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裳)
여러 폭의 천을 연결하고 주름을 잡아 치맛말기에 단 여자 하의
치마는 북방 민족의 복식이 아니었으나 상당히 이른 시기 한민족의 고유복식으로 수용되어 입혀졌다. 초기 치마는 상류층에서 주로 입었고 사회가 발전하고 안정화되면서 점차 여자 하의로 확대되었다. 삼국시대 치마는 색동치마, 잔주름치마, 장식선치마 등 다양한 형태가 있었다. 긴 저고리 아래 허리에서 끈을 이용해 묶었고 길이는 땅에 끌릴 정도로 길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표상(表裳)과 내상(內裳)을 겹쳐 입었고 치맛말기가 겨드랑이까지 올라와 저고리 위로 치마를 착용했다. 고려시대 치마는 규칙적인 잔주름이나 장식단이 없이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는 형태였다. 조선시대 치마는 치맛말기에 잘게 주름을 잡고 하단이 퍼져나가는 풍성한 형태가 되었다. 저고리가 짧아지면서 치마는 겨드랑이에서 묶게 되었고 길이가 더욱 길어졌다. 예장용과 일상용 치마로 구분되었는데, 예장용 치마에는 스란치마, 대란치마, 전행웃치마가 있었다. 일상용 치마는 장식이나 문양을 넣지 않고 소재 자체의 멋을 살렸다. 개화기 이후에는 서구문물의 유입과 여성의 교육 및 사회활동이 가능해지면서 검은색 통치마가 유행하였다.
한민족의 복식은 말을 타고 유목생활을 하는 북방계 복식을 기본형으로 하였으나 한반도에 정착하며 농경생활을 하고 신분계층이 분화되면서 노동이 필요 없는 상류층에서 치마 착용이 확대되었다. 한민족은 하의로 남녀 모두 북방계 복식인 바지를 착용하였지만 치마가 상당히 이른 시기에 수용되어 고유복식으로 입혀졌다. 치마는 상(裳)이며 『주서(周書)』, 『수서(隋書)』, 『북사(北史)』에 고구려 부인의 치마는 아랫단 가장자리에 선을 둘렀다고 기록하였다.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가장자리 선이 있는 치마가 확인된다. 고구려 고분벽화를 보면 여자 바지가 겉옷으로 착용된 경우가 다수 확인되며, 치마 아래 바지를 함께 입는 모습도 많다. 치마가 바지보다 차후에 보편화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초기 치마는 아래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였고, 색동, 잔주름, 장식선이 있는 등 다양하였다. 고려시대 이후 여자 바지가 속옷으로 입혀지면서 치마가 여자복식의 기본 하의가 되었다. 한편 치마라는 우리말 용어가 처음 나타난 것은 『훈몽자회(訓蒙字會)』의 쵸마이고 치마의 한자표기는 적마(赤亇), 치마와 상통하는 용어로 상(裳)이 사용되었다. 치마의 형태 변화는 크지 않았고 소재, 색상, 장식 등이 세분화되었다.
삼국시대 치마는 색동치마, 잔주름치마, 장식선치마 등이 있었다. 자락치마 형태로 엉덩이 길이의 저고리와 함께 허리에서 끈을 이용해 치마를 여며 입었다. 색동치마는 치맛말기에서부터 밑단까지 균일하게 주름을 잡고 여러 색상의 천으로 연결되어 화려한 모습이다. 잔주름치마는 세밀하게 주름을 잡은 형태이다. 아랫단에 선이 있는 장식선치마는 신분과 계층에 관계없이 착용되었는데 장식적 효과뿐만 아니라 치마가 땅에 닿아 쉽게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적 차원이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표상과 내상을 겹쳐 입었고, 치맛말기가 겨드랑이까지 올라왔다. 치마를 저고리 위로 입게 되면서 치맛말기에 해당하는 요대(腰帶)와 요반(腰襻)을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치마의 소재도 고급스럽고 사치스러운 직물을 사용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치마를 저고리 위로 올려 입거나 치마를 입고 저고리를 위에 입는 방식이 혼용되었다. 고려시대 치마는 치맛말기에서 주름을 잡아 밑단으로 갈수록 자연스럽게 흘러내린 형태이다. 규칙적인 잔주름이나 장식선은 없어지고 간소해졌다. 신분에 따라 치마의 색상과 재료가 달랐다. 홍색 치마를 숭상하였고 황색 치마가 보편적으로 입혀졌다.
