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胃)
적의 무기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머리에 쓰던 쇠모자
적의 공격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대표적인 방어용무구(防禦用武具)이다. 머리에는 투구를, 몸에는 갑옷을 입었다. 철제갑옷이 만들어지기 전에는 나무로 된 나무갑옷(木甲), 가죽으로 된 가죽갑옷(皮甲)의 존재가 예상되지만 그 실물자료는 아직 예가 없고, 다만 몽촌토성(夢村土城)에서 출토된 뼈갑(骨甲)이 있다.
우리나라에서의 투구는 선사시대부터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현재까지 남아있는 투구 유물은 삼국시대의 유물이다. 강력한 철갑기병을 가졌던 고구려는 몽골발형 투구나 좌우에 뿔이 달린 철투구를 사용했으며, 백제와 신라의 경우에는 찰주, 로마형 투구, 단순 원주, 이마가리개형 투구 등 매우 다양한 투구를 사용하였다. 특히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고구려군의 투구는 대부분 정개부(頂蓋部)·발부(鉢部)·목가리개의 세 부분으로 나뉘어서 정개부에는 상모(象毛)가 드리워졌고 간주(幹柱)에 이어 개철(蓋鐵)이 장식되었으며, 발부는 5세기 중반 이후부터 좌우로 뿔이 솟아 있는 양상을 나타내며(「쌍영총기사도」·「삼실총북벽기사도」·「삼실총서벽기사도」), 목가리개는 턱 밑에서 매는, 즉 현재의 방한모와 비슷한 형태를 취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고려시대의 투구 형태에 대해서는 직접 참고할 만한 자료는 없으나 『고려도경』에 고려군은 평소에 투구를 머리에 쓰지 않고 등에 메고 다닌다는 기록이 있는 점으로 보아 투구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일본의 『몽고습래회사』에 여몽연합군의 일본 정벌시 고려군의 갑옷이 그려져 있는데, 여몽연합군의 갑옷은 갑찰을 연결하여 만든 길이가 긴 조끼형의 찰갑과 직물로 만든 포 형태의 갑옷이 있고 투구는 종장판을 연결하여 만든 감투에 뒷 드림을 달고 차양과 옆드림 부분에는 털을 댄 투구와 직물로 만들고 뒷목과 귀를 보호하는 드림과 턱을 보호하는 부분까지 모두 연결되어 있는 투구로 구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에도 일반 병사들이 철제투구를 착용했는데,
임진왜란때 왜군을 따라 조선에 들어왔던 포르투갈 신부는 조선군이 철제투구와 가죽제 가슴받이를 착용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당시에 조선군이 사용했던 투구는 『국조오례의서례』에 그려진 첨주(詹冑)와 원주(圓冑)였을 것이다. 조선 후기에는 투구의 정수리 부분에 높은 간주가 달려있고, 투구의 좌우와 옆에 드림이 달려있는 간주형 투구가 일반적이었다. 일반적으로 꼭대기에는 삼지창(三枝槍)에 삭모(槊毛)를 달았는데 중기부터는 투구의 앞뒷면에 용봉문과 당초문 등을 투조하거나 입사(立絲)상감하며 뒤에는 귀와 목을 가리는 드림을 달았다.
갑주는 전투시에 전사(戰士)들이 몸을 지키기 위하여 착용하던 무구(武具)인데, 갑(甲)은 갑옷, 주(胄)는 투구를 이른다. ‘갑옷’은 전쟁에서 화살 ·창검을 막기 위해 쇠나 가죽의 비늘을 붙여서 만든 옷이며, ‘투구’는 적의 무기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머리에 쓰던 쇠모자이다.
