라는 뜻으로 네 면을 옆으로 이은 사각 형태이다. 사방관(四方冠)이라고도 한다. 탕건은 관을 쓰기 전에 밑받침 쓰개로 착용하였고, 망건 위에 써서 맨상투가 드러나지 않게 하는 간편한 쓰개이다. 갓과 함께 한민족 고유의 쓰개이다. 형태는 앞쪽이 낮고 뒤쪽이 높아 2단으로 구성되었다. 개화기 이후까지 오랫동안 착용되었다. 망건은 조선시대 성인 남자가 상투를 틀 때 머리카락을 위로 걷어 올리기 위해 이마에 쓰는 건이다. 갓[黑笠], 관모, 각종 쓰개를 쓸 때 밑받침으로 착용하였다.
예를 숭상하였던 한민족은 일상에서도 의관(衣冠)을 갖추는 것을 예법으로 여겼다. 건은 예를 지키기 위한 간편한 쓰개로 왕을 비롯하여 일반백성에 이르기까지 일상생활 속에서 착용하였다. 남자의 건뿐만 아니라 여자도 예를 지키기 위해 건을 착용하였고 후대 가체(加髢) 등 화려한 머리치장이 성행하였지만 족두리처럼 쓰개를 통해 예법을 지키고자 하는 관습이 이어졌다. 예법에 맞게 쓰개를 갖추었던 한민족의 오랜 관습이 일상에서 착용하는 예모로 건을 발전시켰던 것이다. 탕건과 같은 고유한 쓰개의 발전은 한민족이 남녀, 귀천을 가리지 않고 보편적으로 예모를 착용했던 관습이 빚어낸 유산이다. 건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예를 다하기 위한 한민족의 기본 쓰개였고, 하급관료나 관직이 없는 사인의 관모로서 역할을 하였다. 건의 착용층이 넓었고 역할이 포괄적이었던 만큼 건의 소재는 비단처럼 고급 재료와 삼베처럼 검소한 재료 등 다양하였다. 건의 색상은 흑색이 주류였는데, 흑색은 오방색의 하나인 현색(顯色)이며 지혜를 의미하였다. 흑색 건이 예학을 연마하는 유생, 현자의 쓰개로 널리 착용된 것은 깨어 있는 색, 지혜의 색을 통해 표현하고자 했던 한민족의 실천적 예제를 상징적으로 함축한다.
『경국대전』 『고려사』 『구당서』 『선화봉사고려도경』 『증보문헌비고』 『추계선생실기』 尹孝孫, 楸溪先生實記 圖式, 5후, http://www.nl.go.kr/nl/ 김은정ㆍ임린, 『한국 전통복식문화의 이해』,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김진희, 「동아시아 고대 두의 변천 및 계보: 한․중․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이경희, 「고구려 책(幘)에 관한 연구」, 한국학연구 17, 2007. 이은주ㆍ진덕순, 이정민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평정모 명칭 검토와 제작방법」, 『문화재』 51/2, 2018. 진덕순, 「조선 유생의 문과 급제와 복식문화 연구」, 안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임린(任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