조선시대 치마는 치맛말기에 잘게 주름을 잡고 하단이 자연스럽게 퍼져나가는 구성으로, 짧아진 저고리로 인해 치마를 가슴 위에서 여미게 되었다. 자락치마를 기본구성으로 치마길이나 장식 여하에 따라 예장용과 일상용으로 나누었다. 궁중 예장용으로 착용했던 스란치마는 스란단을 한 줄 덧댄 양식이다. 스란단은 치마의 무릎 부분 또는 밑단 부분에 붙이는 가로의 띠로 각종 무늬를 직금(織金)하거나 금박(金箔)하여 장식한 것이다. 스란단을 두 줄 덧붙이면 대란치마라고 하였다. 덕혜옹주(德惠翁主, 1912~1989) 스란치마에는 복(福), 백(百), 세(歲), 수(壽), 남(男) 등의 문자와 석류, 여지, 영지 등의 화초(花草) 무늬를 금박하였다.
전행웃치마 역시 궁중에서 입었던 예복 치마로 적의(翟衣), 원삼(圓衫) 등과 함께 착용하고 대란치마 위에 덧입는 세 자락 치마이다. 영친왕비(英親王妃, 1901~1989) 전행웃치마를 보면, 치마의 색상은 남색이며 세 자락을 치맛말기에 달아 밑단까지 잔주름을 규칙적으로 잡았다. 치마 중하부에 금사(金絲)를 넣어 짠 스란단이 달려 있다. 전행웃치마의 스란단 문양은 왕비가 용무늬, 왕세자빈과 왕세손빈이 봉황무늬를 하였다.
일상용 치마는 장식이나 문양을 넣지 않고 소재 자체에서 오는 멋과 여백의 미를 살렸다. 치마 색상은 미혼이나 아이를 출산하기 전에는 주로 홍색을 입었고, 결혼하여 아이를 낳은 후에는 남색 치마, 노년에는 옥색이나 회색과 같은 무채색 계통의 치마를 선호하였다. 일상용 치마에는 전단후장(前短後長) 치마도 있다. 전단후장 치마는 보행 시 불편함을 해소하고 치마의 볼륨감을 주기 위해 앞부분을 가로로 접어 박아 짧게 하고 뒤는 길게 끌리게 한 형태이다.
개화기시대에는 일상용 자락치마 이외도 통치마가 유행하였다. 통치마는 조선후기 서구문물이 유입되고 여성의 교육과 사회활동이 가능해지면서 탄생한 활동성을 높인 치마이다. 치마길이가 짧아졌고 치맛말기에는 조끼허리를 달아 치마가 흘러내릴 것을 염려해 가슴을 압박할 만큼 치마끈을 조였던 불편을 해소하였다. 치마의 색은 검은색이 많았고 신여성의 교복으로도 입혀졌다.
초기 치마는 바지보다 활동에 제약이 있고 소요되는 천이 많아 상류층에서 주로 착용하였다. 치마를 착용하는 것은 신분과 부, 권위와 위엄을 드러내는 역할을 한 것이다. 왕실에서는 고급 소재, 다채로운 문양, 화려한 색채를 사용하여 치마를 만들었고, 직금과 부금으로 호사스러운 장식을 한 예장용 치마를 통해 최고 지위를 표현하였다. 사회가 발전하고 변화하면서 여성의 역할은 공적영역보다 사적영역에 한정되었고 사회 노동력 제공보다 미적 추구에 머무르게 되었다. 치마는 여성의 사회적 제약을 드러내는 상징물이었고 넉넉하고 풍성한 치마는 가녀린 상체와 대비되어 상박하후(上薄下厚)의 시대적 미인상을 만드는데 일조하였다. 또한 저고리에 비해 치마의 면적이 커서 착용 여성의 이미지를 전달하는 역할도 하였다. 홍색 치마는 젊음과 미혼여성을, 남색 치마는 중년여성을, 옥색 치마는 노년여성을 상징하였다. 한편 전통복식 치마는 한민족의 좌식생활에 적합한 구성적 특징이 있다. 여러 폭을 연결하여 만들어진 풍성한 치마는 유구한 역사를 통해 발전시켜 온 한민족의 의생활 양식을 담아내고 있다.
『주서』 『수서』 『북사』 『훈몽자회』 김남정, 「조선시대 치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김은정, 「15-16세기 전단후장형(前短後長形) 치마의 유형과 구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김은정, 임린, 『한국 전통복식문화의 이해』,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임린(任潾)