투구는 주발을 엎어 놓은 형상인데, 앞에는 차양이 있고 후두부(後頭部)는 목의 둘레를 싸게 되어 있으며, 정수리 부분에 술같이 생긴 장식 또는 깃털 모양의 장식이 달려 있다. 남한에서도 이와 비슷한 괘갑(挂甲)과 단갑(短甲)이 사용된 듯한데, 고대 신라 고분인 경주 〈금관총(金冠塚)〉에서는 쇠에다 구리를 도금한 작은 갑옷미늘과 금동판(金銅板)의 작은 갑옷미늘이 출토되었고, 대구 〈달성고분(達城古墳)〉에서는 금동제의 팔꿈치받이가 출토되었다. 어느 것이나 중국 남북조의 형식을 답습한 것이라 생각된다. 통일신라시대부터 고려 중기까지 중국 당송(唐宋)의 갑제(甲制)를 본받은 괘갑이나 포백갑(布帛甲)이 쓰였던 사실은, 당시 고분의 석조상(石彫像)이나 불교미술이 그것을 보여 주고 있다.
조선시대 투구의 유형으로는 원주(圓冑)형, 첨주(詹冑)형, 드림분리형이 있고, 투구의 차양[詹] 유무에 따라 원주형과 첨주형으로 구분하였다. 원주형이 더 간단한 구조이고 첨주형은 감투에 차양이 연결되어 있고 풍성한 상모와 조영 장식 더해져 원주형보다 높은 신분계층이 착용하였다. 드림분리형은 감투의 위쪽에는 간주와 상모 등 정수리 장식을 달고 감투의 아래쪽에는 이마가리개와 전면 차양 양쪽 귀와 뒷목을 가리는 3조각의 드림이 있다. 현존유물이 대부분이 드림분리형 투구 형태이다.
온양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투구는 구조적인 면에서는 감투 부분의 근철, 대철, 차양, 개철과 간주의 삼지창 부분 그리고 목가리개 및 감투끈이나 목가리개끈까지 모두 갖추고 있어, 현존하는 투구 중 거의 완형을 갖추고 있는 유일한 투구라 할 수 있다. 투구에서 주 문양으로 사용된 용문양은 갑옷과 마찬가지로 4조룡이었고 이마가리개를 옥으로 처리하고 있는데, 이것은 러시아 표트르대제 인류학민족학박물관 소장이나 호암미술관 소장 투구와 일치하며 현존하는 '원수'명 투구와 다른 점이다. 상단 간주에 삼지창이 아닌 화염 보주를 비롯한 다양한 문양으로 처리한 것과 비교할 만한 것은 평양 조선중앙력사박물관 소장 국보 제51호 투구가 있다. 온양민속박물관 투구는 모든 부분에서 당대 최고 솜씨를 보여주는 뛰어난 조형성과 완벽한 공예 기술이 유감없이 발휘되어 있어 왕실의 최고 계층에서 사용하기 위해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온양민속박물관 소장의 갑옷과 투구에는 사조룡이 새겨져 있고, 갑주함에는 흑칠이 칠해져 있어 모두 왕세자의 착용품임을 알 수 있으며 갑주의 전체 구조나 형태가 완전하여 원형을 유지하고 있고, 4조룡을 비롯한 세부 문양이 왕세자의 것을 상징하고, 세련된 기법과 뛰어난 솜씨를 발휘하고 있다.
투구는 말 그대로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보호구의 일종이다. 특히 인류에게 있어서 머리는 심장만큼이나 인체에 있어서 중요한 기관이 많이 몰려있는 매우 중요한 부위이기 때문에 중무장만이 아니라 경무장을 할 때 최소한의 가죽으로 만들어진 것이라도 머리에 착용을 하는 것이 사망율을 낮출 수 있기에 전쟁에 출전할 때 대체로 거의 빠지지 않는 방어구 중 하나이다.
『고려도경』 박가영, 「조선시대 갑주 유물의 감정을 위한 현황파악과 시대구분」, 『복식』, 58/5, 2008. 민승기, 『조선의 무기와 갑옷』, 가람, 2004.
안명숙(安明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